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살,돼지고기살,닭살,생선살,
밭의 고기인 콩제품, 건어물의 살들
속에는 단백질이 많아요.
우리의 살을 만저봐요.
다른 동식물의 살처럼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어요.
단백질이 많은 음식이
우리 입속으로 들어가면
치아가 잘근잘근 씹어서
혀가 둘둘 말아 목구멍으로 넘겨요.
침속에는 단백질 소화효소가 없어
입속에서는 단백질은 소화되지 않아요.
식도의 연하작용으로
단백질이 위의 앞문을 밀치고
위속으로 들어가면
위벽에 있는 가스트린은 잠에서 깨어나
활성화 되어 혈액 따라 위샘으로
점막으로 달려가서는
점액을 풍부하게 분비하여
위의 내벽에 점액칠을 두텁게 하도록 하고
위샘의 주세포와 부세포에서는
펩시노오겐과 염소와 수소를
활발하게 생산하도록 하지요.
위벽의 근육은 위속에 들어온 음식이
많아짐에 따라 점점 압박을 받게 되어 이완을 하다
반사적으로 수축을 하면 다시 이완을 하기를 반복하다가
연동운동을 힘차게 하게되면
위근육세포들은 일이 많아져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게 되어
혈액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져
혈관이 확장하고 주위에서 혈액이 몰려와
위의 근육은 마치 혈액을 빨아먹은것처럼 된다.
위의 근육운동이 활발해지자
위속의 단백질과 염소와 수소가 버무려지면
그 와중에서 염소와 수소는 결합하여 염산이 되고
염산은 위액을 강산으로 만들고
강산맛을 본 펩시노오겐은 펩신으로 변해
활성화 되어 단백질을 토막쳐서
펩톤으로 만든다.
펲신은 고기속의 결합조직인 콜라겐을 소화하는데
콜라겐은 교원(膠原)섬유로서 고기가 소화도려면
바로 이 교원섬유가 소화되어야 한다.
우리가 꿀떡꿀떡 삼킨 고기 덩어리들이 위속에서
펲신에 의해 교원섬유가 끊어지면
조직이 무너져 세포들이 분산되어
소화효소의 작용을 쉽게 받게 한다.
펲신 덕분에 위속에서는 고기 덩어리가
미즙으로 삭혀져 버린다.
단백질과 펲톤의 과계는
생선과 생성토막과의 관계지.
즉 단백질이 생선이면 펲톤은 생선토막이지.
위에서는 단백질이 소화된다.
약간의 지방도 소화된다.
위액 속의 소화효소량이
자율신경의 부교감신경에 의해
분비 촉진된다고 하니
쑥이 생각나요.
쑥은 위기(胃氣)를 키워주고
위장을 안정시켜주는데
부교감신경의 말단에서는 아세팉콜린이 분비되는데
쑥에도 이와 유사한 물질이 들어있대요.
그래서일까 쑥을 먹으면 속이 편안해져요.
위는 단백질이나 지방이 들어오면
오랫동안 품고 있어
우린 고기나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속이 든든하다고 해요.
위액은 강산이어서
고기일지라도 죽처럼 삭혀버려
그것을 우린 미즙이라고 불러요.
단백질이 많은 미즙은
십이지장속이 알카리일 때 닫히고
산성일 때 열리는 유문반사에 의해서
십이지장으로 서서히 보내져요.
단백질 미즙이 십이지장으로 내려오면
십이지장벽에서는 잠자던 세크레틴이
활성화 되어 모세혈관으로 스며들어가
혈액 따라 이자로,장샘으로,쓸개로
달려가서 지금 십이지장 내로 강산죽이
내려오고 있다고 알려주지요.
소장내의 삼총사인 쓸개와 이자와 장샘은
합심하여 쓸개는 수축을 하여 가지고 있는
쓸개즙을 쓸개관을 통해 나가게 하고,
이자에서는 이자액을 이자관을 통해 나가게 하면
쓸개관과 이자관은 하나로 합해져서
십이지장내에 열려 있어 이곳으로
쓸개즙과 이자액이 쏟아져 나오고
융털들 사이사이에 있는 장샘에서는
장액이 쏟아져 나와.
쓸개즙 속에는 소화효소가 없고
이자액속에는
유화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아제,
단백질을 분해하는 트립신,
펲티다아제를 분해하는 펲티다아제,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하는 아밀라아제,
엿당을 분해하는 말타아제가 있고,
핵산을 분해하는 뉴크레아제가 있다.
장액 속에는
엿당을 분해하는 말타아제,
설탕을 분해하는 슈크라아제,
젖당을 분해하는 락타아제.
펲티드를 분해하는 펲티다아제가 있다.
지방은 쓸개즙이 표면장력을 약화시키면
잘게잘게 부셔져서 물에 녹는 유화지방이 되고
유화지방은 리파아제의 도움으로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된다.
단백질은
위에서 일부는 펲톤으로 분해되고
그대로 십이지장으로 내려오면
트립신에 의해서 폴리펲티드로 갈라지고
펲톤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며
소장으로 내려와 펲티다아제에 의해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즉 소장 속에서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나홀로 상태로 소장 속의 미즙 속에 떠돌다가
소장의 꿈틀 운동에 의해서
융털의 미세융모에 붙잡혀 있다.
융털 속으로 들어가
모세혈관 속으로 친구들과 함께 우루루 들어가
간문맥을 타고 간으로 가서
일부는 저장되고 일부는 간세포들에 의해
세포들이 좋아하는 아미노산으로 요리되어
혈관 속으로 들어가 간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들어가
심장의 혈액순환에 의해서 조직세포 속으로 들어가서
세포의 성분과 효소, 항체, 호르몬, 세포간물질들로
사용되기 때문에 단백질을 체구성물질이라고 부른다.
일부는 비상시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에너지원이라고도 부른다.
필수아미노산이 많은 단백질이 풍부한
밥과 반찬이 올라앉은 밥상을 받는다면
젊음이 오래도록 지속될것이다.
단백질이 풍부하면 새로운 세포를 잘 만들어
늙은 세포를 바로바로 교체 시킬 수가 있을테니까.
오늘은 여기까지
카페 게시글
오장육부 이야기
살고기 속에 많은 단백질은 효소,호르몬,항체,근육,등을 이루는 체구성물질이다.
임광자
추천 0
조회 132
05.02.07 19:57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