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질문하는 문제의 출제 연도와 번호를 꼭 적어주세요 (예 : 2045년 3번)
선생님 안녕하세요
기존 글들을 모두 참고하여 해당 문제들을 풀이할 때
(1) 일반적 수요함수 제시시 (2020년 18번)
P=MC로 구하기
(2) total 값 제시시 (2012년 17번)
MR=MC로 구하라는 것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
이 부분이 완전경쟁시장이기때문에 이렇게 풀이가 가능한 것 같은데요..!
(완전경쟁시장에서는 P=MR이고, MR=MC에서 이윤 극대화)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2020년 18번, 2012년 17번 등에서 주어진
수요곡선, 총수입 및 총비용 등은
—> 시장 전체 입장인가요?
—> 혹은 개별 기업의 입장인가요?
MR=MC로 구하기 때문에 개별기업입장인 것 같다가도
수요곡선이 우하향 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입장인 것 같기도 합니다…ㅠㅠ
즉 외부성에 대한 그래프들 (예를 들어 이 문제들이 아니더라도 2017년 11번 문제 등..) 은 시장 전체의 입장인지 혹은 개별 기업의 입장인지 궁금합니다..!
2.
2011년 15번도 비슷한 결의 문제입니다.
이 문제에서
PMB=100+0.5N
EMB= 0.1N 인데요,
여기서는 PMB가 철수 개인의 효용이므로 “사회 전체가
아닌 개인편익”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EMB는 철수 한명이 새로 가입했을때 “사회 전체”의 효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로 이해를 했는데요..!
SMB=PMB+EMB 의 식을 (이 문제에서는 딱히 물어보진 않았지만)
위의 식을 이용하여서 SMB= 100+0.5N+0.1N 등의 방법으로 구하면 안되는 걸로 이해를 했는데, 제 생각이 맞는건가요…?
전반적으로 시장실패 챕터와 완전경쟁 챕터가 혼동이 많이 되네요ㅠㅜ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첫댓글 안녕하세요, 손병익 회계사입니다.
1. 2020년 문제는 개별 기업에 관해 물어보는 것이 아니고 화학제품 전체에 관한 내용이므로 시장 전체입니다.
2012년 문제는 개별 기업에 관해 물어보았으므로 개별 기업입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에 따라 풀이를 하면 됩니다.
개별 기업이라 해도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에 직면할 수 있고(과점, 독점적 경쟁 등)
수평의 수요곡선에 직면할 수도 있습니다. (완전경쟁)
2. SMB는 구하신 식 맞습니다.
철수 개인도 사회에 포함되기 때문에 PMB도 SMB에 포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