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적
아득히 저 멀리서 들려오는 한 밤중의 소쩍새 울음소리, 새벽이면 새들의 지저귐, 건너 산에서 곰들이 다투는 소리, 계곡물 흘러가는 소리가 그윽한 산중... 초록 산색에 밤나무 꽃꿀 향기 달콤하다. 대나무 죽순은 쑥쑥 자라 낚싯대 보다 긴 장대가 되었다. 마당에 비질을 하면서 들여 쉬는 산소와 피부에 스치는 산뜻한 감촉, 누구와 나눌까 돌아보아도 더불어 나눌 이 없어 아쉬운 날들이다.
이 쪽 마당 끝과 저 쪽 마당 끝에 반환점을 두고 뒷짐을 지고 왔다 갔다 일 없이 소요하니, 사노라 분주한 이들에겐 미안하기도 하지마는, 누가 한가하게 못 살도록 훼방하는 이도 없건마는 세상사 번다하다 못해 눈 코 뜰 사이 없이 바쁜 이는, 언제 해가 뜨고, 달이 지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을 것이다.
사람마다 나름대로 다 자기의 세계가 있고 인생이 있어서 꼭 이렇게만 살아야 한다고 고집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어떠한 믿음 속에 적을 두고 사는 사이라면 서로가 멋있게 잘 사는 일들을 공유하고, 이러 이러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의논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믿음의 영역 안에서 믿음과 전혀 상관없이 자기 마음대로 산다면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우리가 최소한 불자라면 불교도라는 테두리 안에서 성직자와 평신도라는 서로의 역할을 확실히 해야 하는 것이 첫째다. 그 다음에 수행해야 하고 그 다음엔 행복해야 한다. 오늘은 역할 수행 행복에 관해서 이야기를 좀하고 한적을 말해야겠다.
평신도들의 역할은 첫째가 보시다. 수행자들과 물질적으로 나누는 것이 몸에 배어 있어야 한다. 재가신도가 출가승을 가장 감동시킬 수 있는 것은 보시다. 어려울 때 보시한 신도들은 평생 은혜롭게 생각하며 사는 것이 스님들이다. 때론 잊어버리고 사는 것 같으나 늘 마음에 고마움을 지니고 있다.
그 다음은 수행이다. 나중에 가서는 수행이란 하루하루 잘 사는 것이 수행이다 라는 곳까지 가지만, 그럴수록 처음 초심자처럼 저마다 하고 있는 염불, 간경, 참선, 다라니 중에 선택한 자기방법을 곧이곧대로 잘 챙겨야 한다. 살, 도, 음, 망, 주, 라는 오계를 잘 지켜야 하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행복이란 보시 잘 하고, 계 잘 지키고, 수행 잘 하는 그 자체를 즐기는 삶이다. 나중에 행복해지기 위해서 보시하고 계 잘 지키고 수행한다면 그 일은 한 템포 늦은 행복 찾기이다. 붓다의 마지막 유훈이 “수행 잘해라. 게으르지 말고” 아니었던가? 바로 이 시간과 공간에서 행복하는 일이 불교의 핵심인 현법낙주다. 최소한 내가 아는 불자들은 이점을 명심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못하는 것은, 한평생 익힌 나름대로 즐기는 방법에 중독이 되어서 그 습관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리저리로 재미있는 일을 찾아 동분서주하기 때문에 참 즐거움은 늘 뒤로 쳐진다. 참 즐거움이란 수행을 통한 선열, 진리를 이해하는 법열의 즐거움이지만 중생의 업은 참으로 무섭다. 좋은 길로 가지 않고 마음을 유혹하는 쪽으로 시종일관하려고 하니 문제인 것이다.
세상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중년 이후 장년이 되면 공부할 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스스로 닦아온 도업이 견고하지 못해서 우왕좌왕 엉뚱한 일에 시간을 다 소비해 버린다. 수행의 참 재미를 그 나이 되도록 모르고 살아온 것이다. 한 믿음 안에서 함께하는 입장에서 볼 때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처연하게 자기인생을 관조하면서, 일상의 삶 속에서 사소한 즐거움을 놓치지 않는 것은 그동안 수행하면서 살아 온 내공인 것이다. 재가불자라도 그런 분들을 보면 존경심이 생기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그렇다 해도 잘 사는 사람 잘 살고, 못하는 사람은 못산다. 건강하던 사람이 아프기도 하고 아프던 사람이 건강하기도 하다 종장에는 모두 몰락하여 죽음에 이른다. 물론 급살 타살 망신살 사고사 등도 있다. 망신살은 살아 있어도 죽은 것보다 더 곤혹스러운 삶을 말한다.
인생이란 이렇듯 잠깐 사이에 수없이 변하는 무상한 존재다. 잘 나갈 때 선행을 쌓아놓지 않으면 어렵고 힘들 때 마음이 붙들고 쉴 흔적이 없어지기 때문에, 앞에서도 불자는 보시해야 한다고 첫째로 말한 것이다. 그리고 계율은, 못살아도 자부심을 갖게 해주고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만족감을 주기 때문이다.
사람이 산다고 해야 100년 이쪽저쪽이다. 잘 사네 못 사네 해봐야 100년 안 밖이다. 조금 산다고 으스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그보다는 좀 살거든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심미적인 쪽으로 관심사를 이끌어감이 좋은 것이다. 그래야 나중에 한적에 이를 수가 있다.
아름다움이란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밖으로 꾸미는 것이다. 좋은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적당한 성형을 하여 모양을 좋게 하고, 패션을 살려서 맵시를 가꾸고, 명품을 들고 폼을 내면 얼마나 좋겠는가? 재력을 투자해서 집을 잘 지어 사는 거처를 미학적으로 합리적으로 수용하고, 집안의 집기도 고상한 것들로 갖추어 놓으면 누가 보아도 부러우리라... 이것은 외향적이다.
다른 하나는 안으로 꾸미는 것이다. 물질적인 부를 정신적인 재산으로 환전하는 것이다. 위로는 공경 복전으로 부모와 스승을 공경하는데 재화를 쓰고, 아래로는 연민 복전으로 어려운 이웃을 위하여 재원을 회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음의 얼굴을 예쁘게 해주고 현세에서나 내세에 남들이 좋아하는 인성을 기르게 해주며, 사람 일이 잘 풀리게 해주는 복... 이것은 내향적이다.
현세에 우리가 불만족스럽다면 그것은, 전생에 그런 업을 짓지 않았거나 적게 지은 때문이다. 누구를 탓할 것인가, 늦을 때가 빠른 때라고 힘을 따라 분수를 따라 선행을 쌓을 일 뿐이다. 스님들이 탁발하는 것은 권선징악이라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하기 위함이다. 어디서라도 참신하고 착한 스님을 만나거들랑 적은 정성이라도 봉투에 넣어서 공양하는 일을 우리 불자는 부지런히 하시기 바란다.
적선지가에 필유여경이라 하지 않았는가? 지금 시대는 기복적으로 통속적인 신도가 보다 지적이고 의식있는 덕스러운 불자로 거듭나야 할 때다.
여기서 한적이란 한 차원 높은 삶이라. 인간적이기도 하고 우주적인 차원의 아름다움이다. 심미적인 추구를 하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프리미엄이다. 수행하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말세에는 세속에 참다운 사람이 많다 하니 여러분도 한적한 사람이 되시기를...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온다. 강원도 강화도에는 물 부족으로 논밭 작물을 파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수까지도 고갈될 지경이라 하니. 그쪽으로 비가 많이 왔으면 좋겠다. 여러 가지 나라에 우환이 많지만, 서로서로 도와서 난국을 넘어서며 진인사대천명의 도리를 다해야 할 것 같다.
파초 잎에 내리는 저녁 어스름, 산중은 한적할 뿐 더도 덜도 말이 없네...
출처 ; 2015년 7월 1일 연암난야에서 도현 합장 / 조용한 행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