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
주제 | 강사 | 날짜 |
---|---|---|---|
1 | 근대역사학의 성립과 한국고대사연구(가제) | 노태돈(서울대 명예교수) | 03. 09 |
2 | “우리 안의 식민사관” | 조인성(경희대) | 03. 16 |
3 | 동이족은 우리 조상인가? | 박대재(고려대) | 03. 23 |
4 | 단군, 신화인가 역사인가 | 서영대(인하대) | 03. 30 |
5 | 유사역사학과 『환단고기』 | 이문영(상명대 대학원) | 04. 06 |
총선으로 휴강 | 04. 13 | ||
6 | 고조선은 어디에 있었나? | 송호정(한국교원대) | 04. 20 |
7 | 고고학으로 본 낙랑군 | 오영찬(이화여대) | 04. 27 |
8 | 한사군은 식민지였나? | 김병준(서울대) | 05. 04 |
9 | 단군릉, 대동강문명론과 북한의 선사고고학 | 이선복(서울대) | 05. 11 |
10 | 요하문명과 홍산문화 | 김정열(숭실대) | 05. 18 |
11 | 동북공정과 장백산문화론 | 조법종(우석대) | 06. 08 |
12 | 삼국은 언제 건국되었을까? | 노중국(계명대 명예교수) | 06. 01 |
<2016년 후반기 한국고대사 시민강좌 주제, 강사, 날짜 일람표>
주 제 | 강 사 | 일 자 | |
---|---|---|---|
1 | 고대국가의 영토의식과 진흥대왕순수비 | 김영하(성균관대) | 09. 07 |
추석연휴로 휴강 | 09. 14 | ||
2 | 광개토왕릉비와 동아시아 세계 | 임기환(서울교대) | 09. 21 |
3 |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사람의 일상 | 박아림(숙명여대) | 09. 28 |
4 | 백제는 해외식민지를 경영하였을까? | 김기섭(한성백제박물관) | 10. 05 |
5 | 미륵사와 선화공주의 수수께끼 | 박현숙(고려대) | 10. 12 |
6 | 임나일본부설의 허상과 가야 제국 | 이영식(인제대) | 10. 19 |
7 | 전방후원형 고분과 고대 한일관계 | 권오영(서울대) | 10. 26 |
8 | 가야가 연맹체제를 고집한 이유 : 가야와 삼국의 차이 | 김태식(홍익대) | 11. 02 |
9 | 인물로 보는 신라의 성장 과정 | 주보돈(경북대) | 11. 09 |
10 | 돌무지덧널무덤에 나타난 정치와 문화 | 이한상(대전대) | 11. 16 |
11 | 삼한일통의식과 삼국통일론 | 윤선태(동국대) | 11. 23 |
12 |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국인가? | 송기호(서울대) | 11. 30 |
첫댓글 최근 들어 대중 강좌가 많이 기획되는 듯 합니다.
고맙습니다
1
고대사를 완전히 훑어내려가는군요. 고대사에 관심많은 분은 욕심낼만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