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티포트(Tea pot) : 차를 우려내는 주전자
보온성이 뛰어난 것을 사용
재질은 순은, 내열유리, 스케인레스, 도자기 등
티포트 뚜꼉의 스톱퍼(stopper)는 뚜껑을 고정시키는 역할
2. 찻잔(Tea cup & Saucer) : 차를 마실 때 사용
찻잔을 홍차의 빛깔을 잘 볼 수 있는 도자기 재질
찻잔의 높이는 커피잔 보다 낮으며 윗부분이 약간 벌어진
형태로 용량은 200ml내외
3. 스트레이너(Strainer) : 찻잎을 걸러주는 도구
재질은 순은, 은도금, 스테인레스, 도자기 등
4.인퓨져( Infuser) : 티볼(tea ball)이라고도 하는 일종의 금속형 티백
편리함과 우린 찻잎의 처리가 용이 그러나 협소한 공간으로인해
찻잎을 충분히 우려내기가 어려움
5. 티 스푼 과 티 메이저스푼(Tea Spoon & Tea Measure Spoon)
티스푼은 차에 설탕과 우유 등을 잘 섞는 용도가 기본이지만
근래에는 용량을 재는 티메이저스푼의 역할도 함
티메이저스푼은 찻잎의 정확히 측정하는 도구
티캐디에서 찻잎을 덜어 사용했기 때문에 티캐디스푼이라고도 함
6. 티 코지(Tea Cosy) : 차가 식지 않도록 티포트에 씌워주는 일종의 덮개
보온효과로 인해 보다 맛좋은 차를 우려낼 수 있다.
일반 천, 뜨개실, 스테인레스, 등 소재가 다양
7. 티 워머(Tea Warmer) : 차를 따뜻하게 해주는 일종의 갸열도구
티워머를 너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차의 떫은맛 성분이 우러남
워머용 양초는 티캔들(tea candle)
8. 티 매트(Tea Mat) : 차를 우려내고 마시는 동안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티포트 밑에 깔아
놓는 매트, 볼륨감 있는 두꺼운 천을 이용하거나 누빈 매트를 이용
9. 티 캐디(Tea Caddy) : 차를 보관하는 함
은, 동, 주석, 상아, 거북이 등껍질 등 재질이 다양
장식적인 면에서도 화려해 소장가치가 있음
10. 케이크 스텐드(Cake Stand) : 3단 혹은 2단의 케이크스텐드는 차를 즐기기위해 또는
여러 가지 티푸드를 즐길 때 자주 사용
한정된 테이블 공간에서의 활용도가 높음
11. 티 냅킨 과 티 타월(Tea Napkin & Tea Towel) :
사방25cm정도의 크기이며 티타임에 걸맞는 화려한 레이스나
자수문양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
18세기 무렵에는 가문의 문장을 새겨 넣기도 했음
티 타월은 흡수력이 좋고 세탁이 편리한 린넨이나 코튼 소재
12. 밀크 저그(Milk Jug) : 우유를 담아 내는 단지
13. 슈거 볼(Sugar Bowl) : 설탕를 담아두는 용기
14. 티백 트레이(Teabag Tray) : 우리고 난 티백을 올려놓은 용기
15. 티백 스퀴저(Teabag Squeezer) : 티백에서 마지막 한 방울인 골든드롭(golden drop)
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도구
16. 드롭 캐처(Drop Catcher) : 티포트의 주둥이 입구부분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차를 따를 때 주둥이를 타고 흐르는 것을 흡수해 주는 역할
17. 모래시계(Sandglass) : 찻를 우려내는 시간을 재는 도구
찻잎에 따라 우리는 시간을 달리하는데 티백은 1분
보통은 3분, 홀리프면 5분을 기준
18. 티 타이머(Tea Timer) : 차를 우려내는 시간을 재는 전자식 타이머
19. 티포원(Tea for One) : 퍼스널 티포트라고도 부르는 개인 포트로 아랫부분은 분리해
찻잔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
보관이 용이하고 장식 효과 뛰어남
20. 슬랍볼(Slop Bowl) : 찻잔에 남은 차를 비우는 용도, 예열한 물을 버리는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