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지합과 궁합비교
사주공부에서 제일 혼동되는 것이 바로 간지의 변화이다. 10간과 12지가 본래의 성질이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변심을 하기 때문이다. 10간과 12지는 서로 합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한다. 합하는 것을 합이라고 하고, 부딪치는 것을 충이라고 한다. 합에는 간합, 지합, 삼합, 방합이 있다. 그리고 충에는 간충과 지충이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읽을 줄 알아야 사주의 고수가 되는 것이다.
우선 간합에 대해 알아보자.
간합(干合)을 풀이하면 간(干)이 합(合)을 한다는 것이다. 즉 10개의 간이 합한다는 의미다.
간합을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갑(甲)과 기(己)가 만나면 합(合)이 된다.
즉 갑이라는 남자와 기라는 여자가 서로 사랑을 하여 한 몸이 된다. 궁합을 볼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을(乙)과 경(庚)이 만나면 합(合)이 된다.
병(丙)과 신(辛)이 만나면 합(合)이 된다.
정(丁)과 임(壬)이 만나면 합(合)이 된다.
무(戊)와 계(癸)가 만하면 합(合)이 된다.
그런데 이들이 합해지면 원래의 오행과는 다른 오행으로 변한다.
갑(甲)목과 기(己)토가 합하면 토(土)로 변한다.
을(乙)목과 경(庚)금이 합하면 금(金)으로 변한다.
병(丙)화가 신(辛)금을 합하면 수(水)로 변한다.
정(丁)화와 임(壬)수가 합하면 목(木)으로 변한다.
무(戊)토와 계(癸)수가 합하면 화(火)로 변한다.
간합이 되어 다른 오행으로 변하는 것을 해석하는 것은 아주 복잡 미묘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일단 암기해야만 더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무슨 공부이든 기초적인 것은 암기해야만 그 다음으로 응용이 가능한 법이다.
위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10간 중 갑부터 순서대로 다섯 자가 아래로 배열되어 있다. 갑(甲)부터 시작하여 무(戊)까지 다섯 개를 적고, 기(己)부터 계(癸)까지 순서대로 그 옆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합한 결과물의 오행을 보면 토금수목화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시 자세히 보면 갑목은 양간이면서 양목이다. 그리고 기토는 음간이면서 음토이다. 앞의 오행의 상생상극에서 보면 목이 토를 극(克)한다. 그러나 양목인 갑목은 음토인 기토를 극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절묘한 음양의 조화가 아닌가. 원래는 서로 극하는 오행이지만 서로 합함으로써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간합을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갑기합토(甲己合土)
남자의 일간이 갑(甲)목이고 여자가 기(己)토라고 하자, 이들이 합하여 토(土)가 되는 것이다.
이 는 겉으로는 남자인 갑목이 기토를 극하기 때문에 이기는 것처럼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여자인 기토가 승리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갑기가 합이 되어 토로 변하기 때문이다. 일간이 갑인 남자가 일간이 기인 여자와 부부로 함께 살면서 겉으로는 늘 갑인 남자가 이기는 것처럼 보이나,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은 여자에게 많이 있다. 이것은 일종의 윈윈(win-win)인 것이다.
따라서 궁합을 볼 때 제일 먼저 살피는 것이 바로 남녀의 일간 합의 유무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사주 구성의 전체를 다 보아야지 일간의 합의 유무만으로는 정확하게 판단할 수는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2. 을경합금(乙庚合金)
을경 간합은 을(乙)목인 여자와 경(庚)금인 남자가 합을 하면 오행은 금으로 변한다.
경금인 남자로서는 최고의 선택이다. 만약에 을목 남자와 경금 여자가 결혼을 한다면 일반적인 의사결정권은 여자에게 있다. 물론 사주 전체를 다 보아야지 일간의 합의 유무만으로는 판단할 수는 없다.
3. 병신합수(丙辛合水)
병신 간합은 병(丙)화인 남자와 신(辛)금인 여자가 결합을 했는데 그 결과물은 수(水)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는 병화인 뜨거운 태양이 보석인 신금을 녹여 물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천하의 병화인 남자도 신금의 여자를 만나면 불같은 성격이 자제가 되어 신중한 사람이 되는 이치이다.
4 정임합목(丁壬合木)
정임 간합은 임(壬)수인 남자와 정(丁)화인 여자가 결합했는데 그 결과물은 목(木)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수(水)인 임의 남자가 화(火)인 정의 여자를 만나 새로운 형태인 목으로 바뀐 것이다. 더욱이 이 목은 수, 목, 화로 연결하는 상생관계이기 때문에 다른 간합보다 더 끈끈한 정이 많다. 즉 유정(有情)하다고 볼 수 있다.
5. 무계합화(戊癸合火)
무계 간합은 무(戊)토인 남자와 계(癸)수인 여자가 결합하여 화(火)가 된다는 것이다.
이는 무토의 남자와 계수의 여자가 결합하면 토(土)를 도와주고 수(水)한테는 극을 받는 화(火)로 변한다는 것이다. 이 무계간합인 경우는 도와주기도 하고 극을 당하기도 하므로 사주 전체 구성을 다 보아야지 단편적인 간합만으로는 판단하기가 어렵다.
지합은 지지의 합을 말한다.
지합을 달리 육합 또는 지지육합이라고도 부른다. 즉 12개의 지지가 두 개씩 짝을 지으면 총 6개가 된다는 의미에서 육합이라고 한다. 지합의 특징도 음양의 합이다. 태양의 둘레를 지구가 공전과 자전을 하면서 변하는 변화의 상태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좀더 과학적인 근거가 필요하다고 본다.
일단은 수용을 하는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1. 자수와 축토가 만나면 합이 된다.
자 (子)수는 양의 수(水)이다. 그리고 축(丑)토는 음토(土)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토가 수를 극하지만 음양이 조화되면 화합을 한다고 알아두면 된다. 주변의 부부들의 궁합을 볼 때 일주의 지지가 합이 될 때는 일반적으로 두 사람의 속궁합이 좋음을 알 수 있다.
2. 인목과 해수가 만나면 합이 된다.
인(寅)목은 양의 목(木)이고 해(亥)수는 음의 수(水)이다. 목과 수는 상생관계인데 해수가 인목을 상생도 하고 합도 한다는 의미다.
3. 묘목과 술토가 만나면 합이 된다.
묘(卯)목은 음목이고 술(戌)토는 양토이다. 원래 목은 토를 극하지만 음양이 다른 경우는 화합을 한다는 의미이다.
4. 진토와 유금이 만나면 합이 된다.
진(辰)토는 양토이고 유(酉)금은 음금이다. 토 생 금으로 진토가 유금을 생하기(도와주기)도 있고, 합도 된다는 의미이다.
5. 사화와 신금이 만나면 합이 된다.
사(巳)화는 음화이고 신(申)금은 양금이다. 이는 화가 금을 극하나 음양의 조화라고 보면 된다.
6. 오화와 미토가 만나면 합이 된다.
오(午)화는 양화이고 미(未)토는 음토이다. 이는 또한 화 생 토도 된다. 즉 오화가 미토를 생도 해주고 합도 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이들도 역시 간합과 마찬가지로 합이 되면 다른 오행으로 변한다.
가. 子丑合化 土
자수와 축토가 합하면 토로 변한다.
나. 寅亥合化 木
인목과 해수가 만나면 목으로 변한다.
다. 卯戌合化 火
묘목과 술토가 만나면 화로 변한다.
라. 辰酉合化 金
진토와 유금이 만나면 금으로 변한다.
마. 巳申合化 水
사화와 신금이 만나면 수로 변한다.
바. 午未合化
오와 미가 만나면 합만 되지 다른 오행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육합에는 반론도 만만하지 않다. 낭월스님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1) 자축합토에 대해서는 자수와 축토는 해자축의 방합이 북방 수이다. (해자축의 방합이 북방 수이다. 이는 방합편에서 설명함)
따라서 오히려 수의 기운이 더욱 왕성할 따름이지 토로 변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본다.
2) 인해합목에 관해서는 해수가 인목을 생하여 결국은 목으로 변하므로 굳이 합이라고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3) 묘술합화에 대하여는 묘목이 술토를 극하는 상황 속에서 어떻게 합이 되어 화로 되는지를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다만 건조할 따름이지 불 그 자체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4) 진유합금에 대해서는 진토가 유금을 생하는 의미에서는 금이 강화되는 것이지 진토가 금으로 화한다고는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5) 사신합수는 사화가 신금을 만나면 사화가 신금을 극하는 관계이지 합하여 수로 변한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6) 오미합은 사오미 남방화의 분위기라고 주장한다.(남방화는 방합편에서 설명함)
지지삼합과 궁합
지지의 삼합은 일반적으로 궁합을 볼 때 쓰이는 것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해(亥)묘(卯)미(未) 삼합을 보자 돼지띠(亥)와 토끼띠(卯)와 양띠(未)는 궁합이 좋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 삼합의 원리에서 나온 것이다.
인(寅)오(午)술(戌) 삼합은 범띠와 말띠와 개띠는 삼합이 되어서 궁합이 좋다고 한다.
사(巳)유(酉)축(丑) 삼합은 뱀띠, 닭띠, 소띠는 삼합이 되어서 궁합이 좋다고 한다.
신(申)자(子)진(辰) 삼합은 원숭이띠, 쥐띠, 용띠는 삼합이 되어 궁합이 좋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은 맞지 않는 설명이다.
사주에서 궁합은 일간과 일지를 중심으로 사주 전체의 균형과 조화를 보는 것이지 연지인 태어난 해의 띠만을 보는 것이 아니다. 띠로써 궁합을 보는 것은 대략 5% 정도는 고려될 수 있겠다. 그러므로 궁합을 볼 때 어떤 띠와 결혼을 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들은 옳바르지 못하다 보아도 된다.
그러나 일지가 이와 같이 삼합이 되면 일단 속궁합은 좋다고 볼 수 있다. 궁합이 좋다는 위의 띠들을 자세히 보면 모두 4살 차이다. 즉 12지지를 4살 차이로 3띠씩 묶어 4개로 나누어 놓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삼합은 지지 3개가 모여서 하나의 오행으로 변하기 때문에 지지 삼합이라고 한다. 사주를 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이 삼합이다. 그러므로 지지삼합도 구구단처럼 우선은 외우고 봐야한다.
1. 해(亥)묘(卯)미(未)가 모이면 목(木)으로 변한다.
2. 인(寅)오(午)술(戌)이 모여 화(火)로 변한다.
3. 사(巳)유(酉)축(丑)이 모이면 금(金)으로 변한다.
4. 신(申)자(子)진(辰)이 모이면 수(水)로 변한다.
그런데 이 4가지의 지지의 삼합을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세 글자 중 가운데에 있는 글자의 오행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그런가를 분별하기 전에 일단 외워두자. 나중에 실력이 점차 쌓이면 미묘한 변화까지도 감지를 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가. 亥卯未 合木
亥卯未에서 亥卯나 卯未가 만나는 것을 반합이라고 한다. 이는 삼합만큼의 결속력은 없지만 그의 버금갈 정도로 결속력이 있다.
그러면 가운데 글자가 없는 亥와 未가 만나면 어떻게 되는가?
이는 학설이 반반으로 나누어져 있다. 합을 한다고 주장하는 설과 미토는 해수를 극할 뿐이지 절대로 합이 될 수 없다고 주장을 하는 설로 나뉜다. 그런데 실제 임상을 해보면 이 둘의 관계가 유정(有情)함을 알 수 있다.
좀더 깊어 들어가 지장간을 분석해보자.
해(亥)의 지장간은 무(戊)가 7, 갑(甲)이 7, 임(壬)이 16이다. 이 중에 분명히 甲木이 7이나 있다. 그리고 미(未)의 지장간을 살펴보면 정(丁)이 9, 을(乙)이 3, 기(己)가 18이다. 이 중에 분명히 乙木이 3이나 있다. 따라서 亥와 未가 만나면 甲木이 7이고 乙木이 3이어서 목이 많아지는 구조다. 또한 亥에는 甲木을 도와주는 壬水가 16이나 있어 木이 강해진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다가 대운(大運)이나 세운(歲運)에서 卯木이 올 때에는 이 기간에는 삼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늘 사주 전체의 구조를 잘 살펴보아야 알 수 있다.
나. 寅午戌 合火
寅午戌에서 寅午나 午戌이 만나는 것을 반합(半合)이라고 한다. 이 또한 삼합(三合)만큼의 결속력은 없지만 그의 버금 갈 정도로 결속력이 있다. 그런데 가운데 글자인 오(午)가 빠지고 인(寅)과 술(戌)이 만나면 어떻게 되는가?
이 또한 지장간을 살펴보아야 한다. 寅의 지장간은 무(戊)가 7, 병(丙)이 7, 갑(甲)이 16이다. 그리고 술(戌)의 지장간을 보면 신(辛)이 9, 정(丁)이 3, 무(戊)가 18이다. 이 중에는 병화가 7이고 정화가 3으로서 화(火)가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寅)중에는 화(火)를 도와주는 甲木이 16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대운이나 세운에서 午운을 만나면 寅午戌 삼합으로 변한다.
다. 巳酉丑 合金
巳酉丑에서 巳酉나 酉丑이 만나면 半合이라고 한다. 앞서 본 것과 마찬가지로 三合만큼은 결속력은 없지만 거의 버금 갈 정도로 결속력이 있다. 그런데 가운데 글자인 유금이 빠지고 사(巳)와 축(丑)이 만나면 어떻게 될까?
이 또한 지장간을 살펴보아야 한다.
사의 지장간은 무(戊)가 7, 경(庚)이 7, 병(丙)이 16이다. 그리고 축(丑)은 계(癸)가 9, 신(辛)이 3, 기(己)가 18이다.
여기서 보면 巳에는 庚금이 7이고 금을 도와주는 戊토가 7이나 된다. 그리고 丑에는 辛금이 3이고 금을 도와주는 己토가 18이나 된다. 이와 같이 사(巳)와 축(丑)은 금(金)의 성분을 그 자체로도 많이 갖고 있다.
따라서 운에서 유(酉)금이 오면 바로 삼합(三合)이 되는 것이다.
라. 申子辰 合水
申子辰에서 申子나 子辰이 만나면 반합이라고 한다. 이는 三合만큼은 결속력이 없지만 거의 버금이 갈 정도로 결속력이 있다. 그런데 가운데 글자인 子水가 빠지고 申과 辰이 만나면 어떻게 될까?
이 또한 지장간을 살펴보자.
신 (申)에는 무(戊)가 7, 임(壬)이 7, 경(庚)이 16이다. 그리고 진(辰)에는 을(乙)목이 9, 계(癸)수가 3, 무(戊)토가 18이다. 여기서 보면 신(申)에는 임(壬)수가 7이고 수(水)를 도와주는 경(庚)금이 16이나 된다. 그리고 진토는 신금을 생하여 수를 도와주기도 한다. 따라서 신진의 합을 전혀 합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 논리는 맞지가 않다. 어느 정도 합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삼합에 대하여 말하면 중심에 있는 제왕의 글자 즉 子午卯酉가 빠진 합도 어느 정도의 결속력은 있다고 본다. 또한 운의 흐름을 보면 매일 子午卯酉의 시간이 오고 있다. 그리고 매년 子午卯酉의 달이 온다. 그리고 대운에서 子午卯酉의 운이 오면 이 또한 삼합이 된다. 따라서 많은 책에서 중심글자인 子午卯酉가 없으면 전혀 합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논리적인 오류라고 본다. 단 子午卯酉 중심글자가 있는 것에 비해 결속력이 떨어질 따름이지 합이 되지 않는다고는 볼 수는 없다.
첫댓글 어제 두 시간 넘게 씨름하며 간신히 읽었습니다 두고 두고 반복해서 공부하겠습니다 전 정말 우둔하더군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