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로에 선 제주국제자유도시 / 해외투자 유치의 명암 ◆
"이곳에선 한국어를 몰라도 돼요. 중국어만 써도 아무런 지장이 없죠."(중국인 왕마오씨엔 씨)
지난달 20일 찾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의 `바오젠 거리`는 마치 중국의 한 도시를 옮겨다 놓은 듯한 모습이다. 한국땅인지, 중국땅인지 헷갈릴 정도다. 한 상가 종업원 김 모씨(24)는 "주변 상가 종업원들이 아예 중국인이거나, 옌볜 출신 조선족인 경우도 상당하다"며 "가게 손님 80%가량이 중국인이다보니 중국어를 모르면 아르바이트 자리도 구하기 어려운 게 이곳"이라고 말했다.
이미 제주도는 `유커의 천국`이다. 지난해 제주도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233만여 명 중 유커 비율은 무려 77%(180만여 명)에 달한다. 바오젠 거리는 `제주도 차이나타운`으로 불린다. 옛 은남로 450m 구간, 총 4개 블록에 화장품ㆍ식당ㆍ주점 등 180여 개 상가가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바오젠 거리를 비롯한 중국인 밀집지역들은 제주도 안의 또 다른 `섬`이 되고 있다. 중국인이 운영하고 중국인을 고용해서 중국 관광객들을 상대하는 곳들이 태반이다. 지역경제 발전에는 오히려 `독`이 된다는 게 주민들 입장이다.한 상인은 "결국 중국 관광객들이 쓰고 간 돈을 중국 사람들이 도로 가져가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미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운 중국인들이 앞다퉈 땅을 사들이면서 제주도 내 외국인 취득 토지의 절반가량은 중국인 차지가 됐다.
지난 2분기 기준 제주도 내 중국인 소유 토지는 총 592만2000㎡,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한다.
[기획취재팀=임성현 기자 / 김명환 기자 / 백상경 기자 / 김시균 기자]
출처: http://www.visualdive.co.kr/%ec%a0%9c%ec%a3%bc-%eb%a9%94%ec%9d%b4%eb%93%9c-%ec%9d%b8-%ec%b0%a8%ec%9d%b4%eb%82%98-%ec%a4%91%ea%b5%ad%ec%9d%b8-%ed%88%ac%ec%9e%90-%ea%b8%89%ec%a6%9d%ec%97%90-%ec%a4%91%ea%b5%ad%eb%95%85-%eb%90%98/

성산일출봉 앞에 난데없이 등장한 ‘Amway(암웨이)’ 대형 로고가 지난달 31일에서 10일에 걸쳐 제주도를 방문한 암웨이 관광단을 환영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측은 산 이름을 성산일출봉이 아닌 ‘암웨이’로 착각할 수 있을만큼 크고 눈에 띄는 로고 설치를 허가함과 함께 일부 구역을 관광객 외 출입 제한 조치했다. 도민들의 항의로 여행단 방문 일정이 끝나기 전 로고는 철거됐지만 이 사건은 중국 자본이 점점 ‘갑’이 되어가는 제주도의 현실이 드러난 계기로 남게 됐다.
‘제주에는 돌도 많고 바람도 많다’는 옛 말이 있지만 이제 ‘중국인’도 많다고 덧붙여야 할 것 같다. 국토교통부가 밝힌 ‘외국인의 국내 토지 소유 현황’에 따르면, 제주 토지 1848㎢중 1106만㎡(약 335만평)가 외국인 소유인데 이 중 약 3분의 1(29.1%)에 달하는 322만㎡(약 97만평)이 중국인 소유다.
이는 2010년 시행된 투자이민법의 영향이 크다. 투자이민법에 의하면 50만달러(약 5억 5천만원)이상 제주의 부동산을 구입하면 제주도에 5년간 거주 가능한 비자를 발급해주고 해당 거주 기간을 충족하면 영주권을 준다. 제도 시행 이후 중국인의 제주도 땅 매입은 폭증해 2010년 4만9천㎡에 불과했던 중국인 토지 소유 규모는 제도 시행 다음해인 2011년 143만5천㎡로 크게 늘어났고 2014년 3월 현재 322만1천㎡에 달한다.
이처럼 현재 중국인이 제주의 이른바 ‘큰 손’이 됨에 따라 늘어난 초대형 개발 계획에 제주도민과 시민단체, 시의회 등의 반발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8일에는 중국 란딩그룹과 싱가포르업체의 합자회사인 람정제주개발이 추진하는 투자규모 약 2조9798억의 복합리조트 ‘신화역사공원’ 조성사업 변경안이 허가됐다. 같은 날 중국 녹지그룹과 동화투자개발이 약 1조원 규모로 공동투자해 짓는 드림타워(관광호텔 및 콘도빌딩)의 건축설계 변경이 승인돼, 대규모 카지노 시설 확충이 예정된 상황이다. 녹지그룹은 작년 가을경에도 헬스케어타운의 설계 변경 허가를 통과해 의료 및 연구시설을 축소하는 대신 숙박시설 규모를 늘리는 계획과 고도 제한 완화를 승인받은 바 있다.
중국인의 제주도 부동산 투자 확대는 언뜻 세수확보 등의 면에서 이점이 있어 보이지만, 경제논리에 밀려 제주도가 ‘메이드 인 차이나’가 될 우려를 안고 있다. 중국 여행단을 위해 세워졌던 성산일출봉 앞 암웨이로고는 단 며칠간의 전시에 그쳤지만, 중국기업들이 지은 호텔과 리조트들은 제주의 ‘랜드마크’가 되어 제주를 대표하게 될 지도 모른다. 이런 걱정이 단지 기우에 불과한지 생각해 볼 일이다.
난 타지에 살아서 진짜 이정도일줄은 몰랐어...오늘 여시에서 다큐(?)캡쳐 보고 심각성을 알았음.. 그동안 내가 관심이 없던거였지만ㅠ
진짜 상상 이상으로 심각한듯ㅠㅠㅠㅠㅠㅠㅠㅠㅠ
기사하고 제주여시 얘기들어보니 제주현도지사(여당) VS 정부 이렇게 대립구돈가봐
제발 제발 지금이라도 막았으면 좋겠다ㅠㅠ<가능성 있는 거지..?ㅜㅜ
첫댓글 안돼!!!!!!!!ㅠㅠㅠㅠㅠㅠㅠ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마자 ㅠㅠㅠ 나도 오늘 그거ㅗ봤는데 조폭들이 그렇게 많이.......받는다먼서 ㅠㅠㅠㅠ
2018년 폐지...? 중도 파괴 못 하나...쉬운게 아니지?ㅜ 대책없이 이대로 가다간 다 팔릴듯.....진짜 너무 슬프다 눈뜨고 땅뺏기고 있어..
헐 진짜 심하다.. .
내가 양식업 계통에 종사하고 공부하면서 들은건데...
중국 양식업 기술력 > 우리나라 양식업 기술력 갭이 약 10년가량 차이가 난다는거야..
근데 문제는 중국이 땅덩이는 많은데 영해 면적이 적어서 한국을 노리고 있데
전남 진도에는 장자도그룹(중국의 대기업 이라고 하더라고)이 들어와서 해삼 양식장을 한다고 하더라구...
난 진도사람인데 진도에서만 그런줄 알았더니 제주도는 정말 심각하구나 ㄷㄷ
횡설수설하는데 결론은 중국이 한국 영해를 노림
삭제된 댓글 입니다.
@여시들은장난꾸러기들이야아주 ....?존나 충격?
삭제된 댓글 입니다.
소인국테마파크도?ㅋㅋㅋㅋㅋㄱㄱ시바 내 어릴적 울나라추억조차 중국자본이 되었네
하답답하다진짜
짜증나 진짜 ............................................. 우리나라 사는데 알면알수록 고구마 10000000개씩 먹는기분이야
무섭다...이러다가 제주도뺏기면어떡해..
맞아..우리가족 제주도 놀러갔을때 아빠가 펜션주인이랑 얘기하다가 펜션ㅇㅏ저씨가 중국인들이 요새 땅 많이 산다고 땅값도 싸고 앞으로 제주도가 발전가능성? 있어보이니까 냅다 다들 산다고 중국한테 우리 땅 먹힐 판이라고 그랬음 ㅠㅠ 아 진짜 싫어,....
나 제주여신데 중국인 천지야ㅠㅠ 어딜가도 중국인이 바글바글... 여기가 한국인지 중국인지 모를정도로 진짜 많아...
2222 맞아..존나시끄럽고
3333333333333.. 속상해
우리나라 곧 속국될라나보다...
헐 어떡해ㅜㅜㅠㅜㅜㅜㅜ
아... 나중에 제주도에서 가게차리고 살건데.. 제발 이러지마ㅠㅠㅠ
이래놓고 나중에 또 독도처럼 눈뜨고 당할라고
아진짜그만^^팔아...하...미치겠네
아 진짜 너무 속상해....... 제발 좀 막지 좀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이러다 우리동네도 팔릴까 무섭다진짜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쥰나걱정이야이거;;;;;; 진심 심각한정도임;;; 내동생 제주도에 있는데 중국사람 지이이이인짜 많대....
제주도 무비자 주지 말라고....ㅜㅜ 왜 때문에 무비자................ㅜㅜㅜㅜㅜ
와서 땅 다 사고 나면 진짜 여시들 말대로 나중에 제주도 자기네 땅이라고 우길 듯....ㅜㅜㅜㅜ
ㅈㅔ발... 아진짜ㅋ...
아니근데돈만잇으면남의나라땅사는게이러케쉬워?내가몰라서그러는데뭔가잇겟지?제주도넘어가면안돼시발진짜..
우리나라중국한테먹히는거아냐진짜?대처좀해봐씨발
아 어떡할거냐고 진짜 ...........................................미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