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 statistics
Science consists not just of a method, but of a body of knowledge and of technique. The established body of textbook knowledge forms a set of constraints (a box, if you will) that the scientist must work within. Any study must obey the conservation of momentum, of energy, and of mass, whether you like it or not. Ignoring physical constraints can lead to failure. There are also constraints consisting of the established methods, procedures, and statistics for a field. These methods have been widely tested and debated over time and accepted as reliable or at least standardized. For example, for DNA studies there are lab procedures to guard against cross-contamination. If you ignore this guidance you may end up sequencing your own DNA instead of that of the target organism.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16쪽)
과학은 방법뿐만 아니라 지식의 집합과 기술의 집합으로도 구성된다. 교과서 지식의 입증된 부분은 과학자들이 고수해야만 하는 일련의 제약(말하자면, 틀)을 형성한다. 여러분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어떠한 연구라도 운동량 보존, 에너지 보존, 질량 보존을 지켜야만 한다. 물리적인 제약을 무시하는 것은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한 분야에 대한 기존의 방법들, 절차들, 그리고 통계치로 이루어진 제약들도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널리 검증되고 논의되어 왔으며, 신뢰할 만하다거나 혹은 적어도 표준화되었다고 받아들여져 왔다. 예를 들면, DNA 연구들에서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실험 절차들이 있다. 만약 여러분이 이 지침을 무시한다면 여러분은 목표 유기체의 DNA 대신에 결국 여러분 자신의 DNA를 차례로 배열하게 될지도 모른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87쪽)
-------------------------------------------------
“of”를 기계적으로 “의”로 치환하여 “The established body of textbook knowledge”를 “교과서 지식의 입증된 부분”으로 옮겼다. 무슨 뜻인지 감을 잡지 못하거나 “교과서에 실린 지식 중 입증된 부분”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잘 입증되어 교과서에 실리게 된 지식 체계”를 말한다.
“물리적인 제약”보다는 “물리학적 제약”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기존의”보다는 “정립된(잘 정립된)”이 더 어울린다. 단지 기존에 쓰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잘 정립된 것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statistics”는 “통계치”가 아니라 “통계학”이다. “통계학”은 방법론이고 “통계치”는 그 방법론을 적용하여 얻은 수치다.
*******************************************************
35. less empathic
Obviously, using physical punishment on a child for social misbehavior is likely to have the opposite effect and make the youngster less empathic in the future. Rather, the best way to bring out one’s mature empathic potential is through induction, in which parents highlight the other’s perspective, point up the other’s distress, and make it clear that the child's action caused it. For example, if the child takes another child’s toy away from him, the parent might sit him down and ask him how bad he would feel if someone did the same thing to him. Then the parent might ask him to imagine how bad the other child now feels. When the intervention is done with care and fairness, and the child becomes genuinely aware that he caused another’s distress, as illustrated, it can lead to a sense of guilt and a sincere effort to want to make compensation.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25쪽)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행동을 했다고 해서 아이에게 체벌을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내어 아이가 장차 공감을 하는 데 더 소극적으로 만들기 쉽다는 것은 분명하다. 오히려, 아이의 성숙한 공감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최상의 방법은 유도를 통하는 것인데, 그 과정에서 부모는 상대방의 관점을 강조하고, 상대방이 느낄 고통을 두드러지게 하며, 그 아이의 행동이 그 고통을 야기했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다른 아이의 장난감을 빼앗으면, 부모는 아이를 앉힌 후 남이 똑같은 행동을 아이에게 한다면 얼마나 기분이 나쁠지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에 부모는 자기 아이에게 다른 아이가 지금 얼마나 기분이 나쁠지 상상해 보라고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보인 것처럼 그 중재 활동이 조심스럽고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그래서 자기가 다른 사람의 고통을 야기했다는 것을 아이가 정말로 알게 되면, 죄책감을 느껴 진지한 노력을 해서 보상을 하고 싶어지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97쪽)
-------------------------------------------------
그냥 “덜 공감하도록 만든다”라고 옮기면 될 것을 원문에도 없으며 문맥상 적절하지도 않은 “소극적”이라는 단어를 삽입했다.
*******************************************************
36. real food price
The above graph, from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shows long-term food and energy price trends, real or nominal. The FAO index of nominal food prices was relatively constant from the mid-1970s to the mid-1990s but doubled between 2002 and 2008. The index of energy prices showed a gentle decline in the early 1009s but began rising in 1999, having tripled since 2002. The index of real food prices began rising in 2002, after three decades of predominantly declining trends, and spiked sharply upwards in 2006 and 2007. By 2008, the real food price index was approximately 60 percent above the level of 2002. The only other period of significantly rising real food prices since this data series began occurred in the early 1970s, during which nominal food prices also significantly rose.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30쪽)
유엔의 식량 농업 기구(FAO)에서 제공한 위의 도표는 실제 혹은 명목상의 장기적인 식량과 에너지 가격 동향을 보여 준다. 명목 식량 가격에 대한 FAO 지수는 197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비교적 일정한 상태를 보였지만, 2002년에서 2008년 사이에는 두 배가 되었다. 에너지 가격 지수는 1990년대 초반에는 완만한 하강세를 보였으나, 1999년에 상승하기 시작해서 2002년 이후에는 세 배가 되었다. 실제 식량 가격 지수는 30년 동안 두드러진 하강세를 보인 후에 2002년에 상승하기 시작해서 2006년과 2007년에 급격하게 상승했다. 2008년에는 실제 식량 가격 지수가 2002년 수준보다 대략 60퍼센트가 더 높았다. 일련의 이 데이터가 시작된 이래 실질 식량 가격이 상당히 상승을 보인 또 다른 유일한 기간은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났는데, 이 기간 중에 명목 식량 가격 또한 상당히 상승하였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99쪽)
-------------------------------------------------
“real food price”를 “실제 식량 가격”으로 옮겼다가 “실질 식량 가격”으로 옮겼다. “real price”는 보통 “실질 가격”으로 번역한다.
*******************************************************
37. loss
But, Harold told me, he actually felt relieved when his doctor removed hope. In the absence of hope, he was able to mourn his loss and face his future. His great insight? He realized he didn’t have to wonder how he could endure his physical restriction. He already knew how. He had been living with it for eighteen months. And now that he had stopped fighting, he could get the supports he needed to make his life easier. He told me that he learned that having hope could be good news or bad news.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44쪽)
하지만 Harold는 자신의 의사가 희망을 앗아가자 실제로는 안도감을 느꼈다고 내게 말했다. 희망이 사라지자 그는 자신의 상실감을 슬퍼하고 미래를 직면할 수 있었다. 그가 중요하게 통찰하게 된 것은? 그는 자신의 육체적인 한계를 어떻게 견뎌 낼 수 있을지는 고민할 필요가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이미 18개월 동안 그것과 더불어 살아 왔던 것이다. 이제는 (육체적인 한계에) 맞서 싸우는 것을 그만두었기에, 그는 자신의 삶을 더 용이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도움을 얻을 수가 있었다. 그는 희망을 품는 것이 좋은 수식일 수도, 나쁜 소식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나에게 말했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104쪽)
-------------------------------------------------
“loss”는 “상실감”이 아니라 “상실”이다. 상실감을 슬퍼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
38. base
To prove the existence of premonitory dreams, scientific evidence must be obtained. We would need to do studies in which individuals are sampled in terms of their dream life and judges are asked to make correspondences between these dream events and events that occurred in real life. A problem that arises here is that individuals who believe in premonitory dreams may give one or two striking examples of ‘hits,’ but they never tell you how many of their premonitory dreams ‘missed.’ To do a scientific study of dream prophecy, we would need to establish some base of how commonly coincidental correspondences occur between dream and waking reality. Until we have that evidence, it is better to believe that the assumption is false.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51쪽)
예고하는 꿈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증거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꿈속에서의 생활(꿈 이야기)에 따라 사람들이 표본이 되고, 심사자들에게 이 꿈속의 사건들과 실생활에서 일어난 사건들이 일치하는가를 물어보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예고의 꿈을 믿는 사람들이 ‘꿈이 딱 들어맞은 사건’의 두드러진 한두 사례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얼마나 많은 예고의 꿈이 ‘빗나갔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꿈의 예언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꿈과 깨어 있는 현실 사이에서 우연의 일치가 얼마나 흔하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토대를 확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증거를 갖게 될 때까지 그 가정은 잘못되었다고 믿는 것이 더 낫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107~108쪽)
-------------------------------------------------
여기서 “base”는 “baseline”과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보통 “기저”, “기저값”, “기저수준” 등으로 번역한다. “토대”는 어울리지 않는다.
4 : a usually initial set of critical observations or data used for comparison or a control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baseline
*******************************************************
39. sign
A small female dolphin was captured by means of a hook placed in a tank. The hook injured her, and the shock of capture and of being wounded was so great that she could scarcely keep herself afloat. Dolphins, being mammals, must come up for air and cannot live without it. Therefore glass jars were attached to her to act as floats. It was touch and go whether she would live; she seemed so aimless and dispirited. She merely floated about, and her captors were sure she would die soon unless they could think something up quickly.
“How about a male companion?” they thought. They brought in a male Delphinus. Pauline, as they named the female, showed favorable reactions to the newcomer, making the sounds which are recognizable as indicating acceptance. Despite the shock and pain of her injury, she even made some effort to swim. The bottles were removed. The male dolphin tried to help Pauline to swim, pushing under her and bringing her to the surface. This he did with infinite patience, again and again.
Pauline recovered. The two dolphins became inseparable, swimming happily around together, playing games, showing every sign of affection. Two months later Pauline died from an infection of the wound that was caused during her capture. As she died, her companion circled round her constantly, emitting a shrill whistle of distress. When she was dead, he continued his cries, swimming round and round for three days, refusing all food. Then he, too, died. An autopsy showed an ulcerous condition aggravated by his refusal to eat. Peritonitis followed, and proved fatal. His ceaseless lamentations after Pauline’s death were one of the saddest displays ever witnessed in dolphin research.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유형편> 155쪽)
작은 암컷 돌고래 한 마리가 탱크 안에 있던 갈고리에 걸려 잡혔다. 돌고래는 갈고리에 부상을 입었고, 붙잡혀 부상당한 충격이 너무나 커서 스스로 거의 물에 떠 있을 수 없었다. 돌고래는 포유류이기 때문에 공기를 마시기 위해 물 위로 올라와야만 하고 공기가 없이는 살 수 없다. 그래서 부레 역할을 하기 위해 유리병들이 그 돌고래의 몸에 부착되었다. 그 돌고래가 살 수 있을지는 불확실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너무나 목표도 없고 의기소침해 보였기 때문이다. 그 돌고래는 그저 이리저리 떠다닐 뿐이었고, 그것을 포획한 사람들도 무엇인가를 빨리 생각해 내지 않으면 그것이 곧 죽게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수컷 친구가 있으면 어떨까?”하고 그들은 생각했다. 그들은 수컷인 Delphinus를 데려왔다. 그들이 암컷 돌고래에게 Pauline이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Pauline은 새로운 돌고래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고, 수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냈다. 부상의 충격과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 암컷 돌고래는 심지어 헤엄을 치려고 노력도 했다. 유리병들은 제거되었다. 수컷 돌고래는 Pauline 밑에서 밀어 주고 그것을 수면으로 이끌면서 Pauline이 헤엄치는 것을 도와주려고 애썼다. 수컷 돌고래는 끝없는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해서 이것을 했다.
Pauline은 회복했다. 두 돌고래는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되어 함께 행복하게 수영하고, 놀이를 하고, 온갖 애정의 신호를 보였다. 두 달 후 Pauline은 붙잡히던 과정에서 생긴 상처의 감염 때문에 죽었다. Pauline이 죽었을 때, 그 암컷 돌고래의 친구는 그것의 주위를 계속 맴돌며 슬픔에 찬 날카로운 소리를 냈다. 그 암컷 돌고래가 죽고 나자 수컷 돌고래는 끊임없이 울어 댔으며, 삼일 동안 빙글빙글 헤엄을 치면서 모든 먹이를 거부했다. 그러다가 수컷 돌고래도 역시 죽었다. 부검을 해보니 수컷 돌고래가 먹기를 거부해서 악화된 궤양 상태가 드러났다. 이어 복막염이 생겨났고, 이는 죽음을 초래할 만큼 치명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Pauline의 죽음 이후에 수컷 돌고래의 멈추지 않던 깊은 슬픔은 돌고래 연구에서 이제껏 목격됐던 가장 슬픈 장면들 중 하나였다. (『EBS 수능 특강 외국어 영역』, 2012년 1월 발행, 한국교육방송공사, <정답과 해설> 111쪽)
-------------------------------------------------
“붙잡혀 부상당한”이라고 하면 붙잡힌 다음에 부상당했다는 뜻이 된다. 붙잡히는 과정에서 부상당한 것이다. “붙잡혔다는 사실에서 오는 충격과 부상의 충격”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나아 보인다.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 다음에 수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낸 것이 아니다. “making the sounds which are recognizable as indicating acceptance”가 바로 호의적인 반응이다. “Pauline은 새로 온 돌고래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받아들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낸 것이다.”라고 옮기면 될 것이다.
“신호”는 신호 수신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목적으로 보내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그런 의미가 아니므로 “징후”가 더 어울린다.
엄밀히 말하자면 “distress”는 “슬픔”이 아니라 “괴로움”이다. 특히 “whistle of distress”와 같은 경우에는 엄밀히 번역해야 한다. “whistle of distress”는 돌고래가 슬픔 말고 다른 식으로 괴로울 때에도 내는 소리일지도 모른다.
이덕하
201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