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게시글
▷좋은글 게시판 (수정불가) 탁구 소사 - 4. 스피드 글루잉과 고수
defunct 추천 0 조회 2,714 09.10.19 13:40 댓글 2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9.10.19 14:09

    첫댓글 잘 쓰여진 한국 생체탁구 근현대사네요.^^ 다음편 얼른 부탁드립니다.

  • 09.10.19 14:20

    그럼 그 위험한 벤졸과 톨루엔은 왜 썼던거죠? 스피드글루 효과가 더 뛰어나서 그런가요??

  • 09.10.19 14:27

    저도 이점이 많이 궁금한데요. 글루잉 효과가 더 뛰어났던가, 아니면 단순히 같은 효과에 가격이 많이 저렴해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작성자 09.10.19 14:31

    벤젤과 톨루엔 등의 인체에 해가 많은 화학물질들을 사용한 글루는 스피드 글루잉 효과가 직접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러버가 푹푹 들어갈만큼 글루잉 효과가 바로 느껴졌지요. 한동안 그렇게 제조해서 가지고 다니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스피드 글루잉 효과는 좋았지만 냄새가 아주 심했습니다.건강에도 물론 안 좋았겠지요.) 가격적인 면에서도 크게 매력적이었다는 점은 말할 것도 없구요...

  • 09.10.21 19:16

    스피드글루 효과는 개략적으로 러버에 스피드글루를 바르게 되면 스피드글루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용매가 증발하여 스펀지 사이에 침투하게 되고 이 때문에 스펀지의 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휘발성 유기용매가 모두 증발하게 되면 글루잉 효과가 사라지게 되므로 "일시적"이게 되는 것이구요.

  • 09.10.20 05:25

    글루는 접착력을 위한 고무 성분과 이를 녹이기 위한 유기용매가 섞여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졸" 형태가 되어 바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의 일반적인 글루 중에 이 유기용매의 함량을 높인 것이 "스피드글루"입니다. 더 많은 휘발성 유기용매가 포함되어 있으니 바르면 스피드가 향상되니까요. 러버와 목판에 남는 찌꺼기가 바로 유기용매가 증발하고 남은 고무 성분이지요. 이것(고무풀똥)을 공처럼 모아서 러버에 남아있는 글루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제가 구경간 시합에서는 중국 선수들은 다들 하나씩 갖고 있던데^^;; 왕하오 선수도 고무풀똥 공으로 글루잉 전에 목판을 문지르더군요.

  • 09.10.20 05:33

    글루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러버와 목판에는 고무층이 쌓이게 됩니다. 러버를 목판에서 떼면 목판에 붙었던 고무층은 거의 러버에 옮겨붙게 됩니다. 여기에 글루잉을 반복하게 되면 고무층이 점점 두꺼워져서 타구감각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가 됩니다. 이 때문에 일부러 이 고무층을 손으로 떼어내기도 했지요. 이게 대단히 귀찮기도 하고 스펀지를 손상시키는 일도 많았습니다. 러버를 후원받는 선수라면 그렇지 않겠지만(그 정도 레벨이라면 고무층이 그렇게 쌓이기 전에 러버를 교체하거나 새 러버를 사용하면 되므로) 아마추어 동호인이라면 누구나 고무층을 벗겨내다가 러버 한 두장 버린 경험들은 있으실 겁니다.

  • 09.10.20 05:48

    하지만, 휘발성 유기용매만을 발라주면 기존에 붙어있던 고무찌꺼기가 유기용매에 녹게 되므로, 고무층을 두껍게 하지 않고도 스피드글루 효과를 직접 볼 수 있게 됩니다. 그야말로 1석 2조인 셈이지요. 스피드글루 효과는 휘발성 유기용매 때문인데 이를 직접 발라주니 공 빵빵 잘나가고 풀똥도 안 쌓이고. 이 때문에 벤졸과 톨루엔 등을 사용하게 된 것이구요. 벤졸과 톨루엔이 많이 쓰인 이유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용매이기 때문입니다. 가격이 싸기 때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 같네요. 만약 리모넨처럼 가격이 비쌌다면 아마 쓰기를 망설이셨을 것 같은데요^^

  • 09.10.20 05:51

    저도 스피드글루잉 시절에는 리모넨을 사용했습니다만, (벤졸이나 톨루엔이 발암물질이고 워낙 몸에 해롭다고 해서) 천연 오렌지오일이라는 점이 매력적이었으나 이것 역시 휘발성과 향이 대단해서 글루잉 한 번 하면 머리가 아플 정도였습니다. 탁구장에 가면 맛있는 냄새난다며 다들 난리셨지요^^ 심지어는 방구석의 탁구가방 속 탁구라켓케이스 안에 넣어둔 라켓에서 나는 오렌지향 때문에 잠을 설친 적도 있었습니다. 얼마나 휘발성이 강한지 짐작하지겠지요. 리모넨 같은 경우는 휘발성이 너무 강해서 실제 써서 소비한 양이나 저절로 날아간 양이나 아마 비슷할 겁니다. 나름대로 여러 조치로 밀봉했다고 생각했는데도 양이 푹푹 줍니다.

  • 09.10.20 05:45

    일부에서는 벤젠이나 톨루엔 같은 휘발성 유기용매는 발암물질이라는 것이 널리 알려셔서 꺼리지만 리모넨 등은 천연 오일이라서 괜찮다는 둥 휘발성 유기용매를 대체할 다른 오일은 크게 상관없다는 둥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저는 찬성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검증되지도 않은 이야기가 많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화학에 상당히 관심이 많기도 하고*^^*) 그런 점에서 ITTF의 VOC 사용금지는 두손들고 환영합니다. 아무튼 몸에 좋지 않은 요상한 물질들은 사용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나 혼자만 사용해서 나 혼자만 피해자가 되겠다고 해도 주위에서 말릴 판입니다만..

  • 09.10.21 19:18

    탁구장은 거의 대부분이 실내이고 환기가 잘 되기가 어렵지요. 지하인 곳도 많구요. 탁구장에서 담배필 수 있게 하시는 곳 있나요? 아마 없으실 겁니다. 이런 곳에서 휘발성 유기용매를 바르거나 발라진 라켓을 들고 게임하시면.. 음.. 휘발성 유기용매가 모르긴 몰라도 담배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 해롭진 않을 것 같은데(이건 제 생각입니다^^;) 타당한 이유가 있다면 모를까 규정위반이야 큰 문제가 아닙니다만 자신과 타인의 건강까지 해쳐가면서 탁구 잘쳐봐야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탁구장에서 벤졸 쓰시는 분 계시면 같이 놀지 마세요^^

  • 09.10.20 17:32

    헐.....김탁수님 대단합니다......^^;

  • 09.10.19 15:45

    한번만 칠해도 짜릿하죠. 점심 먹은 직후 스피드 글루 발라서 탁구장 가서 재밌게 치고 난 후 회원들과 같이 저녁 먹은 후에는 짜릿한 감이 먹먹한 감으로 변했던 기억이 있네요. 불과 3~4시간 지난 후에는 감각이 바뀌더라구요.

  • 09.10.19 17:04

    글이 정말 재밌군요 다음편도 기대하겠습니다. :)

  • 09.10.19 17:12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 09.10.20 00:20

    디펑트님 덕분에 편하면서 반면 마음 조리며 한국탁구의 근.현대사를 읽고 있습니다.모든 탁구인들이 계속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어려우시겠지만, 계속 부탁드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 09.10.20 11:03

    옛날에 그런일이 있었군요.. 시작한지 얼마 안된 초보라........ 다음편 꼭 부탁합니다..^..^;;

  • 09.10.20 11:44

    요즈음 지역별 구청에서 개최하는 탁구대회에 참가해 보았더니 10년전과는 비교가 되지않는 이유를 이제야 알것 같습니다. 하위부수에서 10년전에는 예선을 통과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않았는데 이제는 한셋트 따기가 어렵습니다. 제가 5학년이 넘었다고 하더라도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는 연령별 시합이 대세였는데 지금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글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09.10.20 12:31

    김탁수님이 자세하고 잼있게 부연설명 달아주셔서 잘 봤습니다.

  • 09.11.05 15:14

    아직도 스라이버(스리버)쓰는 1인...^^

  • 09.11.12 09:55

    한편의 잘 짜인 탁구역사 수필을 읽는 기분이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스크랩하여 잘 보존해야 하겠습니다.

  • 09.11.30 19:18

    와..정말 좋은 글과 리플입니다. 스피드글루시대가 궁금했었는데 그랬군요..

  • 11.05.09 09:59

    저도 2년전 탁구채를 잡자마자 누가 붙혀주는 러버(스피드글루를 이용한)를 사용해보고 원래 이런 금속성음이 나는가보다 했었는데...이곳에 와서 알겠되었죠. 불법이면 하면 안된다는것을..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