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곽(淫羊藿) 효능 (328)
본품은 약명으로 음양곽(淫羊藿)이라 하고, 산야초명으로는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 하며, 산행중 더러 많이 보는 편이었는데 환경의 변화와 자양강장 효과가 좋다하여 무분별한 채취로 인하여 점차 보기 어려워져 보호식물로 지정될 만큼 귀한 몸이 됬습니다.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란 이름은 잎자루가 세 번씩 두 번 갈라져 그 끝에 아홉 개의 잎이 달려 있기 때문에 생긴 것인데 산야초 중에는 삼지구엽초처럼 잎자루가 갈라져 9개의 잎을 가진 식물로서 꿩의다리아재비, 연잎꿩의다리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독초들이라 주의를 해야 합니다.
1.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Epimedium koreanum Nakai
2)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3)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4)목 :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5)과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6)속 : 삼지구엽초속(Epimedium)
7)개화기 : 4월~5월
8)꽃색 : 노란색, 백색
9)형태 : 여러해살이풀
10)크기 : 높이 30cm
11)분포 : 한국(경기도, 강원도), 중국
2.生態 및 特徵
1)특징
◈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 라고 한다.
◈약용으로 중요한 식물로 재배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식물을 경제작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다양한 상품화 및 개발 가능성이
있는 식물이다. 이 식물은 물에 넣어 끓이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지는 특성이 있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6)
2)잎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에 1-2개의 잎이 어긋나기하고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달걀모양
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5-13.5cm, 폭1.5-7.2c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같
은 잔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3)꽃
꽃은 4-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원줄기 끝의 겹총상꽃차례에 밑을 향해 달리고 지름은 2cm안팎이
다. 꽃받침조각은 8개이지만 겉의 4개는 작으며 크기가 서로 다르고 일찍 떨어지지만 안쪽의 4개는
크며 크기도 비슷하다. 꽃잎은 4개로 긴 거(距)가 있고 1개의 암술과 4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들창문처럼 터진다.
4)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10-13mm, 지름 5-6mm이고, 줄기는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줄기는 보통
모여나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 밑을 비늘 같은 잎이 둘러 싼다.
5)뿌리 : 근경은 단단하고 옆으로 뻗으며 잔뿌리가 많이 달리고 꾸불꾸불하다.
.
6)생육환경
◈입지환경으로 지형은 계곡에서 산록부이고, 방위는 북서-북동,경사는 5-35도가 적당하고 토심은
깊고 건-적윤한 곳이 알맞다. 해발고는 200-600m이고, 울폐도는 65-75%정도가 알맞다.
◈반그늘에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며 토양은 부엽을 풍부히 사용한 비옥한 토양이 좋다. 약간 서늘한
온도조건이 좋고 특히 여름철의 고온조건은 피한다. 왕성한 생장기인 봄에서 여름철에 걸쳐서는
이식을 금하는 것이 안전하다.
3.生藥名
1)藥名
음양곽(淫羊藿)
2)이명
강전(剛前), 건계근(乾鷄筋), 기장초(棄杖草), 방장초(放杖草),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선령비(仙靈脾), 천량금(千兩金), 황련조(黃連祖)
4.使用部位
잎과 줄기를 약재로 쓴다.
5.採取 와 調劑 (修治, 法製, 炮製)
1)採取
여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2)修治
◈생용(生用)하거나 양지구(羊脂灸)한다.
◈양지구(羊脂灸)란 약재를 양기름과 함께 볶는 법제 방법임.
6.成分
莖(경)과 葉(엽)에는 icariin을 함유하고 잎에는 더욱 精油(정유), ceryl alcohol, hentriacontane, phytosterol, tannin, 油脂(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유 중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다. 근경에는 des-o-methylicariin이 함유되어 있다.
7.性味, 歸經, 主治
1)性味
무독(無毒), 신감(辛甘), 온(溫)
2)歸經
간(肝), 신(腎)
3)主治
◈근골연급(筋骨攣急)
근맥이 수축해 펴지지 않고 동통(疼痛)이 그치지 않는 것. 한습(寒濕)의 침입, 또는 혈(血)이나
진액 부족으로 경맥을 자양하지 못해 생김
◈반신불수(半身不遂)
중풍(中風)에서 늘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 반신불수(半身不隨)라고도 쓰고, 편고(偏枯), 편풍(偏風)
이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證幷治)]에서 "풍이 병을
일으키면 으레 반신불수(半身不隨)가 된다.(夫風之爲病, 當半身不遂.)"라고 하였다. 주된 증상은
몸의 반쪽을 뜻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말을 더듬는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사지불인(四肢不仁)
사지불수(四肢不收) 수족의 운동신경이 마비되어 수축이 안 되고 행동이 부자유스러운 것.
◈소변임력(小便淋瀝)
배뇨 횟수가 잦으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 허증(虛證)은 신기(腎氣)나
비신음(脾腎陰)이 모두 허해서 방광의 기화작용이 장애를 받아 생기며, 실증(實證)은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이나 요도 결석으로 생김. 하루에 수십 번 소변을 보며, 소변볼 때 요도와 아랫배가
캥기면서 아픔.
◈양위불거(陽痿不擧)
아직 신(腎)이 쇠약하여질 나이가 되지 않았는데도 음경(陰莖)이 발기되지 않거나 발기되더라도
단단하지 않은 것
◈요슬무력(腰膝無力) :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음.
◈풍습비통(風濕痺痛) : 풍습으로 인해서 저리고 아픈 것.
8.效能
補腎(보신), 强陽(강양),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불임, 음위, 발기불능, 倦怠無力(권태무력), 小便淋瀝(소변임력), 筋骨攣急(근골련급), 반신불수, 腰膝無力(요슬무력),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 四肢不仁(사지불인), 虛淋(허림), 白濁(백탁), 白帶(백대), 월경불순, 소아야맹증, 膿(농)이 안터진 癰疽(옹저), 천식발작을 치료한다.
9.效能解說
우리나라에서는 매자나무과의 삼지구엽초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지상부이다. 중국에서는 삼지구엽초 심엽음양곽 (心葉淫羊藿), 유모음양곽(柔毛淫羊藿), 전엽음양곽(箭葉淫羊藿), 무산음양곽(巫山淫羊藿)을 사용한다. 일본은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중국 서천북부지방에서 양이 하루에 백 차례나 교미를 하고 이 약초를 먹고 다시 암놈을 찾아 다녔다고 하며 음탕한 양을 흥분시킨다하여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하였다. 이때 곽이란 콩잎을 말하는데 이 약초의 잎이 그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삼지구엽초라는 이름은 줄기가 셋으로 갈라지고 끝에서 다시 셋으로 갈라져 9장의 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우리 나라 중부 이북 지방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라는데 이 약은 냄새가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辛甘溫]
음양곽은 발기부전, 유정, 자궁냉증, 사지냉증, 피부마비, 구안와사, 건망증, 반신불수, 허리와 무릎 연약증, 고혈압, 소아마비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정액분비촉진, 혈압강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혈당강하, 콜레스테롤강하, 면역기능증진, 진해, 거담, 평천, 진정작용, 억균, 소염작용, 닭의 대퇴골 생장과 단백다당 합성 활성화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신양(腎陽)을 북돋우고 정기를 도우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사(風濕邪)를 없애며, 강장(强壯) 작용, 이뇨 작용(많은 양에서는 소변량을 줄인다), 혈압 강하 작용 등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이카리인이 강장 작용을 나타낸다고 본다. 임포텐스, 성신경쇠약, 성호르몬 장애 등에 쓰며 배뇨 장애, 이명(耳鳴), 건망증, 비증(痹證), 월경 장애 등에도 쓴다.
음양곽(淫羊藿)은 강장· 강정· 거풍(祛風)의 효능이 있어 양위(陽痿)· 요슬무력(腰膝無力)· 반신불수· 사지불인(四肢不仁)· 소아마비·풍습비통(風濕痺痛) 등에 쓰인다.
또 음양곽은 거풍제습(祛風除濕)과 보신장양(補腎壯陽)의 효능이 있다. 풍습(風濕)에 의해 몸살처럼 근육이 찌뿌듯하게 안 풀어져 근육이 당겨져서 아프거나, 허리 무릎이 시큰거리며 아프거나 할 때 거풍제습의 용도로 쓰인다.
10.症狀別 使用法
▣포함처방
▣강장보혈환(强壯補血丸)
1)처방
당귀(當歸) · 당삼(黨參) · 숙지황(熟地黃) · 여위(女萎) 각 100g, 음양곽(淫羊藿: 물기를 없앤 것)
엑스 80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일반 보약으로 몸이 허약해진 데, 병이 나은 뒤에 쓴다. 위의 약 가운데에서 먼저 음양곽 엑스를
알맞은 양의 벌꿀에 넣고 고루 섞는다. 다음 여기에 나머지 약들을 가루 내어 넣고 고루 섞어서
환약 1,000환을 만든다. 한 번에 12~15환씩 하루 3번 먹는다.
[국규(國規)]
▣기력강환
1)처방
백복령(白茯苓) · 산약(山藥) · 녹각교(鹿角膠) 각 80g, 음양곽(淫羊藿) · 사상자(蛇牀子: 덖은 것) ·
구기자(枸杞子) · 감초(甘草) 각 40g, 건강(乾薑) 20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몸이 쇠약해지고 정신이 나지 않으며 현기증이 나고 조금만 움직여도 피로해지는 데, 음위(陰痿)
등에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바짝 끓여서 정제한 벌꿀에 반죽하여 1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5~7g씩 하루 2번 식전에 술에 타서 먹는다.
[동약(東藥)과 건강(健康)]
▣오미자환(五味子丸)
1)처방
오미자(五味子: 덖은 것) · 복분자(覆盆子: 꼭지를 없앤 것) · 음양곽(淫羊藿) 각 40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삼초(三焦)가 장애되어 기침하고 배가 불러오르며 식욕이 부진한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바짝
끓여서 정제한 벌꿀에 반죽하여 0.3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20환씩 생강과 차 달인 물로 아침
빈속과 식전에 먹는다. 양을 점차 늘려 한 번에 30환까지 먹을 수 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신력환(腎瀝丸)
1)처방
산약(山藥) · 구기자(枸杞子) · 오미자(五味子) · 육종용 (肉蓯蓉) · 음양곽(淫羊藿) 각 80g,
토사자(菟絲子) · 복분자(覆盆子) · 황기(黃耆) · 감초(甘草) 각 40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음위(陰痿)에 쓴다. 일반적으로 체격이 좋거나 비만하면서 발기되지 않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바짝 끓여서 정제한 벌꿀에 반죽하여 1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5~6g씩 하루 3번 식전에
먹는다. [동약(東藥)과 건강(健康)]
▣음양고(淫羊膏)
1)처방
음양곽(淫羊藿: 물기를 없앤 것)엑스 88g, 토사자(菟絲子: 물기를 없앤 것)엑스 · 사삼(沙參: 물기를
없앤 것)엑스 각 64g, 당삼(黨參: 물기를 없앤 것)엑스 48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보약으로 병후 쇠약, 일반 쇠약자, 식욕이 부진한 데 등에 쓴다. 4가지 엑스를 한데 섞고 여기에
꿀을 넣어 고제(膏劑) 만드는 법에 따라 전량 1,000g 되게 고제를 만든다. 한 번에 15~30g씩
하루 3번 먹는다. [약전(藥典)]
▣보신강장환(補腎强壯丸)
1)처방
음양곽(淫羊藿)의 걸쭉한 엑스 40g, 숙지황(熟地黃)의 진한 엑스 80g, 토사자(菟絲子) 200g,
여위(女萎) · 창출(蒼朮) 각 150g, 꿀 · 방부제 각 적량.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주로 보혈 강장약(補血强壯藥)으로 쓰며 성기능이 낮아지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진한
엑스와 꿀 · 방부제를 넣고 전량 1,000g이 되게 하여 1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5~10환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 [국규(國規)]
▣복방황기환(複方黃耆丸)
1)처방
황기(黃耆)가루 0.17g, 음양곽(淫羊藿)가루 · 율자(栗子)가루 · 대조(大棗)가루 · 여위(女萎)가루
각 0.068g, 천궁(川芎)가루 · 감초(甘草)가루 각 0.034g, 꿀 적량.
2)적응증 및 조제용법
보약으로 앓고 난 뒤 피로할 때, 식욕이 부진할 때, 잠을 잘 이루지 못할 때 쓴다.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 환약 만드는 법에 따라 1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4~5환씩 하루 3번 먹는다.
[국규(國規)]
▣하수산(下垂散)
1)처방
백출(白朮) 12g, 황기(黃耆) · 인삼(人參) 각 6g, 음양곽(淫羊藿) · 감초(甘草) · 고백반(枯白礬)
각 3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위하수증 및 저산성 위염으로 음식 생각이 없고 기운이 없으며 음식만 먹으면 배와 허리가 아픈
증상이 있는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6g씩 하루 3번 식전에 먹는다.
[동약(東藥)과 건강(健康)]
▣황기음양곽탕(黃耆淫羊藿湯)
1)처방
황기(黃耆) · 음양곽(淫羊藿) 각 l2g, 백작약(白芍藥) · 당귀(當歸) · 상기생(桑寄生) 각 8g,
계지(桂枝) · 조구등(釣鉤藤) 각 5g, 생강(生薑) 2쪽, 대조(大棗) 2알.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소아마비 후유증에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6번에 나누어 2일 동안 먹인다.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보양환(補陽丸)
1)처방
음양곽(淫羊藿: 물기를 없앤 것)엑스 120g, 여위(女萎)가루 500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보양약으로 몸이 허약하고 음위(陰痿)가 있는데 쓴다.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 환제 만드는 법에 따라
꿀을 결합제로 써서 1g 되게 전량 1,000환을 만든다. 한 번에 8~9환씩 하루 3번 먹는다.
[약전(藥典)]
▣음양애엽탕(淫羊艾葉湯)
1)처방
음양곽(淫羊藿) · 애엽(艾葉) 각 2,200g, 익모초(益母草) 1,100g, 안식향산나트륨 5g.
2)적응증 및 조제용법
월경 장애증에 쓴다. 산후 복통, 월경 이상에도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한 번에 20~30㎖씩
하루 3번 식전에 먹는다. 한 달 정도 쓴다. [동약(東藥)과 건강(健康)]
▣삼지구엽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소아야맹증
음양곽뿌리 19g, 만잠아(晩蠶蛾: 약간 볶음) 19g, 사간(射干) 1푼, 감초(약간 빨갛게 되게 굽고 부순다) 1푼을 찧고 체로 쳐서 곱게 가루를 낸다. 어린 양의 간 1개를 갈라 앞의 가루약 7.5g을 그 속에 넣어서 실로 묶고 검은콩 1홉, 한잔(대)의 쌀뜨물로 잘 끓여 내서 2회로 나누어 즙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선령비산]
2)고름이 터지지 않은 옹저(癰疽)
음양곽의 건조한 뿌리 37.5g을 물로 달여서 술과 홍당(홍당)으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
3)소아마비
음양곽, 상기생(桑寄生: 뽕나무겨우살이) 같은 양으로 2ml당 각각 1g의 생약을 함유하는 주사약을 만든다. 급성기에는 근육주사를 위주로 하고 혈위주사를 병행한다. 근육주사는 1회 2ml씩 매일 2회, 20일간 계속한다. 회복기 및 후유증기에는 혈위주사를 위주로 하고 근육주사를 병행한다. 혈관주사는 사용방법에 따라 경혈을 찾아 하나의 혈관에 1~2ml를 하루 건너 1회, 20일간 연속 주사하고 반 개월 중지한 다음 다시 치료를 계속한다.
각종 소아마비의 치료 246례 중 급성기의 환자가 34례였는데 그 중 치유 8례, 기본 치유가 16례, 현효가 7례, 유효가 2례, 무효가 1례였다. 회복기 환자 43례 중 치유가 21례, 유효가 15례, 진보가 5례, 무효가 2례였다. 후유증기의 환자 169례 중 치유 및 기본 치유가 9례, 현효나 유효가 129례, 무효가 31례였다. 관찰에 의하면 본 품은 급성기 및 회복기에 접어든 병례에 대해 치료 효과가 현저하고 회복도 비교적 빠르다.
후유증기에 대해서도 상당한 효과가 있고 투약 후 아픈 다리 전체가 더워지고 힘이 나는 듯한 감각이 있었다. 유효 병례에서는 근육이 점차 회복되어 아픈 다리가 굵어진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 중에서도 한 하지 마비 환자의 치료 효과가 비교적 좋았고 상지 마비 및 연령이 비교적 높은 환자의 치료 효과는 조금 약했다. 약을 사용한 후 입이 마르는 현상 외에 다른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4)치통
음양곽를 양에 관계없이 거친 가루를 내어 달여서 양치질한다. [기효양방, 고아산]
5)시력 감퇴아 각막 혼탁
음양곽, 생왕과(生王瓜: 소괄루(小?樓)의 빨간 것) 같은 양을 가루내어 매회 3.75g을 차로 1일 2회씩 복용한다. [성제총록]
6)풍주주(風走注) 동통이 각 부위에서 자주 발생되는 증상
음양곽 37.5g, 위령선 37.5g, 궁궁(芎窮) 37.5g, 계심(桂心) 37.5g, 창이자 37.5g을 곱게 가루를 내어 눈이 고운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든다. 수시로 따뜻한 술로 3.75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선령비산]
7)반신불수, 수족 불수, 피부 마비
음양곽 600g을 곱게 부수어 명주 주머니에 넣어 삼출성이 없는 용기 안에 무회주(無灰酒) 2말에 담그고 두꺼운 종이를 겹쳐서 봄과 여름에는 3일 동안, 가을과 겨울에는 5일 동안 밀봉하여 공기가 통하지 않게 한다. 매일 수시로 덥혀 마시는데 너무 취하면 안 된다. [태평성혜방]
8)신경 쇠약
① 3% 음양곽 탕액을 사용한 이온 도입법은 매일 1회 10~20회를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소수의 환자는 따로 진정제를 복용했다. 관찰한 104례 중 치유 22례, 현효가 21례, 진보 46례, 무효 15례였다. 치료기간이 긴 사람의 치료효과가 비교적 좋았으며 치료 후에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는 것이 빠를수록 치료효과도 좋았다.
그러나 15회의 치료를 거쳐도 병세가 호전되지 않는 사람은 계속 치료한다 해도 치료효과가 현저하지 못하고 또 확실하지 않았다. 소수 병례에서 치료 초기에 가벼운 반응 혹은 증상이 나타나서 잠시 중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치료를 계속하니 신속히 없어졌다.
② 20%의 음양곽 팅크를 1회에 5ml, 매일 3회 식전에 2~3개월 계속 복용하였다. 치료한 50례 중 약 80%의 환자는 치료 후에 증상이 사라졌거나 가벼워졌다. 복용기간 중에 부작용이나 나쁜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흥분 상태가 많고 성욕 항진을 보이는 사람 및 고혈합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9)만성 기관지염
단방의 음양곽환을 복용한 1,000명의 사례를 관찰한 결과효과는 천식형보다 우수하고 연령이 높은 자의 치료효과가 비교적 낮지만 질병기간의 길고 짧은 것과 치료효과 사이에는 현저한 관계가 없다는 것이 실제 치료 중에서 증명되었다. 거담, 진해작용은 비교적 좋지만 천식 억제작용은 조금 약하다.
2치료기간을 경과한 사람의 억제율과 현효율은 1치료기간의 짧은 기간을 거친 사람의 억제율에 비해 확실히 높다. 관찰 중에 1치료기간의 치료를 한 110례에 대해 추적조사를 한 결과 반년 후의 유효율은 59.1%로 처음의 치료효과에 비해 26.1% 하강했다.
제제와 용법: 음양곽의 줄기와 잎(건조한 것)의 총량의 80%는 달여서 진한 즙으로 하고 20%는 가루를 내어 양자를 섞어서 환으로 한다. 매일 생약 약 37.5g을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 중에 부분적 병례에 대해서는 따로 생약 19g과 56g에 상당하는 용량(1일량)을 사용해서 비교 관찰한 결과 치료효과는 1일 복용량을 37.5g으로 한 사람과 기본적으로 변화가 없었다.
복용 후 일부의 병례에 약간의 반응이 있었고 구건(口乾), 오심이 많았고 다음에는 복부 창만, 두훈(頭暈)이 있었지만 보통 저절로 없어졌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한 줄기에 잎이 9개가 달린 음양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개인적으로 산행을 하다가 삼지구엽초가 눈에 보인다면 잘 관찰해보고 번식을 많이 시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동의보감(東醫寶鑑)
음경이 시든 것을 주치한다. 이것은 발기시키는 약이다.
한 근을 술을 담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꾸준히 먹어도 좋다. [증류본초]
근과 뼈가 오그라들고 당기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어도 좋다. [증류본초]
팔다리의 감각이 무딘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 먹거나 술에 담가 먹어도 좋다. [증류본초]
11.各種 文獻 參考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삼지구엽초인 음양곽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음양곽(淫羊藿)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방장초(放杖草), 선령비(仙靈脾), 강전(剛前)// [본초]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삼지구엽초(Epinedium koreanum Nakai)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방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여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신경, 간경에 작용한다. 신양(腎陽)을 보하고 정기(精氣)를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풍습(風濕)을 없앤다.
강정작용, 이뇨작용(다량에서는 소변량을 줄인다). 강압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리카리인'이 강정작용을 나타낸다고 본다. 음위증, 성신경쇠약, 성호르몬장애 등에 쓰며 배뇨장애, 이명, 건망증, 비증(痺證), 월경부조 등에도 쓴다. 허약한 사람의 보약으로도 쓴다. 하루 6~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음양곽과립제: [방제] 음양곽엑기스(물기를 없앤 것) 285g, 음양곽가루 700g [약전]. 강장, 강정약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 과립제 제법에 따라 전량 1,000g 되게 과립제를 만든다.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먹는다.
▣음양곽의 전설에 대해서 이풍원씨가 쓴 〔이야기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양과 칠순 노인] - 음양곽(淫羊藿) -
중국 사천(四川) 지방에 양을 치는 목동이 있었다. 목동이 양 떼를 몰고 산 언덕으로 올랐다.
마침, 한 마리의 숫양이 암양에게로 달려들어 교미를 하였다. 놀랍게도 숫양은 무려 백여 번이나 교미를 했다.
"저것들이 어떻게 저럴 수가 있지?"
목동은 잔뜩 호기심이 생겨 그 숫양의 동태를 살폈다. 그래서 숫양이 특정 풀을 열심히 뜯어 먹는 것을 알았다.
"아하! 저 풀이 정욕을 솟게 만드는구나."
목동은 호기심에 숫양이 먹던 풀을 뜯어 먹었다. 허기도 안 나고, 정욕도 왕성해지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이 풀은 음탕한 양의 풀이란 뜻을 가진 '음양곽(淫羊藿)'으로 불렀다. 또 이풀은 방장초(放杖草), 선령비(仙靈脾)라고도 불린다.
세 개의 가지를 가지고 있고, 하나의 가지에서 잎이 세 잎씩 난다고 하여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로 불렸던 이 풀은 방장초(放杖草)로 불리게 된 유래가 있다. 한 마을에 칠순이 가까운 노인이 살았다. 이 노인이 어느 날 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가 우연히 이 풀을 발견하고 뜯어 먹게 되었다. 그런 후에 갑자기 성욕이 발동하였다.
"아니, 이게 오래 만에 웬일이지?"
할아버지는 지팡이를 내던지고 부랴부랴 집으로 달려가 칠순의 아내를 끌어안았다. 이런 이유로 지팡이를 던지게 만든 풀이라는 뜻의 <방장초(放杖草)>로 이름이 붙여졌다. 정력이 약하여 방사에 자신이 없고, 밤이 찾아오는 것이 두려운 남성은 이 풀을 복용해 보는 것도 좋다.
음양곽(淫羊藿)에는 에피메딘(epinmedin)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성 호로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정수를 풍부하게 해준다. 또 디소메칠 이카린(desomethyl icariin)이라는 성분도 있어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관의 확대 작용을 일으켜 남근의 해면체를 팽창시키고, 흥분을 유도하는 최음(催淫) 작용을 한다. 그리고 양위(陽萎) 증상이나, 소변을 자주 복거나, 풍(風), 한(寒), 습(濕)으로 오는 신경통에 효과가 있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삼지구엽초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다른 이름: 기장초, 방송초, 팔팔이, 선령비, 천량금, 강전, 건계근
식물: 높이 약 3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봄에 노란 꽃이 피고 여름철에 잎이 자란다. 줄기는 3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끝에 3개의 달걀 모양 잎(모두 9개)이 붙었다. 전국 각지의 해발 100~1,200m 되는 산기슭, 산허리의 나무숲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전초(음양곽): 여름에 잎이 붙은 줄기를 베어서 그늘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이 있다. E. macrantum Morr. et Decne의 줄기와 잎에 플라보놀 배당체인 이카리인 C39 H42 O16(10.2%), 적은 양의 알칼로이드, 세릴알코올, 테트라아콘탄, 피토스테롤,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비타민 E가 있다. 뿌리와 뿌리줄기에 테스메틸이카리인(1%), 마그노플로린 C20 H24 O4 N이 있다.
E. sagittatum Maxim의 전초에서는 2.5%의 사포닌이 분리되었는데 거품지수는 1: 2.500이다. Epimedium속 식물에는 뿌리에 알칼로이드인 코리투베린, 마그노플로린, 플라보노이드인 네이라트신(디옥시메틸이카리인), 데스옥시메틸이카리인이 있다. 전초에는 알칼로이드 함량이 낮고 미리세틴, 델피니딘, 쿠에르세틴, 시아니딘, 카페인산, 페룰라산 등이 분리되었다.
작용: 전초 달임약은 강정작용이 있고 척수의 반사기능을 높여 정액 분비를 잘 시킨다. 또한 성기관의 발육을 돕는다. 이러한 작용은 이카리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전초 우림약은 혈압을 내리고 적은 양에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많은 양에서는 오줌량을 줄인다. 뿌리 달임약은 자궁과 장의 수축진폭과 긴장도를 강화시키며 혈압내림작용,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오줌내기작용은 특히 오줌이 없을 때 세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강정강장약으로 신경쇠약, 류마티즘, 전신불수 특히 성기능이 약하거나 성발육이 잘 안 될 때 쓴다. 즉 성호르몬장애, 성기능부족, 월경장애, 건망증에 쓴다. 민간에서는 일반강장약으로 쓴다. 또한 건위소화약, 땀내기약, 종양 치료약으로도 쓴다.
삼지구엽초 달임약(8~12g:200cc): 하루에 3번 나누어 먹는다. 신경쇠약, 성기능장애, 월경장애, 건망증 등에 쓴다.
삼지구엽초가 들어 있는 제제로는 이 밖에도 삼지구엽초알약, 음양곽엑스단알약, 보양환, 강장보혈환, 보신강장환, 오가피알약, 만삼음양곽알약, 오가피싸락약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음양곽은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간, 신경에 작용한다. 신(腎)을 보하고 성기능을 강하게 하며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앤다. 음위로 생긴 발기불능, 소변 임력, 근골 급성 경련, 반신불수, 요슬 무기력, 풍습 비통, 사지마비를 치료한다. 하루 3.75~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술에 담그거나 푹 달여서 고약으로 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 내어 먹는다. 외용시 달인 액으로 씻는다.
주의사항으로 음(陰)이 허(虛)하고 상화(相火)가 쉽게 동(動)하는 경우는 금기이다.
1, <신농본초경집주>: "음양곽은 서여(薯?)를 사(使)로 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음양곽은 자지(紫芝)을 사(使)로 한다. 술과 배합하여 쓰면 좋다."
3, <신농본초경소>: "허양이거(虛陽易擧), 몽유부지(夢遺不止), 변적구건(便赤口乾), 강양불위(强陽不?)인 사람은 이것을 복용하면 안 된다."
음양곽의 뿌리를 음양곽근이라고 한다. 뿌리의 성분은 des-o-methylicariin을 함유한다. 곪고 터지지 않은 옹저와 허림(허림), 백탁(백탁), 백대(백대), 월경불순, 현기증, 소아 야맹증을 치료한다. 하루 19~37.5g을 물로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된다.
▣본초강목
◈주치증상
[본경(本經)] : 陰痿, 絶傷, 음경통증을 치료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하며 氣力을 증진시키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별록(別錄)]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임파선염을 치료하고 생식기 부위 부스럼을 치료하며 蟲을 씻어낸다. 丈夫가 오랫동안 복용하면 자식이 없다. 왕기(汪機)는 이에 대하여 無子라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며 有子가 옳다고 하였다.
[지대명(池大明)] : 丈夫의 陽氣가 끊어져 자식이 없는 것, 여자가 陰氣가 끊어져 자식이 없는 것, 노인이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 중년의 건망증, 모든 冷風과 피로, 근육경련, 사지의 감각이상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며 자신감을 갖게 한다(池大明).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仙靈脾(선령비), 放杖草(방장초), 棄杖草(기장초), 千兩金(천양금), 乾鷄筋(건계근), 黃連祖(황련조), 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 剛前(강전)이 있다.
陶弘景(도홍경): 이것을 복용하면 사람의 성기능을 좋게 한다. 西川北部(서천북부)에 淫羊(음양)이 있는데, 하루에 백 차례나 합방을 하는데, 대개 이 풀을 먹어서 그런 것이라고 하였다. 때문에 淫羊藿(음양곽)이라고 하였다.
李時珍(이시진)은 콩잎을 藿(곽)이라고 하는데, 이 풀의 잎이 콩잎과 비슷하기 때문에 藿(곽)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仙靈脾(선령비), 千兩金(천양금), 放杖(방장), 剛前(강전)은 모두 그 효과에 따라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 鷄筋(계근), 黃連祖(황련조)는 모두 그 뿌리의 모양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柳子厚文(류자후문)에는 仙靈毗(선령비)라고 되어 있다. 꼭지가 쏙 들어간 것을 毗(비)라고 하는데, 이 약물이 補下(보하)하는 효과가 있으니 뜻이 더욱 잘 통한다."
12.其他資料
▣음양곽꼬리곰탕(淫羊藿─)
1)정의
소의 꼬리와 음양곽을 넣어 끓인 음식으로, 성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보양음식.
2)주재료 : 음양곽· 쇠꼬리
3)적응증
하초의 기능을 키워주는 건강음식이다. 꼬리곰탕의 주재료인 쇠꼬리는 허리를 보하고 하초의 기능을
도와 정력을 길러주는 데 효과가 있다. 음양곽은 남자에게는 양기를, 여자에게는 음기를 더하는 약재
로 특히 태음인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성인병인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은 기름을 걷어내고 살코기만 먹어야 하고, 화와
열이 많은 사람이나 소화가 잘되지 않을 때는 먹지 않아야 한다.
4)조리법
쇠꼬리 600g에 음양곽 15∼30g을 넣어 만들며, 무와 버섯·파·마늘·양파 등의 양념을 함께 넣는다.
쇠꼬리를 4∼5㎝로 자른 뒤 음양곽과 함께 고기가 무를 때까지 끓인다. 끓이는 중간에 파와 마늘
등의 양념을 넣고, 기름과 거품은 자주 걷어낸다.
고기가 푹 익으면 건져서 양념을 하고, 국물을 식힌 뒤 기름을 걷어내고 음양곽도 건져낸다. 국물을
다시 불에 올리고 양념한 꼬리를 넣어 끓인 뒤 소금과 후춧가루·파를 얹어 먹는다.
▣삼지구엽초주(三枝九葉草酒) 1
1)정의
삼지구엽초를 소주에 넣고 3개월간 숙성시킨 술로서 선령주仙靈酒), 선령비주(仙靈脾酒)
음양곽주(淫羊藿酒), 음양곽술이라고도 부른다.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음양곽(淫羊藿)이라고도 하는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가지가 셋, 잎이 아홉으로 되어 있다고 해서 삼지구엽초라고 불린다.
주로 여름 가을에 베어서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쓰는데 상쾌한 마른풀잎의 향을 내며 씁쓸하면서도
달콤하다.
삼지구엽초주는 소주와 삼지구엽초를 용기에 담고 밀봉한 상태로 3개월 정도 숙성을 시켜 빚는다.
숙성이 끝나면 건더기를 건져내고 마시는데, 단맛을 내려면 설탕이나 꿀을 첨가 하기도 한다.
▣삼지구엽초주(三枝九葉草酒) 2
1)재료
쌀 16kg, 누룩 2kg, 삼지구엽초 1kg, 숯, 솔잎, 물 적량
2)조리방법
①숯과 삼지구엽초를 간장보다 진한 물이 나오도록 솥에 삶는다.
②쌀과 솔잎을 켜켜로 쌓아 고두밥을 찐 후 식혀 놓는다.
③2에 누룩을 빻아서 섞은 다음 비벼서 항아리에 담은 후 1의 물을 붓는다.
④항아리에서 발효시켜 간장 빛깔이 되면 삼지구엽초주가 된다.
▣삼지구엽초주(三枝九葉草酒) 3
1)효능
성기능감퇴로 인한 발기부전, 유정, 조루와 하반신무력감, 건망증, 신경쇠약에 좋다.
2)첨가약재
음양곽 50g, 육종용 30g, 복령 40g, 자감초 20g, 얼음설탕 100g, 벌꿀 100g, 미림 50ml, 소주 1L
3)제조방법
약제를 소주와 함께 10일간 밀봉저장후 천으로 액을 거른후 설탕과 꿀과 미림을 넣고 잘 저은후 30
일간 냉온소에 저장후 찌거기를 걸러낸다.
4)복용법
매일 식전에 소주잔으로 3번 복용한다.
선령비주(仙靈脾酒)는 음양곽이 주된 약재이고 다른 약재는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약재이다.
음양곽은 일명 선령비(仙靈脾) 라고도 하며 삼지구엽초의 잎을 말린 것이다.
신허(腎虛)로 인한 노인성 치매, 하반신 무력, 권태에 효과가 크다.
음양곽의 최음 작용은 정액의 분비가 왕성해지는 작용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정낭의 충만(充滿)
으로 인한 지각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간접적으로 흥분이 일어나는 것이라 한다.
육종용은 생식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기능의 감퇴에 효과가 있는데 특히 남성의 발기부전,
조루, 여성의 불임증, 부정 성기 출혈, 백대하 등에 효과적이다.
복령의 보익 이신(補益利腎) 효과와 어울려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13.副作用 및 注意事項
1)금기
음허(陰虛)로 상화이동(相火易動)한 경우(오심번열(五心煩熱), 다몽(多夢), 유정(遺精),
성욕항진(性慾亢進))에는 기(忌)한다.
[출처 : 두산백과, 한의학대사전, 한의학및고유의한약재, 몸에좋은산야초, 본초강목(本草綱目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