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에 내공만빵 이런거 안쓰셔도.. 도와줄수 있는 지식을 가졌고 시간이 있으면 도움 주실분 있답니다. ㅎㅎㅎ 아그리고 이런거 전공이나 현재 배우시는 거 뭐 가 있는거 같은데요.. 용어라던지 단어라던지 좀 찾아보세요. 그런거 같이 찾아서 올려주셔야 도움 받는게 빠릅니다. 아마 어저께에도 몇개 올리셨죠? 제가 한개 겨우 해드렷는데요.. 비전공인 제가 도울수 있는길은 님이 이쪽 용어와 정의등을 같이 올려주셔야 도울수 있다는 거죠. 전 개론 정도는 배웠지만 영어를 그래도 배워서 한국어 용어엔 익숙칠 않거든요. 다른 분들중에 전공인 분들도 있겠지만 ..님을 도와줄수 있는 시간이 충분할지도 모르겠구요.
그리고 이런거 공부 하실려면 경제학 개론 정도 (한글로 된거 한번 읽어보세요. ) 배경지식을 한글로도 익히시지 않은채 영어로 번역한다는게 어불성설인거 같습니다. 아무리 제가 영어로 이해하고 해도 한글 표현을 모르니 가끔 막히듯이 ..
여하튼 용어정도 그리고 단어뜻들 찾아서 같이 올려주세요. 여기에 해석/영작 요청하시는 분들 .. 거의 그냥 무조건 원문만 올리시고 부탁하시는데요..여기서 답변 하시는 분들이 전부 만물 박사는 아니거든요. 그럼..
5. the benefits and costs of public project may be measured In several ways : market prices serve well if there is no strong reason to believe they depart from social marginal costs. 공공 프로젝트의 비용-편익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측정 되어진다. 사회최저 비용들에서 떨어질걸 믿게끔 큰 이유가 없다면 시장가격이 적용된다.
shadow prices adjust unemployed and will remain so for the duration of the project, the opportunity cost is small. however, forecasting unemployment is difficult. 음성 가격들은 실업을 조절 하고 기회비용은 적고 프로젝트 기간 동안 남아 있게 된다.. 하지만 실업 예상하는것은 어렵다. if large government projects change equilibrium price, consumer surplus can be used to measure the effect on individuals. 큰 정부 사업이 평형가격을 변화를 준다면 소비자 잉여금은 개별적으로 받는 영향을 측정하는데 사용가능하다.
for nomarketed commodities, no prices are available. in some instances, the values of these commodities can be inferred by observing people's behavior. 생필품시장에 포함되지 않다면 가격은 이용불가능하다. (아마도 가격측정이 힘들다는 말인듯) 몇가지 경우에서 이런 일용품 가치는 사람들의 경향을 (구입하는) 관찰해서 추론 할수 있다.
two examples are computing the benefits of saving time and the benefits of a reduced probability of death 두가지 예가 시간 절약하는 효과와 사망 확률을 줄이는 효과를 계산 한다.( 사망확률이라는게 ..좀 . 아마도 물건 수명 이야기 하는거 같은데요..확인 바랍니다.. ) 6. certain intangible benefits and costs simply cannot be measured. the safest approach is to exclude these in a cost-benefit analysis and then calculate how large intangibles must be to reverse the decision 확실한 무형의 편익과 비용들은 간단히 측정할수 없다. 가장 안전한 접근방법은 비용-편익 분석에서 이런것들을 제외하고 얼마나 결정을 뒤집어야 하는 무형물이 얼마나 큰지 계산하는것이다. 7. cost-benefit analyses sometimes fall prey to several pitfalls: chain-reaction game - secondary benefits are included to make a proposal appear more favorable, without including the corresponding secondary costs labor game -wage are viewed as benefits rather than costs of the project. double-counting game - benefits are mistakenly counted twice. 비용-편익 분석은 가끔 여러가지 함정에서 전리품으로 전락한다. (뭐 함정에 빠져서 잘못된 결정을 내릴수도 있다는 ..) 반응게임에서 연쇄되는 두번째 혜택은 두번째 비용인 노동 게임에 대응하는걸 제외한채 제안을 좀더 유리하게 보이게 하는걸 포함한다--임금은 혜택보다는 프로젝트의 비용으로 보여진다. -- 계산 게임 -- 혜택들은 잘못해서 두번씩 계산된다. 8. whether distributional considerations belong In cost-benefit analysis is controversial. some analysts count dollars equally for all persons, while others apply weights that favor projects for selected population groups. because of the potential for political manipulation, distributional weights must be introduced explicitly 분배적인 고려가 포함 되던지에 비용-편익 분석은 쟁점이 된다. 다른 분석가들이 선택된 인구 그룹에 유리한 프로젝트에 무게를 두는 동안에 몇몇 분석가들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달러를 계산한다. 잠재적인 정치 조작때문에 분배되는 무게는 명백하게 소개 되어야만 한다. (어떤게 중점이 있는지 그 중요성을 밝혀야 한다는 말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