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더팩트'가 단독 입수한 재단 '정관'에 따르면 등기를 마친 이명박 재단은 공식 출범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정관은 '총 9장 43조'로, 총칙과 재산 및 회계·임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관 상 법인의 목적은 이명박 대통령의 철학과 업적을 기리는 것(제2조)이며, 법인의 주 사무소(제3조)는 강남구 대치동에 두고 필요한 경우 이사회 의결에 따라 국내·외 다른 지역에 분사무소를 둘 수 있다. /그래픽=정용무 디자이너, 더팩트DB |
[더팩트 ㅣ 대치동=오경희·고수정 기자] '(재)이명박대통령 기념재단(약칭 이명박 재단, 영문 ' Lee Myung-bak Foundation')'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19일 <더팩트>가 단독 입수한 재단 '정관'에 따르면 등기를 마친 이명박 재단은 공식 출범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재단 공식 출범은 빨라야 내년 하반기로 전망되고 있지만, 재단은 운영의 뼈대가 되는 '정관'과 실무를 맡을 사무실 마련은 물론 재단을 알릴 홈페이지 구축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정관은 총 9장 43조로, 총칙과 재산 및 회계·임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관 상 법인의 목적은 이명박 대통령의 철학과 업적을 기리는 것(제2조)이며, 법인의 주 사무소(제3조)는 강남구 대치동에 두고 필요한 경우 이사회 의결에 따라 국내·외 다른 지역에 분사무소를 둘 수 있다.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결과 지난달 19일 재단법인 등기를 마쳤으며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소재 S건물에 재단 사무실을 마련했다. MB 정부 때 주요 인사가 법인 이사를 맡았고, 임기(제18조)는 3년이다. 현재 재단 자산총액은 6억2500만원으로 이른바 'MB맨' 150여명이 출연한 것으로 파악됐다.
◆ 대치동 15평 오피스텔 월세 임대…홈페이지 '작업 중'
|
이명박 재단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S건물에 자리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팩트' 취재진이 직접 이 곳을 찾았지만, 문은 굳게 닫혀있었다. 재단의 사무실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무실과 도보 5분 거리(위)에 있다. S건물 내·외부와 배치도(아래). /대치동=고수정 기자 |
정관과 등기부등본 상 주소지인 재단법인 사무소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S건물에 자리잡았다. 퇴임 후 마련한 이명박 대통령의 사무실과 일반 성인 도보로 약 5분거리(약 351m)에 위치하고 있다. S건물은 지하 5층 지상 23층 규모의 집합건물로 일반 상가와 사무실 등이 입주해 있다. 18일 취재진이 사무실 호수를 파악해 이곳을 찾았으나 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인기척을 느낄 수 없었다.
건물 내 부동산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재단 사무실은) 15평(실평수)으로, 매매가격은 1억6000만원대이며, 임대할 경우 보증금 1000만원·월세 13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등기상 이 사무실은 한때 S그룹 모 회장이 소유자였지만 두 차례 소유권 이전을 거쳐 현재는 일반 개인이 권리자로 등재돼 있다.
이 건물을 관리하는 한 관계자는 "사무실이라고 등기에만 올려놓고, 실제로 거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잘 모르겠다"면서 "이명박 기념 재단 사무실이 들어왔다"는 얘기는 (나는) 듣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
이명박 재단의 법인등기부등본. |
재단 측 관계자는 19일 <더팩트>와 전화 통화에서 "매매는 아니고, 월세로 임대했으며 아직 상주하고 있지 않다"면서 "이명박 대통령님 사무실과 가까운 것은 아무래도 업무를 보고하고, 손님을 응대하는 일이 원활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사무실과 별도로 홈페이지 구축은 어느 정도 진행돼 있는 상황이다. <더팩트>가 미리 들여다 본 이명박 재단 홈페이지(아래 사진 참조)는 ▲이명박 대통령이 걸어온 길, 저서, 김윤옥 여사 ▲재단 소개 및 설립 취지 ▲사업 목적 및 계획 등으로 구성됐다.
◆ 현 자산총액 6억2500만원, MB맨 150여명 십시일반 출자
|
지난 3월 2일부터 시작된 이명박 재단 설립은 MB 정부에서 장·차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을 지낸 인사 50여 명이 서울의 한 식당에서 기념재단 발기인 모임을 가지면서 알려졌다. 지난 2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선진한반도포럼' 만찬 모임에 참석한 이명박(왼쪽) 전 대통령과 MB 정부 핵심 실세로 불리는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 임태희 전 청와대 비서실장,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오른쪽). /서울팔래스호텔=오경희 기자 |
재단 설립의 시작은 지난 3월 2일이다. MB 정부에서 장·차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을 지낸 인사 50여 명이 서울의 한 식당에서 기념재단 발기인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경한·이귀남·권재진 전 법무부 장관, 박재완 전 기획재정·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 장관, 류우익·정정길 전 대통령실장 등이 참석했다.
당시 발기인 모임에 참석했던 인사들은 법인 등기 이사에 이름을 올렸다. 임원(제15조)은 이사장 1명, 이사 5~15명 이내, 감사 2명이다. 임기(제18조)는 3년,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법인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결과, 이사장은 이 전 대통령의 장학재단인 '청계재단' 이사진 중 한 명인 이재후 김앤장 대표변호사가 맡았다. 또 류우익 전 통일부장관,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이달곤 전 안전행정부 장관, 임채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한미숙 전 청와대 중소기업비서관이 이사로 참여했다.
재단의 자산 총액은 6억2500만 원이다. 재단 한 관계자는 "재단 설립에 뜻을 같이 하는 150여명이 십시일반 형태로 출연했다"고 말했다. 산술적으로 1인당 약 416만원을 내놨다.
재단 관계자는 "출연에 동참한 150여명의 인사 명단은 현 시점에서는 밝힐 수 없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정가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공감하는 이른바 'MB맨'들이 참여했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지난 2일 서울팔래스호텔에서 열린 한반도재단포럼에는 정운찬·김황식 전 국무총리, 류우익·임태희 전 대통령비서실장,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천식 전 통일부 차관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현직 의원 중에서는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 류성걸 의원이 참석했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재단설립에 관여했을 것으로 정치권에서는 짐작한다.
◆ 기념관 설립?…재단 측 "구체적 계획 없어"
|
'더팩트'가 들여다 본 이명박 재단의 홈페이지는 ▲이명박 대통령이 걸어온 길, 저서, 김윤옥 여사 ▲재단 소개 및 설립 취지 ▲사업 목적 및 계획 등으로 구성됐다. 재단이 아직 공식 출범 전이라 홈페이지도 미공개 상태다. 메인 페이지를 들어가면 '준비 중'으로 나온다. /이명박 재단 홈페이지 캡처 |
이명박 재단을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퇴임한 지 불과 1년 반 남짓 지난 상황에서 전직 대통령의 기념재단이 설립된 것은 한국 정치사에서 유례없는 일이며, 기념재단이 설립되면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념사업에 국고가 지원된다는 점 때문이다. 재단 측은 비영리 민간사업으로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법인은 대통령의 철학과 업적을 유지·계승·발전 시키는 사업을 수행(제4조)한다. 목적사업을 제공하는 수입은 임직원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반드시 공익(제6조)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정관에 명시돼 있다.
사업을 구체적으로 보면 ▲이명박 대통령의 철학과 업적에 대한 교육·연수·연구·편찬·편찬·출판·홍보 및 국제 협력 ▲이명박 대통령의 기록물·자료·물품 등 사료의 수집·정리·열람 및 전시 ▲이명박 대통령 기념관·도서관 등 기념시설 설립·운영 ▲이명박 대통령이 주도했거나 역점을 두고 추진한 녹색성장·개발도상국을 위한 개발협력 등이다.
현재까지 '이명박 대통령 기념재단'에 국고가 지원된 것은 없다. 국고의 경우 재단 설립이 아닌 기념사업에 지원되기 때문이다. 기념사업은 자기 부담 70%와 국고 30%로 진행된다. 기념사업 추진 전에 기념관이 있으면 50% 대 50%로 비율이 달라진다. 일단 안전행정부에 사업계획서가 접수되면 기념사업으로서 적절한지, 자기 부담금 확보가 가능한지 등을 판단해 국무회의에서 심의를 거쳐 결정된다. 만약 자기 부담금을 확보하지 못하면 국고 지원이 안 된다.
재단 측 관계자는 "재단 설립이 곧 기념관 설립이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아직 기념관 설립에 대해 논의된 바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박정희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모두 기념 사업회가 있으며 국고 지원을 받고 있다.
ari@tf.co.kr
정치팀 ptoday@tf.co.kr
폴리피플들의 즐거운 정치뉴스 'P-TODAY'
첫댓글 포대강은 어쩔겁니까!!!!! 포대강!!!!
사대강 물어내 쥐새끼야^^
불지르고싶다
지랄한다 시발 애먼 공무원연금깎아서 나라재정 메꿀라하지말고 쓰잘데기없는 이딴 쓰레기사업으로 새는돈을 막으라고 어휴
아 시바..... 존나 욕나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