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모의고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공개한 기출문제를 분석한 후 효율적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것으로 문제 순서와 일부 지문은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출제의도로 볼 수 있는 키워드 및 사전적 정의는 유지하였고, 답항 순서와 일부 지문을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답안에 해당하는 지문・용어・이미지는 유지하였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문제 파일 첫페이지에 게재하였습니다.)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문제 파일은 각 회차별 CBT 내에 첨부하였습니다.
|
|
|
|
기출문제 랜덤모의고사
|
1. 조경의 직무는 조경설계기술자, 조경시공기술자, 조경관리기술자로 크게 분류 할 수 있다. 그 중 조경설계기술자의 직무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가. 병해충방제
나. 조경묘목생산
다. 식재공사
라. 시공감리
2. “형태, 색채와 더불어 ( )은(는)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서 물체의 조성 성질을 말하며, 이는 우리의 감각을 통해 형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 )안에 들어갈 디자인 요소는?
가. 입체
나. 공간
다. 질감
라. 광선
3. 실선의 굵기에 따른 종류(굵은선, 중간선, 가는선)와 용도가 바르게 연결되어 있는 것은?
가. 가는선 - 단면선
나. 가는선 - 파선
다. 중간선 - 치수선
라. 굵은선 - 도면의 윤곽선
4. 주축선 양쪽에 짙은 수림을 만들어 주축선이 두드러지게 하는 비스타(vista)수법을 가장 많이 이용한 정원은?
가. 영국정원
나. 프랑스정원
다. 이탈리아정원
라. 독일정원
5. 다음 중 설치기준의 제한은 없으며, 유치거리 500m 이하, 공원면적 10,00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주로 인근에 거주하는 자의 이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 도시공원의 종류는?
가. 도보권근린공원
나. 묘지공원
다. 어린이공원
라. 근린생활권근린공원
6. 경관구성의 미적 원리를 통일성과 다양성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다양성에 해당하는 것은?
가. 조화
나. 균형
다. 강조
라. 대비
7. 먼셀의 색상환에서 BG는 무슨 색인가?
가. 연두색
나. 남색
다. 청록색
라. 보라색
8. 오방색 중 황(黃)의 오행과 방위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금(金) - 서쪽
나. 목(木) - 동쪽
다. 토(土) - 중앙
라. 수(水) - 북쪽
9. 다음 중 별서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별장의 성격을 갖기 위한 것
나. 수목을 가꾸기 위한 것
다. 은둔생활을 하기 위한 것
라. 효도하기 위한 것
10. 정형식 배식 방법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가. 교호식재 -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는 식재
나. 대식 - 시선축의 좌우에 같은 형태, 같은 종류의 나무를 대칭 식재
다. 열식 - 같은 형태와 종류의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선상에 식재
라. 단식 - 생김새가 우수하고, 중량감을 갖춘 정형수를 단독으로 식재
11. “응접실이나 거실 쪽에 면하며, 주택정원의 중심이 되고, 가족의 구성단위나 취향에 따라 계획한다.“와 같은 목적의 뜰은 주택정원의 어디에 해당하는가?
가. 안뜰
나. 앞뜰
다. 뒤뜰
라. 작업뜰
12. 우리나라에서 처음 조경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가. 급속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나. 공장폐수로 인한 수질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다. 인구증가로 인해 놀이, 휴게시설의 부족 해결을 위해
라. 고속도로, 댐 등 각종 경제개발에 따른 국토의 자연훼손의 해결을 위해
13. 중국 청나라 때의 유적이 아닌 것은?
가. 이화원
나. 졸정원
다. 자금성 금원
라. 원명원 이궁
14. 영국인 Brown의 지도하에 덕수궁 석조전 앞뜰에 조성된 정원 양식과 관계되는 것은?
가. 보르비콩트 정원
나. 센트럴파크
다. 분구원
라. 빌라 메디치
15. 메소포타미아의 대표적인 정원은?
가. 마야사원
나. 바빌론의 공중정원
다. 베르사이유 궁전
라. 타지마할 사원
16. 혼화재의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종류로는 포졸란, AE제 등이 있다.
나. 혼화재료는 그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다. 종류로는 슬래그, 감수제 등이 있다.
라. 혼화재는 혼화제와 같은 것이다.
17.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려면 좋은 품질의 골재를 사용해야 하는데, 좋은 골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납작하거나 길지 않고 구형이 가까울 것
나. 골재의 표면이 깨끗하고 유해 물질이 없을 것
다. 굳은 시멘트 페이스트보다 약한 석질일 것
라. 굵고 잔 것이 골고루 섞여 있을 것
18. 시멘트 액체 방수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비소계
나. 규산소다계
다. 염화칼슘계
라. 지방산계
19. 다음 중 화성암 계통의 석재인 것은?
가. 화강암
나. 점판암
다. 대리석
라. 사문암
20. 석재의 분류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가. 성인에 의한 방법
나. 산출상태에 의한 방법
다. 조직구조에 의한 방법
라. 화학성분에 의한 방법
21. 목재의 방부처리 방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것은?
가. 가압 주입법
나. 도포법
다. 생리적 주입법
라. 침지법
22. 다음 중 압축강도(㎏f/㎠)가 가장 큰 목재는?
가. 오동나무
나. 밤나무
다. 삼나무
라. 낙엽송
23. 다음 중 인공지반을 만들려고 할 때 사용되는 경량토로 부적합한 것은?
가. 버미큘라이트
나. 모래
다. 펄라이트
라. 부엽토
24. 기건상태에서 목재 표준함수율은 어느 정도인가?
가. 5%
나. 15%
다. 25%
라. 35%
25. 쾌적한 가로환경과 환경보전, 교통제어, 녹음과 계절성, 시선유도등으로 활용하고 있는 가로수로 적합하지 않은 수종은?
가. 이팝나무
나. 은행나무
다. 메타세콰이어
라. 능소화
26. 생태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식생매트
나. 잔디블록
다. 녹화마대
라. 식생자루
27. 조경 수목이 규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괄호안의 영문은 기호를 의미한다)
가. 수고(W) : 지표면으로부터 수관의 하단부까지의 수직높이
나. 지하고(BH) : 지표면에서 수관이 맨 아랫가지 까지의 수직높이
다. 흉고직경(R) : 지표면 줄기의 굵기
라. 근원직경(B) : 가슴 높이 정도의 줄기의 지름
28. 줄기의 색이 아름다워 관상가치를 가진 대표적인 수종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갈색계의 수목 : 편백
나. 적갈색계의 수목 : 소나무
다. 흑갈색계의 수목 : 벽오동
라. 백색계의 수목 : 자작나무
29. 홍색(紅色) 열매를 맺지 않는 수종은?
가. 산수유
나. 쥐똥나무
다. 주목
라. 사철나무
30. 형상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종은?
가. 주목
나. 명자나무
다. 단풍나무
라. 소나무
31. 다음 조경 수목 중 음수인 것은?
가. 향나무
나. 느티나무
다. 비자나무
라. 소나무
32. 활엽수이지만 잎의 형태가 침엽수와 같아서 조경적으로 침엽수로 이용하는 것은?
가. 은행나무
나. 산딸나무
다. 위성류
라. 이나무
33. 수종에 따라 또는 같은 수종이라도 개체의 성질에 따라 삽수의 발근에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삽목 시 발근이 잘되지 않는 수종은?
가. 오리나무
나. 무궁화
다. 개나리
라. 꽝꽝나무
34. 다음 중 낙엽활엽교목으로 부채꼴형 수형이며, 야합수(夜合樹)라 불리기도 하며, 여름에 피는 꽃은 분홍색으로 화려하며, 천근성 수종으로 이식에 어려움이 있는 수종은?
가. 서향
나. 치자나무
다. 은목서
라. 자귀나무
35. 산울타리에 적합하지 않은 식물 재료는?
가. 무궁화
나. 느릅나무
다. 측백나무
라. 꽝꽝나무
36. 다음 [보기]에서 입찰의 순서로 옳은 것은?
가. 현장설명→ 개찰 → 입찰공고 → 입찰 → 낙찰 → 계약
나. 입찰공고 → 입찰 → 낙찰 → 계약 → 현장설명→ 개찰
다. 입찰공고 → 현장설명→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
라. 입찰공고 →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 → 현장설명
37. 공사의 실시방식 중 공동 도급의 특징이 아닌 것은?
가. 여러 회사의 참여로 위험이 분산된다.
나. 이해 충돌이 없고, 임기응변 처리가 가능하다.
다. 공사이행의 확실성이 보장된다.
라. 공사의 하자책임이 불분명하다.
38. 공사원가에 의한 공사비 구성 중 안전관리비가 해당되는 것은?
가. 간접재료비
나. 간접노무비
다. 경비
라. 일반관리비
39. 공원 행사의 개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가. 기획 → 제작 → 실시 → 평가
나. 평가 → 제작 → 실시 → 기획
다. 제작 → 평가 → 기획 → 실시
라. 제작 → 실시 → 기획 → 평가
40. 지형도에서 U자 모양으로 그 바닥이 낮은 높이의 등고선을 향하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가. 계곡
나. 능선
다. 현애
라. 동구
41. 크롬산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료로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도료는?
가. 광명단
나. 파커라이징
다. 그라파이트
라. 징크로메이트
42. 어린이 놀이 시설물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미끄럼대의 미끄럼판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30~40도 정도의 범위로 한다.
나. 모래터는 하루 4~5시간의 햇볕이 쬐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위치한다.
다. 시소는 출입구에 가까운 곳, 휴게소 근처에 배치하도록 한다.
라. 그네는 통행이 많은 곳을 피하여 동서방향으로 설치한다.
43. 토공 작업 시 지반면보다 낮은 면의 굴착에 사용하는 기계로 깊이 6m 정도의 굴착에 적당하며, 백호우라고도 불리는 기계는?
가. 파워 쇼벨
나. 드랙 쇼벨
다. 클램 쉘
라. 드랙 라인
44. 콘크리트를 혼합한 다음 운반해서 다져 넣을 때까지 시공성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성질 즉 콘크리트의 시공성을 나타내는 것은?
가. 슬럼프시험
나. 워커빌리티
다. 물・시멘트비
라. 양생
45. 흙깎기(切土)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보통 토질에서는 흙깎기 비탈면 경사를 1:0.5 정도로 한다.
나. 식재공사가 포함된 경우의 흙깎기에서는 지표면 표토를 보존하여 식물생육에 유용하도록 한다.
다. 작업물량이 기준보다 작은 경우 인력보다는 장비를 동원하여 시공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라. 흙깎기를 할 때는 안식각보다 약간 크게 하여 비탈면의 안정을 유지한다.
46. 배수공사 중 지하층 배수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속도랑의 깊이는 심근성보다 천근성 수종을 식재할 때 더 깊게 한다.
나. 큰 공원에서는 자연 지형에 따라 배치하는 자연형 배수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다. 암거배수의 배치형태는 어골형, 평행형, 빗살형, 부채살형, 자유형 등이 있다.
라. 지하층 배수는 속도랑을 설치해 줌으로써 가능하다.
47. 다음 중 교목의 식재 공사 공정으로 옳은 것은?
가. 수목방향 정하기 → 구덩이파기→ 물 죽쑤기 → 묻기 → 지주세우기 → 물집 만들기
나. 구덩이 파기 → 물 죽쑤기 → 지주세우기 → 수목방향 정하기 → 물집 만들기
다. 구덩이 파기 → 수목방향 정하기 → 묻기 → 물 죽쑤기 → 지주세우기 → 물집 만들기
라. 수목방향 정하기 → 구덩이 파기 → 묻기 → 지주세우기 → 물 죽쑤기 → 물집 만들기
48. 생울타리처럼 수목이 대상으로 군식 되었을 때 거름 주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전면 거름주기
나. 방사상 거름주기
다. 천공 거름주기
라. 선상 거름주기
49. 다음 중 학교 조경의 수목 선정 기준에 가장 부적합한 것은?
가. 생태적 특성
나. 경관적 특성
다. 교육적 특성
라. 조형적 특성
50. 다음 중 수목의 굵은 가지치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톱으로 자른 자리의 거친 면은 손칼로 깨끗이 다듬는다.
나. 잘라낼 부위는 아래쪽에 가지 굵기의 1/3정도 깊이까지 톱자국을 먼저 만들어 놓는다.
다. 톱을 돌려 아래쪽에 만들어 놓은 상처보다 약간 높은 곳을 위에서부터 내리 자른다.
라. 잘라낼 부위는 먼저 가지의 밑동으로부터 10~15㎝ 부위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내리 자른다.
51. 겨울 전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제거 대상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작업도 용이하다
나. 휴면 중이기 때문에 굵은 가지를 잘라 내어도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다. 상록수는 동계에 강전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라. 12~3월에 실시한다.
52. 다음 중 뿌리분의 형태별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보통분
나. 사각분
다. 접시분
라. 조개분
53. 다음 중 수간주입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구멍의 각도는 50~60도 가량 경사지게 세워서, 구멍지름 20㎜ 정도로 한다.
나. 뿌리가 제구실을 못하고 다른 시비방법이 없을 때 빠른 수세회복을 원할 때 사용한다.
다. 구멍속의 이물질과 공기를 뺀 후 주입관을 넣는다.
라. 중력식 수간주사는 가능한 한 지제부 가까이에 구멍을 뚫는다.
54. 정원수의 거름주기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지효성의 유기질 비료는 밑거름으로 준다.
나. 지효성 비료는 늦가을에서 이른 봄 사이에 준다.
다. 속효성 거름은 7월 이후에 준다.
라. 질소질 비료와 같은 속효성 비료는 덧거름으로 준다.
55. 질소기아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미생물과 고등식물 간에 질소경쟁이 일어난다.
나. 미생물 상호간의 질소경쟁이 일어난다.
다. 토양으로부터 질소의 유실이 촉진된다.
라. 탄질율이 높은 유기물이 토양에 가해질 경우 발생한다.
56. 다음 중 세균에 의한 수목병은?
가. 소나무 잎녹병
나. 뽕나무 오갈병
다. 밤나무 뿌리혹병
라. 포플러 모자이크병
57. 참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매개충의 암컷 등판에는 곰팡이를 넣는 균낭이 있다.
나. 매개충은 광릉긴나무좀이다.
다. 피해목은 초가을에 모든 잎이 낙엽 된다.
라. 월동한 성충은 5월경에 침입공을 빠져나와 새로운 나무를 가해한다.
58. 다음 중 유충은 적색, 분홍색, 검은색이며, 끈끈한 분비물을 분비하며, 식물의 어린잎이나 새가지, 꽃봉오리에 붙어 수액을 빨아먹어 생육을 억제하며, 점착성분비물을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발생시키는 해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진딧물
나. 깍지벌레
다. 응애
라. 솜벌레
59. 한국 잔디의 해충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가. 선충
나. 거세미나방
다. 땅강아지
라. 풍뎅이 유충
60. 잔디의 상토소독에 사용하는 약제는?
가. 메티다티온
나. 메틸브로마이드
다. 디캄바
라. 에테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