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기피제를 찾는 고객이 늘어나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6월부터 무허가 기피제 판매, 공산품 모기기피제의 의약외품 오인 표시·광고 행위에 대한 집중단속을 예고했다.
이에 약국에서도 공산품인데 의약외품 처럼 표시, 광고하는 제품을 진열, 판매하면 단속 대상이 되는 만큼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24일 대한약사회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자체와 함께 6월부터 무허가 살충·기피제 판매 및 공산품을 살충·기피제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 행위를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식약처가 제시한 다빈도 위반사례와 조치 사항은 ▲의약외품으로 허가(신고)받지 않은 제품을 의약외품인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문구 삭제 또는 판매중지 ▲용기·포장에 의약외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구가 기재된 공산품 판매 중지 ▲허가받은 의약외품을 공산품(팔찌 등)과 함께 게시(진열)하여 판매할 경우, 각 품목별로 구분하여 판매 등이다.
아울러 ▲해충퇴치용품 등의 카테고리에 진열·판매하는 공산품(야광팔찌, 방향제 등)을 관련 용품(공산품, 방향제 등) 카테고리로 이동 ▲모기기피(또는 살충) 효능을 직접 표방하지는 않지만, 암시적 방법으로 간접 의약외품 오인 광고하는 행위도 주의 해야 한다.
 |
▲ 공산품이지만 외약외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구를 삽입한 제품들 |
공산품인데 의약외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제품 광고는 ▲모기퇴치 팔찌 또는 해충 팔찌 ▲모기퇴치(기피) 방향제 ▲불청객 모기로부터 해방선언 ▲모기 그림에 사선 표시 ▲모기 걱정 없어요 ▲해충 접근 방지 ▲모기가 싫어하는 시트로넬라유(또는 계피요, 유칼립투스유 등) 함유 등이다.
약국에서도 식약처 주의사항을 참고해 제품 진열과 표시광고 여부 등을 다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약사법 제61조 제2항을 보면 의약외품이 아닌 것을 의학적 효능·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오인될 우려가 있는 표시나 광고를 하거나 이를 판매하거나 저장, 진열해서는 안된다고 규정돼 있어 무허가 의약외품 판매 시 약사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