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인국/정진현 2013.11.25 00:00
과식과 미식이 몸을 망친다
글·최진규 한국토종약초연구학회 회장
올바른 섭생, 이렇게 하라
식위천(食爲天)이란 말이 있다. 음식이 곧 하늘이라는 뜻이다. 사람이 생명을 영위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먹지 않으면 목숨을 이어 갈 수 없고 움직일 수도 없다. 생명 있는 모든 것은 먹지 않고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음식을 잘못 먹으면 온갖 병에 걸려서 일찍 죽고, 음식을 잘 먹으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 ‘약왕(藥王)’으로 칭송을 받는 중국 당나라 때의 의학자 손사막은 “사람이 만 가지 질병으로 고통 받고 요절하는 것은 음식을 대부분 잘못 먹기 때문(萬病橫生 年命橫夭, 多有飮食之患)이다”라고 했다. 청나라 때의 명의 서대춘은 “예로부터 좋은 음식과 좋은 의복을 좋아하는 사람은 반드시 괴상한 병에 걸리고, 전쟁에서 꼭 이기려는 사람은 반드시 재앙을 만난다(古人好服食者 必生奇疾, 猶之好戰勝者 必有奇殃)”고 했다.
그렇다면 음식을 어떻게 먹는 것이 잘못 먹는 것일까?
그 첫째는 과식이고, 둘째는 편식이며 셋째는 함부로 먹는 것이다.
▲ 나물 위주로 섭취하되 소식해야 무병장수할 수 있다.
결코 지나치게 먹으면 안 되는 음식들
가장 나쁜 것은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이다. 곧 인위적으로 맛있게 한 음식과 기름진 음식을 배불리 먹고 마시는 것이 가장 나쁜 것이다. 요즘 물질문명이 발달해 먹을거리가 풍성해져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식을 너무 많이 먹는다. 미식(美食)이 가장 크게 몸을 망가뜨린다. 입을 위하다 보면 몸을 망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몸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 원나라 때의 명의 주진형(朱震亨)은 <격치여론(格致餘論)>이라는 책에서 “다섯 가지 맛있는 것을 지나치게 먹으면 몸에서 질병이 산봉우리처럼 일어난다(五味之過 疾病蜂起)”고 했다.
우리 전통의학에서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생선 등을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굽거나, 삶거나, 볶거나 할 것 없이 많이 먹으면 내열이 생겨 발열독(發熱毒), 개선(疥癬), 담열(痰熱), 옹(癰), 소갈(消渴), 통종(痛腫)과 수종(水腫)이 생긴다고 했다. 이를 현대 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고지혈증(高脂血症), 비만증,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통풍(痛風) 같은 질병들이다.
편식(偏食) 역시 과식과 같은 것이다. 어느 한 가지 음식만을 많이 먹으면 영양결핍과 영양의 불균형을 가져온다. 신진대사가 문란해지고 면역기능이 감퇴해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서 여러 가지 질병이 생긴다.
이를테면 짠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혈액이 굳어지고 얼굴빛이 창백해진다. 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머리카락이 생기를 잃고 푸석푸석 부서진다. 매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근육에 경련이 생기고 손톱과 발톱이 얇아져서 부서지기 쉽다.
신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에 딱딱한 점 같은 것이 생기고 못이 박힌다. 그리고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고 피가 난다.
달콤한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뼈가 물러지고 머리카락이 빠진다.
그렇다면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몸을 건강하게 하고 온갖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 2,000년 전에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지은 손자(孫子)는 군대는 숫자가 많다고 해서 강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음식은 적게 먹고 절도 있게 먹을 것이며 미식을 피해야 한다고 했다.
음식을 먹는 다섯 가지 원칙
음식을 먹을 때 다음의 다섯 가지 원칙을 지켜야 건강할 수 있다.
첫째, 음식을 배부르도록 먹지 말고, 미식(美食)에 유혹되지 말며,
편식하지 않는다.
주식을 채식으로 하되 곡식과 야채를 알맞게 섞어서 먹는다. 끼니 때마다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 간장, 김치를 빼 놓고 먹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전통 염장 발효식품을 같이 먹어야 몸속에서 부족한 효소를 보충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은 많이 먹으면 소화하기가 힘들다.
옛말에 ‘배고플 때 먹고, 갈증이 날 때 마시며, 조금씩 자주 먹고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라. 저녁을 조금만 먹고 자면 99세까지 살 수 있다’고 했다.
둘째,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아침을 거르지 말고 저녁은 늦게 먹지 말라.
보통 사람들은 하루에 세 끼를 먹는다. 음식물이 위속에 들어가 소화될 때까지 네다섯 시간이 걸린다. 아침은 오전 7시 전후에, 점심은
낮 12시 전후에, 저녁은 오후 6시 전후에 먹는 것이 좋다.
셋째, 양을 적게 먹고 몸에 해로운 음식은 아주 조금만 먹거나 아예 먹지 않는다.
모든 고기, 달걀, 우유, 커피, 설탕, 술, 인스턴트식품 같은 것들은
전혀 먹지 않으면 가장 좋고, 어쩔 수 없이 먹더라도 조금만 먹는 것이 몸에 이롭다.
중국 원나라 때 명의인 주단계(朱丹溪)는 ‘술과 고기와 매운 음식과 너무 뜨거운 음식과 단 음식과 불에 구운 음식과 기름에 볶은 음식은 피하라’고 했다.
넷째, 음식은 부드럽고 따뜻하게 해서 먹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어야 한다.
위와 비장은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찬 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여름이건 겨울이건 상관없이 음식물은 늘 따뜻하게 해서 먹어야 된다.
전기밥솥이 없던 옛날에 우리 어머니들은 자식이 직장이나 학교에서 돌아올 때까지 밥공기를 이불로 싸서 따뜻한 아랫목에 묻어 두었다. 딱딱한 음식이나 차가운 음식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음식은 꼭꼭 씹어 먹어야 영양이 제대로 흡수된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들의 음식은 푹 익혀서 부드럽고 따뜻하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중국 송나라 때의 시인 육유는 만년에 죽에 관하여 관심이 많았다.
그는 ‘식죽(食粥)’ 이란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서 ‘세상 사람들이
모두 장수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아무도 장수의 비결이 바로 눈앞에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나한테 신선처럼 되는 쉬운 방법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오직 죽을 끓여서 먹는 법이다’라고 했다.
다섯째, 깨끗한 음식과 신선한 음식을 먹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상하거나 쉰밥을 먹지 말고, 날곡식을 먹지 말 것이며, 썩은 음식물을 먹지 말고, 급성 전염병이나 돌림병에 걸려서 죽은 소나 돼지나 양과 닭고기는 먹지 말 것이며, 땅에 떨어진 과일을 주워 먹지 말아야 한다. 병원균이 몸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을 절제하는 것 못지않게 음식을 먹는 습관 또한 중요하다.
대략 음식을 먹을 때는 다음과 같은 것을 지켜야 한다. ‘식사할 때
말을 많이 하지 말 것. 밥을 먹은 후 급히 걷지 말고 천천히 걸을 것. 배부른 상태에서 잠을 자지 말 것. 밥을 먹고 난 후 배를 손바닥으로 살살 문질러 줄 것 등이다. 이렇게 하면 먹은 것이 소화흡수가 잘되어 소화불량에 걸리지 않는다.
궁중음식이 최악의 음식
▲ 불에 구운 고기는 가능하면 먹지 말되, 정녕코 먹고 싶으면 조금만 취해야 한다. |
옛날에 90세가 되었으나 젊은이 못지않게 건강한 한 노인이 있었다. 사람들이 찾아가서 오래 사는 비결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맛있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라고 한마디로 대답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음식을 꼽아 보라고 한다면 그 첫째가 궁중음식(宮中飮食)이라고 할 수 있다. 절대로 쓰면 안 되는 약은 궁중의약이다. 세상에서 가장 형편없는 의학이 있다면 궁중의학일 것이다. 궁궐요리, 궁중음식, 궁궐에서 먹는 술, 어주(御酒)… 이런 것들이 가장 나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스물일곱 명 임금의 평균 수명이 37세였다. 궁중에는 임금
한 사람의 몸을 돌보기 위한 의사, 곧 어의(御醫)가 늘 150여 명이 있었고, 임금님의 밥상을 차려 주는 일을 맡은 지밀상궁이 200명이 늘 궁궐에 있었다.
이 어의(御醫)와 지밀상궁이 임금의 몸을 망친 것이 아닌가. 그들은 임금한테 늘 최고의 보약과 가장 맛있는 미식과 향기로운 술, 고량진미(膏粱珍味)를 대접했다. 그 때문에 영양과잉과 불균형으로 임금들이 몸 안에 쓰레기와 독이 쌓여서 빨리 죽은 것이 아닌가.
조선의 임금들은 잦은 식사에 혹사를 당했다. 말이 식사지, ‘음식의 테러’나 마찬가지였다. 많게는 하루 7끼까지 먹어야 했다. 오전 7시 우유를 주재료로 만든 타락죽을 주축으로 한 초조반상, 오전 10시에 12첩 반상으로 된 아침수라, 오후 1시에는 국수를 축으로 한 낮것, 오후 5시 다시 12첩 반상으로 된 저녁수라, 밤에는 야참, 주안상과 다과상도 수시로 들락거렸다. 그래서 왕들이 단명한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에는 번뇌를 버리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어야
음식은 즐겁고 편안한 마음으로 먹어야 한다. 화가 났거나 우울하거나 슬플 때에는 먼저 마음을 편안하고 차분하게 가라앉힌 다음에
음식을 먹어야 한다.
고대의 의학자들도 이런 점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옛 양생가들은 다음의 두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근심과 걱정과 번뇌를 버리고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음식을 먹어야 한다. 화가 난 채로 음식을 먹으면 체하기 쉽다. 우울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손사막은 <천금요방>에서 ‘인지당식(人之當飾), 수거번뇌(須去煩惱)’ 라고 했다. ‘식사 시간에는 모든 번뇌를 버려라’ 는 뜻이다. 또 원(元)나라 때 이고(李杲)의 <동원십서(東垣十書)>에 ‘방노불가식(方怒不可食)’ 이라고 했다. ‘화가 나 있는 상태에서 식사하지 말라’ 는 뜻이다
명나라 때 왕채전(王蔡傳)은 <수진비요(修眞秘要)>에서 “매 끼니
전후에 슬픈 일과 기쁜 일과 화나는 일들과 마주치지 마라. 또 그러한 감정으로 인하여 신음하거나 한숨짓고 탄식하지 말라”고 했다.
둘째, 배고플 때 먹고 목마를 때 마셔야 한다. 그러나 배가 몹시 고플 때 밥을 먹으면 반드시 많이 먹게 되고, 몹시 갈증이 심할 때 물을
마시게 되면 반드시 너무 많이 마시게 된다.
밥을 많이 먹으면 체하고 음료를 많이 마시면 담이 생긴다. 그러므로 몹시 목마를 때 많이 마시지 말고, 몹시 배가 너무 고플 때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기와 혈이 상할까 두려워해야 한다. 폭식으로 기혈이 상하면 갑자기 죽을 수 있다. 흉년에 굶어서도 죽고 며칠 동안 굶은 후에 포식해 즉사하는 경우도 많다.
기름진 음식과 고기와 찰진 곡식과 미식을 피하고 담백한 음식을 취하는 것이 음식을 바르게 먹는 비결이다. 갈홍은 <포박자>에서 ‘약요연생(若要衍生), 장위요청(腸胃要淸)’ 이라고 했다. ‘오래 살기를 원하면 장과 위가 깨끗해야 된다’는 뜻이다.
명나라 때 왕채전은 <수진비요>에서 “음식을 급히 먹지 말라. 급하면 음식을 오래 씹을 수 없으므로 잘게 부수지 못한다. 음식물을 잘게
부수지 못하면 비기(脾氣)가 상한다. 음식은 꼭꼭 씹는 것이 좋으며 단단하여 잘 씹어지지 않는 음식은 소화되기 어렵다”고 했다.
중국의 전설적인 명의 화타에 의하면 음식물은 세 가지로 소화된다.
첫째는 화화(火化)이다. 곧 음식물을 풀어질 때까지 푹 삶아서 익히는 것을 말한다. 둘째는 구화(口化)이다. 음식을 입 안에서 오랫동안 씹어서 소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셋째는 복화(腹化)이다. 이는 음식이 위속에 들어가 소화되는 것을 말한다. 노인들은 특히 화화에 의지해야 된다. 잘 익어 부드러운 음식일수록 더 많은 정기가 쉽게 운송된다고 했다.
침이 가장 좋은 소화제이고 항암물질이다. 음식은 무엇이든지 천천히 꼭꼭 씹어서 침과 고루 섞어서 먹어야 한다. 음식물을 오랫동안 씹어 천천히 삼키면 소화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암을 예방한다는 것이 현대 의학으로 증명되었다.
일본 동지사(同志社) 대학의 서강(西崗) 교수 연구팀은 불에 구운
생선과 고기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암물질에 사람의 침[唾液]을 발라서 섭씨 37도의 온도에서 하루 저녁 두었더니 발암물질의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침을 바르지 않고 둔 상태에서는 발암물질이 크게 늘어났다고 했다.
또 일본의 신호(神戶) 여자약학대학(女子藥學大學) 교수팀은 여학생들의 침을 한 그릇에 모아서 여러 가지 종류의 발암물질에 발랐더니 세균의 돌연변이 현상이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강력한 발암물질인 아플라톡신(Aflatoxin)과 벤조피렌(Benzopyrene)과 니트로소아민(Nitrosamine) 같은 독성물질의 돌연변이 현상이 억제되었다고 했다.
고대의 의학자들은 하루 세 끼 중에서 아침밥을 특히 중시했으며
저녁식사는 소식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송나라 때 의학자 온혁(溫革)은 “저녁밥은 조반만 못하다. 저녁밥은 신시(申時)에 먹어야 되며
신시 후에 저녁을 먹을 경우엔 소량만 먹어라”고 했다. 신시(申時)는 오후 3시에서 오후 5시 사이를 일컫는다.
원나라 때 추광(鄒鑛)은 <수친양노신서(壽親養老新書)>에서 ‘야반감일구(夜飯減一口), 활득구십구(活得九十九)’ 라고 했다. 곧 ‘밤에 먹는 음식은 한 숟갈만 덜 먹어도 99세까지 살 수 있다’ 는 뜻이다.
명나라 때 심사(沈仕)도 저서 <섭생요록(攝生要錄)>에서 “밤에 음식을 먹지마라, 신시와 유시 사이에 저녁을 먹는 것이 좋다”고 했다.
유시는 오후 5시와 7시 사이를 말한다.
현대 의학에서도 아침식사의 질과 양을 중요하게 여긴다. 아침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저혈당이 되기 쉽다. 저혈당이 되면 정신집중이 잘 안 되고 정신이 흐려진다.
또 아침식사를 건너뛰면 오랫동안 위와 장이 비어 있어서 배가 고프므로 점심을 게눈 감추듯이 먹어치우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식후에
갈증이 나며 식곤증(食困症)이 온다.
식곤증이란 밥을 먹은 후 산소부족으로 인해 정신이 어찔하고 나른해 자꾸만 졸음이 오는 증세를 말한다. 위와 장이 비어 있는 시간이 길면 소화액의 분비가 줄어든다. 식사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면 위와 장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위장병이 생긴다.
저녁밥을 먹은 뒤부터 그 이튿날 점심때까지 음식을 먹지 않으면
담낭 속에 담즙이 가득 차 있게 된다. 그러나 아침 식사를 할 경우
지난 밤 사이에 담낭에 가득 채워져 있던 담즙이 흘러나온다.
그러나 아침을 거르면 담즙이 담낭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시간이
아침을 먹는 사람들보다 길어진다. 그렇게 되면 담즙이 담낭 속에
오래 정체되어서 담석이 되거나 염증을 일으키기 쉽다.
식후 일곱 계명
고대의 양생가들은 밥을 먹고 나서 산보(散步)를 하고 배를 문질러 주면 소화를 돕는다고 했다. 송나라 때 이지언(李之彦)은 <동곡소견(東谷所見)>에 ‘반후행삼십보(飯後行三十步), 불용개약포(不用開藥?)’라고 했다. ‘식사 후 삼십 보를 걸으면 약방문을 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밥을 먹고 나서 지켜야 할 일곱 가지 계율은 다음과 같다.
1 일계(一戒), 식후에 담배를 피우지 말 것.
식사 후에는 위장의 연동(蠕動) 운동이 늘어나고 혈액순환이 빨라진다. 그러므로 인체가 연기를 빨아들이는 능력 또한 늘어나서 담배
연기 속에 들어 있는 유독물질이 더 많이 인체 내에 흡수되어 몸에
해를 끼친다.
2 이계(二戒), 식사 후에 바로 과일을 먹지 말 것.
대부분의 사람들은 후식으로 과일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반대로 식사 뒤에 과일을 먹으면 몸에 해를 끼친다. 식사 후에 바로 과일을 먹으면 뱃속이 부풀어 오른다.
그리고 과일 속에 포함된 단당류(單糖類 : 포도당과 과당 따위) 물질이 위 속에 정체되고 효소로 인해 발효되어 뱃속이 부풀어 오르고
부글부글 끓게 된다. 과일은 식사 후 2~3시간이 지나서 먹는 것이
가장 좋으며 밥 먹기 한 시간 전에 먹는 것도 괜찮다.
3 삼계(三戒), 식사 후에 허리띠를 풀지 말 것.
식사 후에 배가 부르기 때문에 허리띠를 풀어버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좋지 못한 습관이다. 식사 후에 허리띠를 늦추면 복강 내의 압력이
허리띠를 풀자마자 갑자기 떨어지며 소화기관의 활동이 증가되고
인대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위하수(胃下垂)와 장폐색(腸閉塞)이
발생할 수 있다.
4 사계(四戒), 식사 후에 차를 마시지 말 것.
찻잎에 타닌(Tannin)이 많이 들어 있는데 타닌이 음식물의 단백질과 결합해 소화하기 힘든 응고물을 만든다.
5 오계(五戒), 식사 후에 많이 걷지 말 것.
식사 후에 복강 내에 들어 있는 소화기 계통으로 피가 몰려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는다. 그런데 식사 후에 많이 걸으면 소화기 계통에
있던 피가 사지(四肢)로 옮겨가기 때문에 음식물의 소화흡수에 지장이 생긴다.
6 육계(六戒), 식사 후에 목욕하지 말 것.
식사 후에 바로 목욕을 할 경우 소화기 계통에 있는 피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소화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7 칠계(七戒), 식사 후에 잠을 자지 말 것.
식사 후에 바로 잠을 자면 음식물이 위장 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소화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리고 위장병이 쉽게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필자 약력
나라 안에서 제일 많이 알려진 약초전문가다.
경북 성주 가야산 아래서 나서 자랐다.
걸음마를 시작할 무렵부터 산나물과 약초를 채취했다. 어려서부터 몸이 허약하여 고혈압, 암, 중풍 등 여러 가지 병을 앓았으나 약초를 이용해 스스로 치유했다. 약초를 연구하기 위해 히말라야, 아마존, 아프리카 등 세계 100여 나라를 여행했다.
현재 지리산 운림동천에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발로 찾은 향토명의>, <토종약초장수법>, <약초산행>, <약이 되는 우리 풀 꽃 나무> 등이 있다.그 첫째는 과식이고, 둘째는 편식이며 셋째는 함부로 먹는 것이다.
▲ 나물 위주로 섭취하되 소식해야 무병장수할 수 있다.
결코 지나치게 먹으면 안 되는 음식들
가장 나쁜 것은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이다. 곧 인위적으로 맛있게 한 음식과 기름진 음식을 배불리 먹고 마시는 것이 가장 나쁜 것이다. 요즘 물질문명이 발달해 먹을거리가 풍성해져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식을 너무 많이 먹는다. 미식(美食)이 가장 크게 몸을 망가뜨린다. 입을 위하다 보면 몸을 망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몸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 원나라 때의 명의 주진형(朱震亨)은 <격치여론(格致餘論)>이라는 책에서 “다섯 가지 맛있는 것을 지나치게 먹으면 몸에서 질병이 산봉우리처럼 일어난다(五味之過 疾病蜂起)”고 했다.
우리 전통의학에서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생선 등을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굽거나, 삶거나, 볶거나 할 것 없이 많이 먹으면 내열이 생겨 발열독(發熱毒), 개선(疥癬), 담열(痰熱), 옹(癰), 소갈(消渴), 통종(痛腫)과 수종(水腫)이 생긴다고 했다. 이를 현대 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고지혈증(高脂血症), 비만증,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통풍(痛風) 같은 질병들이다.
편식(偏食) 역시 과식과 같은 것이다. 어느 한 가지 음식만을 많이 먹으면 영양결핍과 영양의 불균형을 가져온다. 신진대사가 문란해지고 면역기능이 감퇴해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서 여러 가지 질병이 생긴다.
이를테면 짠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혈액이 굳어지고 얼굴빛이 창백해진다. 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머리카락이 생기를 잃고 푸석푸석 부서진다. 매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근육에 경련이 생기고 손톱과 발톱이 얇아져서 부서지기 쉽다.
신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에 딱딱한 점 같은 것이 생기고 못이 박힌다. 그리고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고 피가 난다.
달콤한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뼈가 물러지고 머리카락이 빠진다.
그렇다면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몸을 건강하게 하고 온갖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 2,000년 전에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지은 손자(孫子)는 군대는 숫자가 많다고 해서 강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음식은 적게 먹고 절도 있게 먹을 것이며 미식을 피해야 한다고 했다.
음식을 먹는 다섯 가지 원칙
음식을 먹을 때 다음의 다섯 가지 원칙을 지켜야 건강할 수 있다.
첫째, 음식을 배부르도록 먹지 말고, 미식(美食)에 유혹되지 말며,
편식하지 않는다.
주식을 채식으로 하되 곡식과 야채를 알맞게 섞어서 먹는다. 끼니 때마다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 간장, 김치를 빼 놓고 먹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전통 염장 발효식품을 같이 먹어야 몸속에서 부족한 효소를 보충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은 많이 먹으면 소화하기가 힘들다.
옛말에 ‘배고플 때 먹고, 갈증이 날 때 마시며, 조금씩 자주 먹고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라. 저녁을 조금만 먹고 자면 99세까지 살 수 있다’고 했다.
둘째,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아침을 거르지 말고 저녁은 늦게 먹지 말라.
보통 사람들은 하루에 세 끼를 먹는다. 음식물이 위속에 들어가 소화될 때까지 네다섯 시간이 걸린다. 아침은 오전 7시 전후에, 점심은
낮 12시 전후에, 저녁은 오후 6시 전후에 먹는 것이 좋다.
셋째, 양을 적게 먹고 몸에 해로운 음식은 아주 조금만 먹거나 아예 먹지 않는다.
모든 고기, 달걀, 우유, 커피, 설탕, 술, 인스턴트식품 같은 것들은
전혀 먹지 않으면 가장 좋고, 어쩔 수 없이 먹더라도 조금만 먹는 것이 몸에 이롭다.
중국 원나라 때 명의인 주단계(朱丹溪)는 ‘술과 고기와 매운 음식과 너무 뜨거운 음식과 단 음식과 불에 구운 음식과 기름에 볶은 음식은 피하라’고 했다.
넷째, 음식은 부드럽고 따뜻하게 해서 먹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어야 한다.
위와 비장은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찬 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여름이건 겨울이건 상관없이 음식물은 늘 따뜻하게 해서 먹어야 된다.
전기밥솥이 없던 옛날에 우리 어머니들은 자식이 직장이나 학교에서 돌아올 때까지 밥공기를 이불로 싸서 따뜻한 아랫목에 묻어 두었다. 딱딱한 음식이나 차가운 음식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음식은 꼭꼭 씹어 먹어야 영양이 제대로 흡수된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들의 음식은 푹 익혀서 부드럽고 따뜻하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중국 송나라 때의 시인 육유는 만년에 죽에 관하여 관심이 많았다.
그는 ‘식죽(食粥)’ 이란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서 ‘세상 사람들이
모두 장수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아무도 장수의 비결이 바로 눈앞에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나한테 신선처럼 되는 쉬운 방법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오직 죽을 끓여서 먹는 법이다’라고 했다.
다섯째, 깨끗한 음식과 신선한 음식을 먹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상하거나 쉰밥을 먹지 말고, 날곡식을 먹지 말 것이며, 썩은 음식물을 먹지 말고, 급성 전염병이나 돌림병에 걸려서 죽은 소나 돼지나 양과 닭고기는 먹지 말 것이며, 땅에 떨어진 과일을 주워 먹지 말아야 한다. 병원균이 몸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을 절제하는 것 못지않게 음식을 먹는 습관 또한 중요하다.
대략 음식을 먹을 때는 다음과 같은 것을 지켜야 한다. ‘식사할 때
말을 많이 하지 말 것. 밥을 먹은 후 급히 걷지 말고 천천히 걸을 것. 배부른 상태에서 잠을 자지 말 것. 밥을 먹고 난 후 배를 손바닥으로 살살 문질러 줄 것 등이다. 이렇게 하면 먹은 것이 소화흡수가 잘되어 소화불량에 걸리지 않는다.
궁중음식이 최악의 음식
▲ 불에 구운 고기는 가능하면 먹지 말되, 정녕코 먹고 싶으면 조금만 취해야 한다. |
옛날에 90세가 되었으나 젊은이 못지않게 건강한 한 노인이 있었다. 사람들이 찾아가서 오래 사는 비결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맛있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라고 한마디로 대답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음식을 꼽아 보라고 한다면 그 첫째가 궁중음식(宮中飮食)이라고 할 수 있다. 절대로 쓰면 안 되는 약은 궁중의약이다. 세상에서 가장 형편없는 의학이 있다면 궁중의학일 것이다. 궁궐요리, 궁중음식, 궁궐에서 먹는 술, 어주(御酒)… 이런 것들이 가장 나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스물일곱 명 임금의 평균 수명이 37세였다. 궁중에는 임금
한 사람의 몸을 돌보기 위한 의사, 곧 어의(御醫)가 늘 150여 명이 있었고, 임금님의 밥상을 차려 주는 일을 맡은 지밀상궁이 200명이 늘 궁궐에 있었다.
이 어의(御醫)와 지밀상궁이 임금의 몸을 망친 것이 아닌가. 그들은 임금한테 늘 최고의 보약과 가장 맛있는 미식과 향기로운 술, 고량진미(膏粱珍味)를 대접했다. 그 때문에 영양과잉과 불균형으로 임금들이 몸 안에 쓰레기와 독이 쌓여서 빨리 죽은 것이 아닌가.
조선의 임금들은 잦은 식사에 혹사를 당했다. 말이 식사지, ‘음식의 테러’나 마찬가지였다. 많게는 하루 7끼까지 먹어야 했다. 오전 7시 우유를 주재료로 만든 타락죽을 주축으로 한 초조반상, 오전 10시에 12첩 반상으로 된 아침수라, 오후 1시에는 국수를 축으로 한 낮것, 오후 5시 다시 12첩 반상으로 된 저녁수라, 밤에는 야참, 주안상과 다과상도 수시로 들락거렸다. 그래서 왕들이 단명한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에는 번뇌를 버리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어야
음식은 즐겁고 편안한 마음으로 먹어야 한다. 화가 났거나 우울하거나 슬플 때에는 먼저 마음을 편안하고 차분하게 가라앉힌 다음에
음식을 먹어야 한다.
고대의 의학자들도 이런 점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옛 양생가들은 다음의 두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근심과 걱정과 번뇌를 버리고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음식을 먹어야 한다. 화가 난 채로 음식을 먹으면 체하기 쉽다. 우울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손사막은 <천금요방>에서 ‘인지당식(人之當飾), 수거번뇌(須去煩惱)’ 라고 했다. ‘식사 시간에는 모든 번뇌를 버려라’ 는 뜻이다. 또 원(元)나라 때 이고(李杲)의 <동원십서(東垣十書)>에 ‘방노불가식(方怒不可食)’ 이라고 했다. ‘화가 나 있는 상태에서 식사하지 말라’ 는 뜻이다
명나라 때 왕채전(王蔡傳)은 <수진비요(修眞秘要)>에서 “매 끼니
전후에 슬픈 일과 기쁜 일과 화나는 일들과 마주치지 마라. 또 그러한 감정으로 인하여 신음하거나 한숨짓고 탄식하지 말라”고 했다.
둘째, 배고플 때 먹고 목마를 때 마셔야 한다. 그러나 배가 몹시 고플 때 밥을 먹으면 반드시 많이 먹게 되고, 몹시 갈증이 심할 때 물을
마시게 되면 반드시 너무 많이 마시게 된다.
밥을 많이 먹으면 체하고 음료를 많이 마시면 담이 생긴다. 그러므로 몹시 목마를 때 많이 마시지 말고, 몹시 배가 너무 고플 때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기와 혈이 상할까 두려워해야 한다. 폭식으로 기혈이 상하면 갑자기 죽을 수 있다. 흉년에 굶어서도 죽고 며칠 동안 굶은 후에 포식해 즉사하는 경우도 많다.
기름진 음식과 고기와 찰진 곡식과 미식을 피하고 담백한 음식을 취하는 것이 음식을 바르게 먹는 비결이다. 갈홍은 <포박자>에서 ‘약요연생(若要衍生), 장위요청(腸胃要淸)’ 이라고 했다. ‘오래 살기를 원하면 장과 위가 깨끗해야 된다’는 뜻이다.
명나라 때 왕채전은 <수진비요>에서 “음식을 급히 먹지 말라. 급하면 음식을 오래 씹을 수 없으므로 잘게 부수지 못한다. 음식물을 잘게
부수지 못하면 비기(脾氣)가 상한다. 음식은 꼭꼭 씹는 것이 좋으며 단단하여 잘 씹어지지 않는 음식은 소화되기 어렵다”고 했다.
중국의 전설적인 명의 화타에 의하면 음식물은 세 가지로 소화된다.
첫째는 화화(火化)이다. 곧 음식물을 풀어질 때까지 푹 삶아서 익히는 것을 말한다. 둘째는 구화(口化)이다. 음식을 입 안에서 오랫동안 씹어서 소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셋째는 복화(腹化)이다. 이는 음식이 위속에 들어가 소화되는 것을 말한다. 노인들은 특히 화화에 의지해야 된다. 잘 익어 부드러운 음식일수록 더 많은 정기가 쉽게 운송된다고 했다.
침이 가장 좋은 소화제이고 항암물질이다. 음식은 무엇이든지 천천히 꼭꼭 씹어서 침과 고루 섞어서 먹어야 한다. 음식물을 오랫동안 씹어 천천히 삼키면 소화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암을 예방한다는 것이 현대 의학으로 증명되었다.
일본 동지사(同志社) 대학의 서강(西崗) 교수 연구팀은 불에 구운
생선과 고기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암물질에 사람의 침[唾液]을 발라서 섭씨 37도의 온도에서 하루 저녁 두었더니 발암물질의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침을 바르지 않고 둔 상태에서는 발암물질이 크게 늘어났다고 했다.
또 일본의 신호(神戶) 여자약학대학(女子藥學大學) 교수팀은 여학생들의 침을 한 그릇에 모아서 여러 가지 종류의 발암물질에 발랐더니 세균의 돌연변이 현상이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강력한 발암물질인 아플라톡신(Aflatoxin)과 벤조피렌(Benzopyrene)과 니트로소아민(Nitrosamine) 같은 독성물질의 돌연변이 현상이 억제되었다고 했다.
고대의 의학자들은 하루 세 끼 중에서 아침밥을 특히 중시했으며
저녁식사는 소식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송나라 때 의학자 온혁(溫革)은 “저녁밥은 조반만 못하다. 저녁밥은 신시(申時)에 먹어야 되며
신시 후에 저녁을 먹을 경우엔 소량만 먹어라”고 했다. 신시(申時)는 오후 3시에서 오후 5시 사이를 일컫는다.
원나라 때 추광(鄒鑛)은 <수친양노신서(壽親養老新書)>에서 ‘야반감일구(夜飯減一口), 활득구십구(活得九十九)’ 라고 했다. 곧 ‘밤에 먹는 음식은 한 숟갈만 덜 먹어도 99세까지 살 수 있다’ 는 뜻이다.
명나라 때 심사(沈仕)도 저서 <섭생요록(攝生要錄)>에서 “밤에 음식을 먹지마라, 신시와 유시 사이에 저녁을 먹는 것이 좋다”고 했다.
유시는 오후 5시와 7시 사이를 말한다.
현대 의학에서도 아침식사의 질과 양을 중요하게 여긴다. 아침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저혈당이 되기 쉽다. 저혈당이 되면 정신집중이 잘 안 되고 정신이 흐려진다.
또 아침식사를 건너뛰면 오랫동안 위와 장이 비어 있어서 배가 고프므로 점심을 게눈 감추듯이 먹어치우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식후에
갈증이 나며 식곤증(食困症)이 온다.
식곤증이란 밥을 먹은 후 산소부족으로 인해 정신이 어찔하고 나른해 자꾸만 졸음이 오는 증세를 말한다. 위와 장이 비어 있는 시간이 길면 소화액의 분비가 줄어든다. 식사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면 위와 장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위장병이 생긴다.
저녁밥을 먹은 뒤부터 그 이튿날 점심때까지 음식을 먹지 않으면
담낭 속에 담즙이 가득 차 있게 된다. 그러나 아침 식사를 할 경우
지난 밤 사이에 담낭에 가득 채워져 있던 담즙이 흘러나온다.
그러나 아침을 거르면 담즙이 담낭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시간이
아침을 먹는 사람들보다 길어진다. 그렇게 되면 담즙이 담낭 속에
오래 정체되어서 담석이 되거나 염증을 일으키기 쉽다.
식후 일곱 계명
고대의 양생가들은 밥을 먹고 나서 산보(散步)를 하고 배를 문질러 주면 소화를 돕는다고 했다. 송나라 때 이지언(李之彦)은 <동곡소견(東谷所見)>에 ‘반후행삼십보(飯後行三十步), 불용개약포(不用開藥?)’라고 했다. ‘식사 후 삼십 보를 걸으면 약방문을 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밥을 먹고 나서 지켜야 할 일곱 가지 계율은 다음과 같다.
1 일계(一戒), 식후에 담배를 피우지 말 것.
식사 후에는 위장의 연동(蠕動) 운동이 늘어나고 혈액순환이 빨라진다. 그러므로 인체가 연기를 빨아들이는 능력 또한 늘어나서 담배
연기 속에 들어 있는 유독물질이 더 많이 인체 내에 흡수되어 몸에
해를 끼친다.
2 이계(二戒), 식사 후에 바로 과일을 먹지 말 것.
대부분의 사람들은 후식으로 과일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반대로 식사 뒤에 과일을 먹으면 몸에 해를 끼친다. 식사 후에 바로 과일을 먹으면 뱃속이 부풀어 오른다.
그리고 과일 속에 포함된 단당류(單糖類 : 포도당과 과당 따위) 물질이 위 속에 정체되고 효소로 인해 발효되어 뱃속이 부풀어 오르고
부글부글 끓게 된다. 과일은 식사 후 2~3시간이 지나서 먹는 것이
가장 좋으며 밥 먹기 한 시간 전에 먹는 것도 괜찮다.
3 삼계(三戒), 식사 후에 허리띠를 풀지 말 것.
식사 후에 배가 부르기 때문에 허리띠를 풀어버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좋지 못한 습관이다. 식사 후에 허리띠를 늦추면 복강 내의 압력이
허리띠를 풀자마자 갑자기 떨어지며 소화기관의 활동이 증가되고
인대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위하수(胃下垂)와 장폐색(腸閉塞)이
발생할 수 있다.
4 사계(四戒), 식사 후에 차를 마시지 말 것.
찻잎에 타닌(Tannin)이 많이 들어 있는데 타닌이 음식물의 단백질과 결합해 소화하기 힘든 응고물을 만든다.
5 오계(五戒), 식사 후에 많이 걷지 말 것.
식사 후에 복강 내에 들어 있는 소화기 계통으로 피가 몰려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는다. 그런데 식사 후에 많이 걸으면 소화기 계통에
있던 피가 사지(四肢)로 옮겨가기 때문에 음식물의 소화흡수에 지장이 생긴다.
6 육계(六戒), 식사 후에 목욕하지 말 것.
식사 후에 바로 목욕을 할 경우 소화기 계통에 있는 피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소화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7 칠계(七戒), 식사 후에 잠을 자지 말 것.
식사 후에 바로 잠을 자면 음식물이 위장 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소화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리고 위장병이 쉽게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필자 약력
나라 안에서 제일 많이 알려진 약초전문가다.
경북 성주 가야산 아래서 나서 자랐다.
걸음마를 시작할 무렵부터 산나물과 약초를 채취했다. 어려서부터 몸이 허약하여 고혈압, 암, 중풍 등 여러 가지 병을 앓았으나 약초를 이용해 스스로 치유했다. 약초를 연구하기 위해 히말라야, 아마존, 아프리카 등 세계 100여 나라를 여행했다.
현재 지리산 운림동천에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발로 찾은 향토명의>, <토종약초장수법>, <약초산행>, <약이 되는 우리 풀 꽃 나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