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총칙 제2장 자모 제3장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5장 띄어쓰기 제6장 그 밖의 것 부 록 문장 부호 |
① 발음에 관한 것 ② 소리에 관한 것
③ 문법에 관한 것 ④ 어법에 관한 것
37.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에서 사용된 단어가 아닌 것은?
① 표준어 ② 어법
③ 외래어 ④ 서울 말
38. 다음 표기 가운데 원형을 밝혀 적는 원리에 어긋난 것은?
① 일찍이 ② (날씨가) 더워
③ (집을) 짓고 ④ 웃음
39. 다음 중 받침의 표기가 잘못된 것은?
① 깍두기 ② 새우젓
③ 떳다방 ④ 떡볶이
40.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맞춤법에 맞는 것은?
① 나도 학교 다닐 때는 우등생이였다.
② 고기는 냉장고에 있슴.
③ 여러분, 어서 오십시요.
④ 2시에 기념식이 있사오니, 많은 참석 바랍니다.
41. 다음 중 복수 표준어가 아닌 것은?
① 새앙쥐 - 생쥐 ② 노을 - 놀
③ 망태기 - 망태 ④ 찌꺼기 - 찌끼
42. 준말의 맞춤법과 관련하여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모두가 사랑이예요.
② 무늬만 나무 아니에요?
③ 이건 또 뭐에요?
④ 그 사람 때문에 귀챦아 죽겠어요.
43. 다음 겹받침의 발음이 올바른 것은?
① 넓다 [넙따] ② 맑다 [말따]
③ 늙지 [늑찌] ④ 밟게 [발께]
44. <맞춤법과 표준어> TV방송강의의 <생활 속 우리말> 코너에서 다루는 문제는 1강당 대체로 몇 개씩인가?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45. 어원과 관련된 다음 설명 가운데 잘못된 것은?
① ‘시내’는 “실(絲)처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② ‘무지개’는 “물로 된 문(門)”이란 뜻으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③ ‘고양이’는 우리말 ‘괴’에 ‘-앙이’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④ ‘젓가락’의 ‘저’는 한자어 ‘箸’에서 온 것이다.
46. 다음의 문장 중 두음법칙의 예외에 해당하는 단어가 포함된 것은?
① 지난 3년 동안 미국을 다섯 번이나 갔었어요.
② 요즈음이 결혼 성수기라서 예식장을 잡기가 쉽지 않아요.
③ 사리에 밝기도 해야겠지만 양심이 있는 올곧은 사람이어야 해.
④ 개화기 때에, 신식 교육을 받은 사람을 ‘신여성’이라고 했어.
47. 다음의 문장 중 두음법칙의 예외에 해당하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선진국일수록 평균 수명이 길어서 노년층의 비율이 높다고 한다.
② 모든 수치는 백분율로 환산해서 기록하기 바랍니다.
③ 착하고 순진한 사람을 등쳐 먹고 사는 파렴치한 인간들이 왜 이리 많은지······
④ 이번에 모두들 역사 시험을 잘 봐서 합격률이 많이 높아졌어.
48. 표기가 올바른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단, ‘申砬’과 ‘河崙’은 역사적 인물임)
① 은익(隱匿) - 선율(旋律)
② 진렬(陳列) - 공염불(空念佛)
③ 신립(申砬) - 하윤(河崙)
④ 쌍용(雙龍) - 남존여비(男尊女卑)
49. 다음 □ 안의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가) 구름양(--量) (나) 비고난(備考欄) (다) 태능(泰陵) (라) 율리우스역(Julius曆) (마) 몰렴치(沒廉恥) |
① (가), (라)는 올바른 표기이지만 나머지는 잘못된 표기이다.
② (나), (다)는 올바른 표기이지만, (라), (마)는 잘못된 표기이다.
③ (다), (라), (마)는 잘못된 표기이다.
④ (나), (라)는 올바른 표기이지만 (다)는 잘못된 표기이다.
50. 표기가 올바른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염염불망(念念不忘) - 누누이(屢屢-)
② 열열하다(烈烈--) - 역역하다(歷歷--)
③ 낙락장송(落落長松) - 냉냉하다(冷冷--)
④ 연연불망(戀戀不忘) - 유유상종(類類相從)
51. 다음 중 표기가 바르게 된 문장은?
① 게시판에는 ‘남 ․ 녀 사원 모집’이라는 되어 있어.
② 밀턴의『실낙원』은 기독교적인 이상주의와 청교도적인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③ 올해에는 김치를 집에서 담궈 먹지 않고 조금씩 사 먹기로했어요.
④ 외출할 때에는 문을 잠궜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52. 다음 □ 안의 예문의 괄호에 들어갈 올바른 표기 형태를 차례대로 제시하면?
(가) 오늘은 도서관에 가지 ( ). (나) 동생이 책상에서 꾸벅꾸벅 ( ). |
① 마라 - 졺 ② 마라 - 졸음
③ 말아라 - 좀 ④ 말아라 - 졺
53. 다음 □ 안의 예문의 괄호에 들어갈 올바른 표기 형태를 차례대로 제시하면?
(가) 이곳에서 오랫동안 ( ) 싶다. (나) 일이 너무 ( ) 큰일이다. (다) 시간이 없으니까 ( ). |
① 머물고 - 서툴어서 - 서둘어라
② 머물고 - 서툴러서 - 서둘어라
③ 머무르고 - 서툴어서 - 서둘러라
④ 머무르고 - 서툴러서 - 서둘러라
54.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2음절 한자어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횟수(回數) - 댓가(代價) - 찻간(車間)
② 툇간(退間) - 곳간(庫間) - 잇점(利點)
③ 곳간(庫間) - 셋방(貰房) - 숫자(數字)
④ 찻간(車間) - 촛점(焦點) - 툇간(退間)
55. 다음 중 사이시옷 표기가 실현되는 조건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조개’와 ‘살’이 결합할 때
② ‘나무’와 ‘가지’가 결합할 때
③ ‘예사’와 ‘일’이 결합할 때
④ ‘갈비’와 ‘집’이 결합할 때
56. 다음 중 사이시옷 표기가 바르게 된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전셋집 - 전세방 ② 전셋집 - 전셋방
③ 전세집 - 전세방 ④ 전세집 - 전셋방
57. 다음의 문장 중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등굣길에 문방구에 들러야 해.
② 윗층에서 무슨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③ 햇님이 구름 속에 숨었어요.
④ 머릿말을 잘 읽어 보면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다.
58. 다음 □ 안의 예문의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의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을 차례대로 제시하면? (단, ‘v’는 띄어쓰기 표시임)
(가) 기회는 오직 ( )밖에 없어. (나) 오늘은 집에 일찍 ( ). |
① 한번 - 갈거야 ② 한v번 - 갈거야
③ 한번 - 갈v거야 ④ 한v번 - 갈v거야
59. 다음 예문 중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것은? (단, ‘v’는 띄어쓰기 표시임)
① 책을v읽어도보고v생각도v해봐라.
② 낙엽이v한잎v두잎v떨어지기v시작했다.
③ 냉면이v맛있는데,v너도v한v번v먹어v볼래?
④ 잘못하다가는v큰v코v다치겠다.
60. 다음 예문 중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단, ‘v’는 띄어쓰기 표시임)
① 그v사람의v성은v박씨라고v합니다.
② 보는v대로v나한테v오라고v해.
③ 지구상의v생물v중에는v우리가v모르는v것도v많다.
④ 부모와v자식v간에도v예의는v지켜야v한다.
61. 다음 중 외래어의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단, ‘v’는 띄어쓰기 표시임)
① 아이스v크림 ② 리오그란데강
③ 알프스산맥 ④ 러시아어
62. 다음 중 어원적인 형태를 반영하지 않은, 즉 어원적인 형태와 현행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부조(扶助) ② 삼촌(三寸)
③ 강낭콩 ④ 사돈(査頓)
63. 다음 중 접두사 ‘숫-’이 결합하는 단어가 아닌 것은?
① 양 ② 쥐
③ 염소 ④ 소
64. 다음 중 비표준어가 포함되지 않은 예문은?
① 철수는 결국 여자 친구한테 채었어.
② 일 처리가 흐리멍텅해서 자주 야단을 맞는다.
③ 우리 바램대로 되기만 하면 얼마나 좋겠니?
④ 내 친구 중에는 쌍동이가 하나도 없어.
65. 다음 중 표준어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알타리무 - 우렁쉥이 ② 주책없다 - 멍게
③ 코주부 - 우뢰 ④ 물방개 - 안절부절하다
66. 다음의 단위성 의존명사 중 수관형사 ‘서’ 또는 ‘석’이 연결되어 쓰일 수 없는 것은?
① 돈 ② 분
③ 말 ④ 섬
67. 외래어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케익(cake) ② 로보트(robot)
③ 플룻(flute) ④ 리프스틱(lipstick)
68. 독일어 ‘Rostock[rɔstɔk]’와/과 ‘Stadt[ʃtat]’를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바르게 적은 것은?
① 로스톡 - 슈타트 ② 로스톡 - 쉬타트
③ 로스토크 - 슈타트 ④ 로스토크 - 쉬타트
69. 다음 □ 안의 외래어들 중 표기가 바른 것은?
리더쉽(leadership), 써비스(service), 터어키(Turkey), 콘서트(concert) |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70.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을 로마자 표기법에 맞게 옮기면?
① Seoul-si Jongno-gu Dongsung-dong
② Seoul-si Jongno-ku Dongsung-tong
③ Seoul-si Jongro-gu Dongsung-dong
④ Seoul-si Jongro-ku Dongsung-tong
<정 답>
36-2 37-4 38-2 39-3 40-4
41-1 42-2 43-3 44-D 45-1
46-1 47-4 48-3 49-3 50-4
51-2 52-1 53-4 54-3 55-3
56-1 57-1 58-4 59-2 60-3
61-4 62-3 63-4 64-1 65-2
66-2 67-K 68-3 69-1 70-1
|
첫댓글 와우~! 자료까지 올려주시고...^^
훌륭해요~ 누가 올리나 기다렸지요..ㅋ
맞표 시험 잘 봐야 할 것 같네요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