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2001년 11월에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새로이 출범한 다자간 무역협상으로, 2002년 1월부터 협상이 시작되어 2004년 12월 종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상세]
도하 개발 아젠다(DDA)는 지난 2001.11.14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새로이 출범시킨 다자간 무역협상으로서 9번째의 다자간 무역협상(라운드)이다. 즉 DDA는 뉴라운드의 공식명칭이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의 새로운 다자간 무역협상을 명명하면서, 개도국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라운드라는 이름 대신, "도하 개발 아젠다"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이는 "라운드"가 과거 GATT 체제하에서의 용어로서, WTO 체제에서 열리게 되는 다자간무역협상에서는 동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회원국간 양해된 데 비롯된 것.
DDA 협상은 1995년 WTO 체제 출범이후 최초의 대규모 다자간 무역협상이며, 2002년부터 3년간 협상을 진행, 2004년 12월까지 종료하기로 합의된 상태이다.
■ 주요 협상의제와 협상방식
DDA(도하개발아젠다) 주요 협상의제는 ① 농업 ② 서비스 ③ 비농산물(공산품,임수산물) 분야에서의 시장개방, ④ 반덤핑협정 보조금협정 등 기존 협정의 개정 ⑤ 환경 ⑥ 지적재산권 ⑦ 분쟁해결 등이다. 또한 2003년 9월에 개최될 제5차 각료회의 이후에 싱가폴 이슈(투자, 경쟁, 무역원활화, 정부조달 투명성)와 관련된 신규범 제정이 논의된다.
아울러 추가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향후 2년간 연구분석작업을 계속한 후 제5차 각료회의에서 협상개시 여부를 결정하기로 하였다.
DDA의 협상방식은 모든 분야의 협상 결과를 모든 회원국들이 일괄적으로 수락하는 '일괄타결(Sinlge-Undertaking)방식'으로 진행된다. 일괄타결이란 모든 분야에 대한 협상을 동시에 개시하고 진행하여 동시에 종료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모든 분야 협상에서 개도국의 이익과 관심을 반영하도록 하는 한편 이와 병행하여 개발 문제를 별도로 검토한다.
DDA협상을 총괄하기 위한 협상감독기구로서 무역협상위원회(TNC:Trade Negotiations Committee)가 설치되었으며, 그 아래 각 분야의 협상그룹이 설치되어 협상을 실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2.모야모야병
모야모야병은 뇌에 대부분의 피를 공급하는 양쪽 내경 동맥이 서서히 막히는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일본과 중국, 한국에 특히 많은 독특한 질환이다.
모야모야(もやもや)는 일본말로, 김이나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 오른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뇌혈관촬영에서 그물 모양의 가느다란 이상 혈관들이 연기가 올라가는 형태로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뇌의 앞쪽으로 가는 주된 혈관인 내경동맥의 끝부분이나 내경동맥이 갈라진 중대뇌동맥이나 전대뇌동맥의 시작부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그로 인해 피가 모자라게 된 부위로 가느다란 혈관들이 자라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발생 원인은 불확실하며 동맥이 서서히 막히기 때문에 후천적인 병이라고도 하지만, 선천적인 이상이라고도 한다. 혈관염이나 자기면역질환과 관계가 있다고도 한다.
발병연령에는 10세 이하와 30~40세 사이의 두 연령층이 있는데 특히 4세 중심의소아에서 발병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4세 중심의 성인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3.새집증후군(SHS/SBS)
[요약]
새 집이나 수리한 집에 입주한 뒤 이전에 없던 두통이나 아토피 피부염, 천식 등의 질환에 걸리는 현상이다.
[상세]
새집증후군은 새 집으로 이사한 뒤 두통, 피로, 호흡곤란, 천식, 비염, 피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SHS(Sick House Syndrome) 또는 SBS(Sick Building Syndrome)로 불린다.
이는 신축 건물의 마감재나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로 인해 거주자들이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각종 질환을 호소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새집증후군이 사회 문제로 제기되자 1996년 7월 건설성, 후생성, 통상산업성 등으로 구성된 건강주택연구회를 만들어 실내공기 질을 측정한 뒤 12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농도 기준을 마련해 오염도를 규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2월부터 환경부가 두달동안 전국 8개 도시의 신축 아파트 100가구를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와 미세먼지, VOCs 7가지(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아세트알데히드, 일리디클로로벤젠, 스틸렌) 등 모두 9가지 실내공간 오염물질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새집증후군의 예방을 위해선 이사하기 전 충분한 기간 고온의 난방을 해서 벽지나 바닥재, 가구 등에 배어 있는 휘발성 화학물질을 뽑아내는 게 좋다. 이를 ‘베이킹 아웃(baking out)’이라 한다. 또 거주하는 동안 자주 환기를 해 주어야 한다.
■ 화학물질과민증(MCS)
새집증후군의 극단적인 현상을 '화학물질과민증(MCS·Multiple Chemical Sensitivity)'이다.
화학물질과민증(MCS)은 1980년대 중반 미국 예일대 마크 컬렌 교수가 처음 명명한 것으로 샴푸 세제 향수 책 신문 냄새만 맡아도 구토 발열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 평생 격리된 채 살아야 하는 질병이다.
4.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요약]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기구로, 1년에 8번 회의를 갖는데 이 자리에서 미국 경제에 대한 평가와 함께 통화공급량이나 금리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상세]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인 연방준비제도(FRS)에 있어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기구.
위원은 12명.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을 비롯한 7인의 이사회 멤버 및 공개시장 조작을 집행하는 뉴욕연준 총재가 당연직으로 포함되고, 나머지 네자리를 11명의 지역연방은행 총재가 돌아가면서 맡는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위원장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겸임하며, 부위원장은 FRB부위원장이 아닌,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취임한다.
1년에 8번 회의를 갖는데 이 자리에서 미국 경제에 대한 평가와 함께 통화공급량이나 금리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FOMC에서는 공개시장조작 방침을 결정하고 그 집행은 뉴욕연방은행이 행한다.
FOMC의 정책회의 내용은 의사록이 공식 출간되기까지 비공개를 원칙으로 했으나 1999년 12월부터 금리정책에 관한 결정사항을 즉시 공개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꿨다. 공개되는 내용에는 금리변경뿐만 아니라 앞으로 금리조정 여부를 시사하는 정책기조의 변화와 관련된 사항도 포함된다
5,군사분계선(MDL)=휴전선 military demarcation line.
[요약]
휴전 또는 정전시 대치하고 있는 양군의 태세를 고정화시키거나 전선에서 병력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설정하는 기준선으로, 우리나라의 군사분계선은 1953년 7월 27일에 성립한 '정전협정'에 규정된 휴전의 경계선(휴전선)이다.
[상세]
군사분계선은 휴전 또는 정전시(停戰時) 대치하고 있는 양군의 태세를 고정화시키거나 전선에서 병력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설정하는 기준선.
보통 휴전이 성립된 시점의 전선을 군사분계선으로 삼는다. 휴전과 정전에 수반해서 적대행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군사분계선을 따라 병력을 분리시키고 완충지대(buffer zone)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를 군사분계선의 양측에 설치해서 비무장지대 내에서의 무장을 금지시키고 이행 여부를 국제적인 감시위원회에서 감시하게 한다. 또는 쌍방의 병력을 철수시킨 뒤에 유엔군 등 제3자가 현장에 주둔해서 감시하기도 한다.
■ 한국의 군사분계선(MDL)
한국의 경우 1953년 7월 27일에 성립한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정전협정)'에 규정된 휴전의 경계선을 말하며, 이것이 이른바 휴전선이다.
그 길이는 모두 155마일(약 250km)로,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喬棟島)에서부터 개성 남방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금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까지 이른다.
당시 휴전시에 군사분계선을 설정함에 있어서 양군의 주장이 대립되었는데, 양군의 현실적인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결정함으로써 휴전협정이 성립되었다.
그리고 양군은 군사분계선 후방으로 남북 양쪽 2Km에 비무장지대(DMZ)를 설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군사분계선은 200m 간격으로 설치된 황색 표지판으로 구성돼 있다. 표지판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한 것은 한글과 영어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한 것은 한글과 한자로 각각 표기돼 있다. 총 1292개에 달하며 이중 유엔사가 696개, 북측이 596개를 관리한다.
설치된 지 50년이나 지나 일부 지역은 표지판이 부서지거나 없어져 상대방 군인이 실제 군사분계선을 월선(越線)했는지 애매해 논란을 빚는 경우도 있다.
■ 남북 철도연결과 군사분계선(MDL)
군사분계선(MDL)을 넘기 위해서는 정전협정 1조 6항과 7항에 따라 쌍방 군사정전위의 승인을 받도록 사전에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채널을 통해 인원.시기 등을 통보해야 한다.
하지만 경의선·동해선 연결공사를 위한 채택된 남북군사보장합의서가 2002.9.17 발효됨에 따라 합의서 제1조 2항의 `남북관리구역들에서 제기되는 모든 군사실무적 문제들은 남과 북이 협의, 처리한다'는 규정에 의해 남북관리구역내 문제는 남북 양측에 위임된 상태다.
남북 군사보장합의서는 유엔사령관과 북한의 인민무력부장간의 합의에 근거해 이뤄진 것이다.
이후 비무장지대(DMZ) 임시도로 통행과 관련한 남북 군사당국간 협상이 타결되어, 합의서에 따라 남북 양측은 군사분계선(MDL)의 통과 인원 명단과 차량 및 자재, 시간을 상대방에게 사전에 통보하면 민간인의 군사분계선(MDL) 통과를 허용키로 했다.
6.브루셀라병(Brucellosis)
[요약]
소나 돼지가 감염되면 임신 말기 유산, 불임 등을 유발 시키고 사람에게 전염될 경우 감기증세를 보이다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골수염으로 진행되기도 하는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이다.
[상세]
소나 돼지에게 흔히 볼 수 있는 2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사람에게도 전파되는 인수 공통 전염병이다.
브루셀라균에 감염된 동물은 암컷의 임신 후기 유산과 수컷의 고환염 증상등을 보이며 브루셀라균에 감염된 소ㆍ염소ㆍ돼지ㆍ개 등 동물의 혈액과 대소변에 있던 병원균이 상처 난 피부나 결막을 통해 전파되거나 멸균처리가 안된 유제품을 사람이 먹으면 전염된다.
하지만 사람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는다.
■ 증세 및 치료
브루셀라균에 감염되면 감염 후 5∼60일의 잠복기를 거쳐 지속적 또는 간헐적인 발열, 오한, 발한, 두통, 식욕상실, 체중감소, 허약,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하며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3주이상 치료하여 재발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 치사율은 2% 이하지만 치료하지 않아 만성경과시에는 척추염, 골수염 및 다양한 부위의 육아종성 병변이 유발되기도 한다.
7.세계지식포럼(WKF)
[목적]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글로벌라이제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뉴이코노미 혹은 신경제 체제의 핵심요소는 지식입니다. 세계지식포럼은 이 같은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의 생산적 활용을 통해 사회 및 경제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세계지식포럼 2003>
`인류 번영을 위한 새로운 세계질서와 경제의 창조'라는 주제로 열리는 세계지식포럼 2003은 이라크 전쟁, 사스(SARS), 북핵 문제 등으로 어수선한 국내외 정치 경제 환경에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번 지식포럼은 신뢰회복을 통한 새로운 국제질서와 동북아시아의 역할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한다. 또 무한경쟁의 정글 법칙 속에서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번 지식포럼에는 베인&컴퍼니, IBM, 과학문화재단 등이 참여해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공한다. 유력 인사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것도 좋은 기회다. 파이낸셜타임스, 니혼게이자이신문, 포브스글로벌, 블룸버그, SBS 등 국내외 미디어들이 대거 참여해 포럼 현황을 보도한다.
<세계지식포럼 2002>
'위기를 넘어: 새로운 번영을 향해(Knowledge in a World of Risk: A Compass towards New Prosperity)'라는 대주제로 열릴 세계지식포럼 2002에서는 불확실성이 날로 극대화되고 있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과 혜안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리더십' '조직변화' '차세대 신기술' '세계화' 등 경제적 불확실성을 제대로 관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게 됩니다. 세계지식포럼 2002는 파이낸셜타임스, 일본경제신문, 포브스글로벌, 블룸버그 등 세계 유수의 언론기관, 세계은행이 주도적으로 참석하고 있는 Global Knowledge Partnership과 OECD등의 국제 기구와 세계 3대 컨설팅 업체인 베인&컴퍼니, 인시아드 등의 탄탄한 파트너십 아래 구성됩니다.
<세계지식포럼 2001>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대한 이해, 지식의 활용이 기업, 조직의 생존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이해, 새로운 경제 사회 환경의 도래와 함께 발생하는 다양한 기회의 발굴 및 활용, 새롭게 장애요인으로 등장하는 사회문제의 해결 등은 이 시대를 맞는 모든 기업, 정부, 근로자의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세계지식포럼 2001에서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을 시도하고 이를 통한 창조적인 통찰력의 획득을 추구했습니다.
세계지식포럼 2002에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 수파차이 차기 WTO 사무총장, 존 도나휴 베인&컴퍼니 대표, 로버트 버크만 버랩홀딩스 회장 등 전세계 유수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참가해 '지식공유의 장'을 펼쳤습니다.
<세계지식포럼 2000>
새로운 천년의 시작과 함께 출범한 제1회 세계지식포럼은 전세계 22개국에서 1,100여명이 참석하는 성황을 이뤘습니다. 주요 연사로는 도널드 존스턴 OECD사무총장, 레스터 서로 MIT 경영대학원 교수, 폴 로머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교수, 데이비드 벨 파이낸셜타임스 그룹 회장, 라자 굽타 맥킨지 회장, 로버트 데이비스 라이코스 전 회장, 하인리히 로러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3일간 일정으로 진행된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모두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지식을 통한 인류공영이라는 대명제를 달성하기 위해 인류가 지금까지 개발한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요약]
영국의 공영방송인 BBC가 "정부의 이라크 대량살상무기(WMD) 정보가 조작됐다"고 보도하는 과정에서 취재원인 국방부 무기전문가 데이비드 켈리 박사가 자살한 사건.
[상세]
'켈리 사건'은 영국의 공영방송인 BBC가 "정부의 이라크 대량살상무기(WMD) 정보가 조작됐다"고 보도하는 과정에서 취재원인 국방부 무기전문가 데이비드 켈리 박사가 자살한 사건이다.
2002년 9월 영국 정부는 ‘이라크가 45분 이내에 발사할수 있는 WMD를 보유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이에 대해 2003넌 5월 BBC의 앤드루 길리건 기자가 익명의 소식통을 토대로 “총리실이 보고서를 왜곡했다”고 보도한 뒤, 취재원으로 지목된 데이비드 켈리 박사가 7월 자살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데이비드 켈리는 영국 국방부의 고문이자 생물무기 전문가로 걸프전 후 이라크 무기사찰에도 참여했던 인물이었다.
파문이 커지자 토니 블레어 총리는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진상조사를 맡겼으며, 브라이언 허튼 고법판사를 조사위원장으로 한 허튼 위원회는 2004년 1월 "영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WMD 정보를 조작했다는 BBC 방송의 보도는 근거 없는 것이었으며 BBC의 보도국 운영체제에 결함이 있었다"는 판정을 내렸다. 또 토니 블레어 정부가 켈리 박사의 사망과 관련해 책임질 만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튼보고서'로 인해 블레어 총리는 면죄부를 받게 되었고, 이 보고서의 발표 직후 BBC 이사장과 사장은 사퇴했다.
그러나 이후 여론조사에 의하면 대다수의 영국민들이 허튼보고서를 믿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9.NSC
한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요약]
국가 안보·통일·외교와 관련된 최고 의결기구로 김대중 정부 때 상설화되었으며, 노무현 정부 들어 그 위상이 강화되었다.
[상세]
우리나라 국가 안보·통일·외교와 관련된 최고 의결기구로,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이다.
헌법에 명시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유명무실했던 것을 김대중 정부 때 상설화하였으며, 노무현 정부 들어 그 위상이 강화되었다. 상임위원회와 사무처를 두축으로 한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고, 국무총리와 국가정보원장, 통일·외교통상·국방부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장(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등 8명으로 구성된다. 비서실장과 사무처장은 ‘국가안보회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제 2조에 따른 참석멤버다.
안보회의는 필요에 따라 의장이 소집한다.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위임한 사항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임위원회'를 둔다. 상임위원회 위원은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해 통일·외교통상·국방부장관과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장이다. 국무조정실장은 상임위원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으며, 필요하면 다른 부처 장관도 참석할 수 있다.
상임위원회는 매주 최소한 1회이상 수시로 열려 통일·외교·안보 현안에 관한 정책을 조율한다. 합의가 되면 곧 바로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문제나 국가적 중대 사안의 경우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안건을 넘긴다.
'사무처'는 국가안전보장전략의 기획 및 수립, 중장기 정책의 수립 및 조정, 국가위기 예방ㆍ관리 대책의 기획 및 조정, 안보회의 및 상임위원회 심의사항에 대한 이행상황의 점검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곳으로, 사무처 하부조직으로는 총무과, 전략기획실, 정책조정실, 정보관리실 및 위기관리센터를 둔다.
10.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
[요약]
전동차가 다니는 선로와 승강장 사이를 차단하는 문으로, 열차가 승강장에 들어섰을때만 열리는 시설이다.
[상세]
승강장 덧문이라고도 불리는 스크린 도어(PSD)는 평상시 유리벽으로 막혀 있다가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 정차하면 전동차 문과 함께 열린다.
열차출입문과 동시에 개폐되어 전동차로 인한 소음과 먼지 등을 줄이고, 승강장 내 냉난방 효율도 높이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안전사고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부터 몇 개 역에 스크린도어를 시범 설치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점차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동경, 홍콩, 파리, 런던 등 국제 대도시 지하철에는 이미 적용돼 설치되어 있다.
[국외지하철 설치현황]
일본 : 요꼬하마시 시사이드선, 동경시 임해선과 남북선, 히로시마시 교통선
영국 : 런던쥬빌리 연장선
홍콩 : 신공항전용철도
미국 : 시카고공항
프랑스 : 릴르1, 릴르2, 오를리공항, 몽마르트 푸니쿨라, 파리 14호선
11.안풍(安風)
[요약]
1995년 6·27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96년 4·11 총선을 앞두고 당시 집권당이었던 신한국당의 강삼재 사무총장과 안기부의 김기섭 운영차장이 공모하여 안기부 예산 1197억원을 빼돌려 신한국당과 민자당에 불법지원한 사건.
[상세]
1996년 15대 총선을 앞두고 국가안전기획부(국가정보원 전신) 예산을 당시 집권당이었던 신한국당(한나라당의 전신) 사무총장 강삼재(姜三載)의원과 김기섭(金己燮) 안기부 운영차장이 공모하여 여당(신한국당)의 선거자금으로 유용한 사건이다.
선거를 전후에 선거판세에 영향을 미치는 '북한 변수'에 대해 언론이 '북풍'이라고 부른데서 흔히 선거판세에 영향을 미칠만한 사건에 대해 '~풍'으로 부른다. 이 사건은 안기부 예산과 관련되었다 하여 '안풍'이라 불리고 있다.
안풍 사건은 검찰이 2001년 1월 경부고속철 차량선정 로비의혹을 수사하던 중 강삼재 의원의 차명계좌에 정체불명의 뭉칫돈이 입금됐음이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검찰은 이 돈의 출처가 안기부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김기섭 전 안기부 운영차장에 대해 안기부 예산을 95년 6.27 지방자치단체 선거자금과 96년 4.11 총선자금으로 신한국당에 불법 제공한 혐의로 구속했다.
박순용 당시 검찰총장이 기자회견에서 `안기부 돈을 받은 정치인은 185명'이라고 밝히고, 돈받은 정치인 180명의 명단과 금액이 담긴 `안기부 리스트'가 언론에 공개되면서 사건은 일파만파로 확대됐다. 수사결과 신한국당에 지원된 안기부 예산은 1천197억원으로 드러났고 이중 상당액이 구여당 총선후보 등 200여명의 정치인에게 배분된 사실도 드러났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야당탄압' '정치보복' '표적수사'라고 반발하고 나섰으며, '방탄국회'를 열어 강삼재 의원이 소환되는 것을 막아줬다. 결국 검찰은 강삼재 의원을 불구속 기소하고 사건을 법원으로 넘겼다.
이후 재판 과정에서도 강삼재 의원과 한나라당의 반발 등으로 파행이 거듭돼 2년8개월간 28차례 공판이 열리고 재판부가 세 번이나 바뀌었으며, 강삼재 의원 측의 법관기피 신청과 위헌심판제청, 변호인단 집단 불출석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결국 안풍사건은 기소 2년8개월만인 2003년 9월 23일 1심 선고가 내려졌는데, 법원은 공소사실을 상당부분 유죄로 인정하며 강삼재 의원에게는 징역 4년에 추징금 731억원을 선고했으며, 김기섭 전 안기부 운영차장에게는 징역 5년과 자격정지 2년에 추징금 125억원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
하지만 안풍 사건 당시 문제의 자금이 김영삼 전 대통령으로부터 당 사무총장이던 강삼재 의원에게 직접 건너갔다는 주장이 2004년 1월 제기되면서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12.디노미네이션(denomination)
[요약]
한 나라의 화폐를 가치의 변동없이 모든 은행권 및 지폐의 액면을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표현하거나 이와 함께 새로운 통화단위로 화폐의 호칭을 변경시키는 조치를 말한다.
[상세]
디노미네이션이란 본래 화폐단위의 호칭을 뜻하는 것이지만, 보통 '화폐의 호칭단위의 절하'라는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한 나라의 화폐를 가치의 변동없이 모든 은행권 및 지폐의 액면을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표현하거나 이와 함께 새로운 통화단위로 화폐의 호칭을 변경시키는 조치를 말한다.
이를테면 100원을 1원으로 하는 것. 이 경우 절하 전의 화폐단위의 호칭과 절하 후의 화폐단위의 호칭을 구별하지 않으면 혼동되기 때문에 예로써 구원, 신원등의 명칭을 쓴다.
디노미네이션은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진전에 따라 경제량(經濟量)을 화폐적으로 표현하는 숫자(數字)가 많아서 초래되는 국민들의 계산, 회계 기장(記帳) 또는 지급상의 불편을 해소할 목적으로 실시 된다.
그러나 일부 선진국의 경우에는 경제의 안정적 성장의 기반위에 자국통화의 대외적 위상을 제고할 목적으로도 디노미네이션을 실시 하고 있으며 과거 중남미 제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과정에서 국민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억제할 목적으로 실시되는 사례도 있다.
■ 디노미네이션 사례
우리나라는 53년 2월 및 62년 6월 신·구 화폐의 환가비율(換價比率)을 각기 100대 1과 10대 1로 디노미네이션한 예가 있다. '원'이 '환'으로 바뀔 때(1953년) '0'이 두 개 떨어져 나갔고 '환'이 다시 '원'이 될 때 (1962년) '0'이 또 1개 떨어져 나갔다.
1차대전 직후 독일 물가는 전쟁 전의 1.3조배였다. 담배 한 갑 사는 데 보스턴백 가득히 돈을 담아가야 했을 정도. 그래서 '0'을 12개(1조) 떼내 구마르크를 신마르크로 개명을 했다(1923년).
2차대전이 끝난 뒤 헝가리가 디노미네이션을 했을 때는 구화폐에서 '0'을 30개나 떼내야 했다. 이것이 지금까지 세계최고기록. 그 다음은 1922년의 제정러시아. 4년간에 걸쳐 3번의 디노미네이션을 단행했는데 결과적으로 5억 구루블이 1신루블로 낙착되었다.
■ 디노미네이션의 장단점
디노미네이션의 장점은 국민들의 일상 거래상의 편의 제고 및 회계장부의 기장처리 간편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 자국통화의 대외적 위상제고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부정적 측면은 화폐단위 변경으로 인한 불안정과 새로운 화폐의 제조에 따른 화폐제조비용, 신-구 화폐의 교환 및 컴퓨터 시스템 등의 교환 등 수반되는 비용이 많다는 점이다.
13.유사수신행위
[요약]
금융관계법령에 의한 인가, 허가를 받거나 등록, 신고 등을 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명목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으는 행위를 말하며, 유사수신행위는 불법으로 처벌의 대상이 된다.
[상세]
금융관계법령에 의한 인가, 허가를 받거나 등록, 신고 등을 하지않고 불특정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 즉 제도권금융기관이 아니면서 고수익을 제시한 채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명목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으는 행위다.
현행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은 어떤 이유를 대든 원금을 보장한다든가, 확정수익률을
제시하면서 돈을 끌어모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유사수신행위를 하다 적발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유사수신행위를 하기 위해 불특정다수인을 대상으로 광고를 하는 것도 금지되어 위반시 2년 이사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또한 유사수신행위를 하기위해 상호중에 금융업으로 인식할 수 있는 파이낸스, 캐피탈, 신용, 크레디트, 인베스트먼트, 펀드, 팩토링, 선물 등의 금융업 유사명칭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이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유사수신업체에 지급한 투자금은 예금자보호법상의 보호 대상 상품이 아니며, 유사수신업체는 금융회사가 아닌 상법상 일반회사이므로 금융관련 법률에 의한 구제를 받을 수 없다.
14.모기지론(Mortgage Loan·장기주택담보대출)
[요약]
부동산을 담보로 주택저당증권(MBS)을 발행해 장기주택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
[상세]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대출을 할 때 담보물인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는 것을 모기지(mortgage)라고 한다.
저당권 자체를 모기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주택을 담보로 장기간 대출해 주는 제도라는 의미로 '장기주택담보대출'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즉, mortgage 혹은 mortgage loan은 부동산을 담보로 주택저당증권(MBS)을 발행해 장기주택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주택 구입 자금의 일부를 먼저 내고 나머지는 수십년에 걸쳐 분할 상환하면 되기 때문에 목돈 없이도 내 집을 장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진국에선 이미 일반화된 장기주택대출제도로,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정부투자회사인 주택금융공사를 설립하여 이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 우리나라의 모기지론 제도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정부투자회사인 '주택금융공사'를 설립하여 이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고객이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은행은 담보대출(채권)을 공사에 넘겨 유동화(투자자 매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 고정금리를 적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2004년 3월부터 실시되는 모기지론은 주택 가격의 70%까지 10년 이상의 장기주택자금을 대출받는 것이다. 대출은 주택금융공사가 선정하는 은행이나 보험사 창구에서 받을 수 있다.
대출 기간은 10~20년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만기일까지 고정금리가 적용된다. 대출금액은 최고 2억원이다.
신청자격은 만 20세 이상의 무주택자나 1주택 소유자다. 1주택 소유자는 집을 넓혀 나가거나 이사를 가는 경우 등 일정기간 내에 기존 주택을 팔아 최종적으로 1가구 1주택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또 모기지대출은 가구당 한 번만 대출받을 수 있으므로 부부가 각각 대출을 받을 수는 없다. 다만 배우자 명의의 주택을 매각하고 기존 모기지대출을 상환하는 조건이라면 새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출 대상 주택은 아파트, 연립 단독 다세대 주택이다. 주택을 새로 짓는 경우에는 건물 준공시점에 모기지대출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高價)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은 대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모기지론으로 대출을 받았을 경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전용면적 25.7평 이하로 1가구 1주택 △15년 이상 장기대출 △근로소득자 △소유권 이전 등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대출을 받아야 한다는 등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자영업자는 공제혜택이 없다. 공제한도는 이자납부액에 대해 1000만원까지다.
15.수니삼각지대
티크리트-수니삼각지대
2003-12-08 12:12:18
티그리트는 어떤 곳▼
지난달 30일 한국인 피습사건으로 다시 이목이 집중된 티크리트는 바그다드 북쪽 200km 지점에 있는 티그리스 강변의 소도시다.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 후세인 추종세력들이 많고 이라크 저항세력의 근거지로 알려져 있다.
후세인 정권 시절 집권 바트당과 군, 정보기관 등의 요직을 독차지했던 수니파의 거점도시로 후세인 정권의 튼튼한 지지기반이기도 했다. 거대한 사원과 넓은 현대식 도로망, 초대형의 대통령궁이 들어서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이 많이 이뤄졌다. 이 지역 주민들도 상대적으로 번영을 누렸다.
종전 이후 저항세력들의 공격이 가장 활발한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저항이 집중되는 이른바 ‘수니 삼각지대(sunni triangle)’는 이곳과 바그다드, 그리고 바그다드 서쪽의 라마디를 세 꼭지점으로 한 지역.
티크리트는 특히 후세인의 은신처로 유력하게 꼽혀 미군이 대규모 색출작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부터 후세인이 출생한 마을 ‘아우자’를 봉쇄하고 대대적인 수색작전을 벌이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 단서를 잡지 못하고 있다. 10월 25일엔 수색작전을 벌이던 미군의 블랙호크 헬기가 로켓 공격을 받고 불시착하기도 했다.
후세인의 오른팔로 서열 3위였던 안보보좌관 아비드 하미드 마흐무드 알 티크리티도 이곳에서 체포됐다.
김성규기자 kimsk@donga.com 2003/12/01 동아일보
16.Ubiquo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Ubiquitous)
[요약]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언제 어디서나 특정 기능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통신환경상의 개념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 하면 우리 주변환경의 모든 사물에 컴퓨터 장치가 내재돼 모든 사물 및 사람이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상세]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용어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한다'라는 뜻이다. 즉, 물이나 공기처럼 도처에 편재(遍在)한 자연상태를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개념은 지난 1991년 제록스 팰러앨토연구소(PARC)의 마크 와이저(Mark Weiser)가 처음 제시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그 효시다. 마크 와이저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가 편재되어 있지만 결코, 사용자를 귀찮게 하거나 불편하지 않게, 조용히 자신을 이용해 주기를 기다리는 아주 이상적인 컴퓨팅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환경을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 정의하였다.
이 용어가 정보화 사회의 차세대 키워드가 되면서 현재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사실 유비쿼터스 개념을 처음 제시한 사람은 전 도쿄대 교수인 일본의 사카무라 겐으로 알려진다. 그는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인 지난 84년 도쿄대가 추진한 '트론(Tron) 프로젝트(The Real-time Operating system Nucleus)'를 주도했다. 이 트론 프로젝트는 '모든 물건에 컴퓨터를 집어넣는다'는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당시로는 획기적인 테마였다.
유비쿼터스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하나는 실세계의 각종 사물과 환경 전반(물리공간)에 컴퓨터를 장착하되 사용자에게 컴퓨터의 겉모습이 드러나지 않도록 환경내에 효과적으로 심어지고 융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컴퓨터(작고 대상에 맞는 특수한 기능을 보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일이다.
이런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기술로는 임베디드 시스템, 무선ID, 초소형 정밀기계(멤스),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LBS), IPv6 등이 있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란 물이나 공기처럼 우리 주변환경에 내재돼 모든 사물 및 사람이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새로운 공간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인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컵·화분·자동차·벽·교실이나 사람들이 지니고 다니는 옷·안경·신발·시계 등 모든 사물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컴퓨터 장치를 심고 이들을 근거리 무선통신과 인터넷 인프라에 의해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이다.
17.케네디 스코어
야구경기에서 제일 재미있는 경기 내용을 보여준다는 8대7 스코어. J.F.케네디 대통령이 야구경기에서 8대7 경기가 가장 재미있다고 말한 데서 유래됐다. 9대8로 끝나는 게임은 미국 프로야구 최고책임자의 직함을 다 커미셔너 스코어라고 한다.(출처:SPA)
18.다운시프트족
다운시프트(downshift)족(族)은 삶의 속도를 늦추자는 것으로, 최근 유럽에서 다운시프트족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다운시프트는 원래 저속 기어로 바꾼다는 뜻으로, 속도를 우선하는 삶에 브레이크를 밟는다는 의미도 내포한다. 1990년대 후반 미국에서 '슬로비족'이라는 말이 생겨나고, 2000년대에 들어서 피에르 상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라는 책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다운시프트족은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삶을 위해 고소득을 기꺼이 포기하는 것이 특징이며, 아예 주거지를 도시 외곽이나 화려한 삶과는 거리가 먼 전원으로 옮기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
다운시프트족의 연령층은 가족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자기만족적 삶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세대인 30~40대가 가장 많다. 또 증권·금융·정보통신 등의 업종에 종사하는 중산층 전문직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19.주택투기지역
[요약]
주택투기지역은 집값이 급등하는 지역의 양도소득세를 기준시가 대신 실거래가액으로 부과하기 위해 재정경제부장관이 지정하는 지역이다.
[상세]
주택투기지역은 부동산가격상승률(국민은행이 발표하는 도시주택가격동향) 등을 감안하여 재정경제부장관이「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하는 곳이다.
직전 1개월의 집값 상승률이 전국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30%이상 높은 지역으로 최근 2개월간의 월평균 상승률이 전국 평균보다 30%이상 높거나 지난 1년간 연평균 상승률이 3년간 전국 평균 상승률보다 높은지역이 대상이다.
재개발·재건축·신도시·행정수도 후보지 등의 경우 최근 2개월 평균 집값 상승률이 아닌 직전 1개월 상승률만으로도 투기지역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 및 주택부속토지의 양도시 실거래가로 양도세가 부과된다.
한편,「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는 재경부 차관(위원장), 건교부 차관(부위원장), 행자부 차관, 국세청 차장, 한국조세연구원장, 한국감정원장 등 정부 당연직 6명과 민간위원을 포함 10명 이내로 구성된다.
20.아파트후분양제도
후분양제란 주택 등 분양 건축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지은 후 수요자에게 분양하는 제도. 현행 아파트 분양은 착공과 동시에 분양을 하는 선 분양제도가 일반적이다. 재건축 아파트는 2003년 하반기부터 투기과열지구에서 80%시공을 한 후 일반 분양하도록 하는 후 분양제가 시행되고 ldT다. 정부는 이 제도를 2004년에 시범 도입할 계획으로 이 제도가 도입되면 선 분양제를 전제로 한 주택청약예금 등 현행 주택청약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지며 중장기적으로는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21.슈퍼화요일(Super Tuesday)
[요약]
미국 대통령 선거과정 중 각 당의 대통령 후보자를 실제로 결정짓는 날을 말한다.
[상세]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자는 7∼8월에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지명되며 전당대회에서 대통령후보자를 지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것은 대의원(delegate)이다.
그리고 이 대의원들은 주별로 실시되는 예비선거(프라이머리 Primary), 또는 당원대회(코커스 Caucus)를 통해 선출되는데, 사전에 지지후보를 미리 공표한 대의원들을 반수 이상 한꺼번에 선출하는 3월 첫째주 화요일을 '슈퍼 화요일(Super Tuesday)'이라 부른다.
슈퍼 화요일에는 뉴욕, 캘리포니아, 오하이오와 같은 빅3를 포함하여 10여개 주에서 민주당과 공화당은 동시에 프라이머리가 실시된다. 이에 따라 후보지명을 따내는데 필요한 대의원 과반수의 절반 정도가 결정돼 사실상 민주ㆍ공화 양당의 후보를 결정짓는 날이 될 수 있다.
한편, '슈퍼 화요일' 실시되기 전후로, '슈퍼 화요일' 다음으로 많은 대의원들을 선출하는 날을 '미니 슈퍼 화요일'이라 부른다.
■ 비 고
미국에서 투표는 대개 화요일에 실시된다.
화요일이 투표일로 된 것은 마차를 타고 다니던 시절, 투표장에 가려면 하루 이상이 걸려 안식일인 일요일을 피해 그 다음날인 월요일에 출발해도 화요일이 돼야 투표장에까지 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터넷 투표 등의 도입으로 화요일에 투표를 실시하는 전통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22.중대선거구제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이 지역구도 타파와 돈안드는 선거의 해법으로 줄곧 주장해온 방안. 한 지역구에서 1명을 뽑는 소선거구제와 달리 중대선거구제는 1선거구에서 2-5명을 뽑는 선거 방식. 일본이 소선거구제로 환원하기 전까지 채택했던 선거구제도이며, 한국도 1985년 12대 총선까지는 2명을 뽑는 중대선거구제였다.
23.댜오위다오
조어도(센카쿠, 댜오위다오)
[요약]
일본어로 센카쿠 열도(尖閣諸島), 중국어로 댜오위다오(釣魚台)로 불리우는 조어도는 일본 오키나와와 대만 사이에 위치한 도서군(島嶼群)으로, 현재 일본이 점유하고 있으나 중국,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 영유권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상세]
조어도(일본명 센카쿠, 중국명 댜오위다오)는 대만 동북쪽 120㎞, 오키나와 남서쪽 200㎞에 위치한 도서군(島嶼群).
5개 도서 및 3개 암초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主島)인 조어도만이 약 4.3㎢의 섬이며, 기타의 섬과 암초들은 1㎢도 되지 않는다. 도서 중에 4개 섬은 민간 소유, 1개 섬은 국유지로 돼 있다.
주변해역에 석유와 천연가스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주변국들이 영유권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중국은 역사적인 기록에 의하면 중국인이 가장 먼저 이 곳을 발견했으며, 청나라 강희제때(17세기) 중국인들이 이 섬에 신당을 짓고 제사지냈다는 기록을 근거로 자국땅이라 주장하고 있으며,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이긴 다음해인 1895년 공식적으로 자국 영토에 편입하여 그 이후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하고 있다며 중국측의 주장을 반박한다.
■ 영유권 분쟁
조어도는 1895년 청일전쟁 이후 일본의 영토로 귀속되었다가 1951년 9월 미-일 강화조약 체결시 일본으로부터 미국으로 이양되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이 곳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1969?유엔이 조어분 부근의 해저에 석유를 포함한 막대한 천연자원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후 1971년 6월 미-일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이 맺어진 후 1972년 5월 오키나와의 실제 일본 반환시 이 섬도 일본령으로 편입된 이후 일본이 관할하고 있다.
이로인해 일본은 국제법적으로, 역사적으로 일본영토라고 주장하는 한편, 중국과 대만은 힘으로 영토를 약탈한 것은 국제법상 무효라고 반박하며 중국이 이 곳을 1534년 처음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당사국간의 무력충돌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영유권을 둘러싼 외교적 마찰 및 민간차원의 항의는 중국, 대만, 홍콩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78년, 1988년, 1996년 7월 3차에 걸쳐 일본의 우익민간단체인 '일본청년사'가 이 곳에 등대를 설치하여 일본의 영유권 및 점령을 기정사실화 하려는 노력에 대해 중국, 대만 및 홍콩에서 대대적인 일본 규탄시위 및 항의가 발생하였다.
중국은 1992년 2월 남사군도, 서사군도 및 센카쿠 열도를 포함하는 영해법을 발표하여, 일본측으로부터 거센 외교적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2000년 4월에도 일본 우익단체인 일본청년사가 이곳에 신사(神社)로 보이는 조형물을 세움으로써 중·일간 외교마찰로 이어졌었다.
2004년 1월에는 중국 민간단체가 ‘댜오위다오는 중국영토’라는 표지석을 댜오위다오에 세우기 위해 상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일본 해상보안청의 저지로 중국인 2명이 부상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4.공황장애(Panic Disorder)
[요약]
공황장애는 실제적인 위험이 없는데도 공포감을 느끼는 정신적인 발작 증세이다.
[상세]
공황장애는 실제로 위험상황이 아니고 아무런 해가 없는 상황에서 극심한 불안을 겪어 주관적인 발작을 되풀이하는 신경질환이다.
■ 공황장애 진단 기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갑자기 발생하여 10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는 심한 공포와 불편감을 경험하고 아래의 증상 중 4가지 이상이 나타날 경우, 공황장애라고 진단한다.
⑴ 식은 땀을 흘린다.
⑵ 질식할 것 같이 느낀다.
⑶ 오한 또는 화끈거림을 느낀다.
⑷ 구역질 또는 복부 불쾌감이 있다.
⑸ 가슴에 통증이나 불쾌감을 느낀다.
⑹ 손발 혹은 몸이 떨리거나 전율을 느낀다.
⑺ 현기증, 불안정감, 비틀거리는 느낌이 있다.
⑻ 심장의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수가 증가한다.
⑼ 호흡이 가빠지고 숨이 막히거나 가슴이 답답하다.
⑽ 마비 또는 따끔거리고 저리는 등의 감각이상이 발생한다.
⑾ 비현실감(현실이 아닌 것 같은 느낌) 또는 이인증(자신으로 부터 분리된 느낌)이 발생한다.
⑿ 통제력을 잃어버리거나 미쳐버리지 않나 하는 두려움이 있다.
⒀ 죽을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 원인 및 치료
공황장애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 스트레스, 주관적인 심리적 문제 등으로 꼽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치료법은 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이다. 그러나 약물 자체의 부작용과 높은 재발율 때문에 장기적인 효과는 없는 편이다.
25.의사자
의사자란 직무외의 행위로서 타인의 생명, 신체 또는 재산의 급박한 위해를 구제하다가 사망한 사람을 말하며, 의사자로 결정된 사람의 유가족은 법률에 의해 보상금 등을 지급받을 수 있다.
국가는 사회정의 구현에 이바지하기 위해 '의사상자 예우에 관한 법률'을 제정, 의사상자와 그 가족 및 유족에 대하여 필요한 보상(보상금, 의료급여, 교육보호, 장제보호, 취업보호) 등 국가적 예우를 하고있다. 의사자는 그 유족에게 지급된다.
의사자는 사망 당시의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본연금월액의 240배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받는다. (2003년도 기준 1억5천4백8만원)
의사자의 유족은 그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의사상자 신청을 해야 한다. 신청을 받은 시장, 군수, 구청장은 이를 보건복지부장관과 시도지사에게 보고하며, 보건복지부장관은 5일 이내에 보건복지부 산하 '의사상자심사위원회'에 그 사항을 회부하여 심사, 결정한다.
첫댓글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 달성 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거 어디서 나왔던 문제 아닌가요? 그랬던거 같은데... 맞다면 시험 문제도 표절하나? ^^;
음.M붙으신거 축하드리고요~신입기자로 가시는거죠? MBN이야기 많이 하셨어서 처음엔 합격자 명단보고 긴가민가했습니다.. ^^회사다니면서 동시에 병행어떻게 하셨는지 제일 궁금하네요~~팁좀 부탁드릴게요.
우왓~ 정말 감사합니닷!!
저 올 봄에 MBN 시험 보고 와서 이거 정리한 사람입니다. 근데 이번엔 서류에서 떨어졌네요. 정말 가고 싶었는데 넘 슬프네요.
저기.. 약술형이라 함은.. 여기에 써주신 [요약] 정도로만 쓰면 되는 건가요? 아님, 좀 더 자세하게 써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