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세계 1월호 23쪽에 크리스마스 씰 2006년도 씰소재 공모 홍보게재
"아래 내용은 대한결핵협회 쇼핑몰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 작 품 명 : I ♡ Dokdo[현상작품] ▷ 종 류 : 10종 ▷ 시트구성 : 5x2 ▷ 색 도 : 5도 옵셋 ▷ 발행형태 : 우표형 스티커 ▷ 발행매수 : 22,640천 매 ▷ 판매가격 : 매당 330원, 1시트 3,000원
[숨겨진 Episode] 2006년도 크리스마스 씰은 대국민 공모를 통해 도안을 선정하였습니다. ‘독도사랑’이라는 주제로 크리스마스 씰 도안 공모를 진행하였으며 독도 전경을 배경으로, 강치, 괭이갈매기, 산호, 해국 등 독도에 서식하는 동식물과 자연을 담은 디자인이 선정되었습니다. 공모전 대상 수상자인 한진아씨가 도안한 작품이 2006년 크리스마스 씰 도안으로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일본이 독도 영토권을 주장하는 일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독도를 소재로 한 크리스마스 씰이 발행되었다는 것은 무척 뜻깊은 일입니다. Dokdo
[그 때, 그 시절엔] - 2006년, 식목일 법정공휴일 제외
국민들이 직접 나무를 심으며 애림 의식을 높이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제정한 기념일 식목일은 4월 5일입니다. 하지만, 식목일은 공휴일과 관련된 역사가 깊은데요. 1949년 공휴일로 정해졌다가 1960년 공휴일에서 제외, 다시 이듬해에 식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공휴일로 환원되었다가 2005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2006년부터 기념일로 변경되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고 합니다. 식목일도 다시 공휴일이 될 수 있을까요? |
Daum E-mail 엽서 (1번 ~ 6번)
2006년 크리스마스 씰 시트
2006년도크리스마스씰증정(전 노무현대통령) 1
경상북도 경산시 장산중학교에는 2006년 크리스마스 씰이 증정용 2매와 판매용 씰 500매가
도착되었다. 그 때에 도착된 씰을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모두 구입하여 결핵퇴치의 결의를 보여 주었다.
2006년도크리스마스씰증정(전 노무현대통령) 2
2006년도크리스마스씰홍보단(개그맨 오지현, 정종철, 박준형(좌측부터))
크리스마스 씰에 독도 풍경 |
홍보대사에 개그맨 박준형, 오지헌, 정종철 |
지난 9일, 대한결핵협회(회장 김성규)는 정부가 추진하는 <결핵퇴치 2030> 사업계획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는 재원마련 방안으로 2006년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하고 국민적인 모금운동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크리스마스 씰은 학교, 정부 각 부처, 공공기관, 기업체, 군·경 등 직장에서 구입할 수 있고, 일반인은 우체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그 판매금액은 결핵에 관한 홍보 예방 조사연구 치료 등 결핵퇴치사업에 투입된다. 결핵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전염병이다. 크리스마스 씰을 구입하는 것은 결핵퇴치를 앞당겨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으므로 본인에게 다시 이익으로 돌아오는 뜻있는 사랑의 실천이기도 하다. 특히, 올해는 모바일을 통해서도 손쉽게 크리스마스 씰 구입이 가능토록 하여 젊은 층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할 전망이다. 크리스마스 씰 판매가격은 1매당 300원이며 1시트(10매)는 3,000원에 구입할 수 있고, 모바일 이용은 1회다운 받는데 1,000원으로 책정되었다. 한편, 이달 10일 김성규 대한결핵협회 회장은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해 국회의장, 국무총리, 대법원장 등의 인사들에게 증정행사를 가져 모금운동에 관심과 동참을 유도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
▲2006년 결핵 홍보대사인 개그맨 오지현, 정종철, 박준형(좌측부터)이
크리스마스 씰 홍보를 위해 익살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 이훈희 기자
▲올해 크리스마스 씰에는 독도 풍경을 담고 있다 © 뉴스컬쳐 DB
[#독도 는 우리땅 이벤트]
“우리에게 #독도 는 000이다.”
#독도 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10자이내로 댓글 또는 포토댓글로 달아주세요!
*추첨을 통해 10분께 아이스크림 교환권(1만원)을 증정!
*당첨된 10분의 댓글은 2014 #아라미 #독도 체험 활동때 피켓으로 제작됩니다.
*기간: 8월11일~24일/ 발표: 8월25일
2006년씰희귀사례
출처 : 보건세계 2007년 4월호 29쪽
보건세계 2006년11월13쪽 홍보대사 활동
크리스마스 씰 백화점 전시 및 판매
매일신문 2006년 11월 14일 1면기사
울릉*허영국기자
보건세계 2006년 1월호 21쪽 애니콜과 함께 사랑의 씰 다운로드
이렇게 씰 중간이 뻥 뚫려버린 시트는 담임선생님 몫으로 남게 된다.
이런 씰을 어찌 남았다고 반납을 하겠는가?
결핵환자들을 생각하면 온갖 말로 수식어를 가져다 붙이지 않고
내가 먼저 배당이 된 씰 50%를 챙긴다.
나에게는 너덜너덜한 크리스마스 씰이 많이 남아있다.
85년도에는 아이들로부터 씰이 붙여진 연하장도 받아보는 기회가 주어진다.
86년도에도
91년도 씰이 붙은92년에도 연하장이 오고
86년도
2006년 크리스마스 씰 세움틀 포스터
세움틀 포스터
보도자료 | 자료배포일 | ‘06. 11. 9 | 매수 | 총9매 | |
보도일시 | 11월 11일(토) 조간 인터넷11.10(금) 16:00이후 | ||||
질병관리팀장 | 김영균 | ☎ Fax | 2110-6308 504-1100 | ||
사무관 | 강인준 | ||||
대한결핵협회 홍보과장 | 정석영 | ☎ Fax | 2636-5272~3 2633-7871 |
올해『크리스마스 씰』에 우리 땅 독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담았다.
나눔의 문화 실천은 크리스마스 씰 구매로 - 모바일로도 구매가능
| 《 주요내용 》 |
|
|
| |
◆ 대한결핵협회(회장 김성규)는 11월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크리스마스 씰 판매 모금에 들어간다고 알려왔다. 올해의 크리스마스 씰은 독도사랑I ♥ Dokdo를 주제로 우리땅 독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담아 국민들의 동참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올해는 직장이나 우체국 창구 외에 모바일을 통해서도 손쉽게 크리스마스 씰 구입이 가능토록 하여 젊은 층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 크리스마스 씰 판매가격은 1매당 300원이며 1시트(10매)는 3,000원에 구입할 수 있고, 모바일이용은 1회다운 받는데 1,000원으로 책정하였다. ▷ 모금된 재원은『결핵퇴치 2030 Plan』의 조기 달성을 위해 추진되는 공공․민간 협력체계(PPM)운영, 결핵홍보, 취약계층 결핵환자 조기발견, 치료사업 등 결핵퇴치사업에 유용하게 쓰이게 된다. ▷ 한편, 11월 10일 대한결핵협회 김성규회장은 청와대 노무현 대통령 내외분을 예방하고『2006 크리스마스 씰』증정 행사를 가진다. 이 자리에서 노무현대통령께서는 나눔의 문화가 생활속에서 스며들도록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앞장서서 실천하여 줄 것을 당부하게된다. - 대통령내외분 외에 앞으로 국회의장, 국무총리, 대법원장 등 사회지도층 인사들에도 증정행사를 가져 크리스마스 씰 모금운동에 많은 국민들의 관심과 동참을 유도할 계획이다. | ||
▢ “결핵퇴치 2030 Plan”의 조기달성을 위한『2006년 크리스마스 씰』판매․모금운동 전개
○ 대한결핵협회(회장 김성규)는 정부가 추진하는『결핵퇴치 2030』사업계획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는 재원마련 방안으로 2006년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하고 국민적인 모금운동에 들어간다.
○ 결핵퇴치 2030 계획에 따른 주요 결핵퇴치 사업은 “공공 민간 협력체계(PPM)운영”, “대국민 결핵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취약계층 결핵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등이며
- 무엇보다도 국민적인 씰 판매 모금운동을 전개, 결핵에 대한 관심 제고가 가장 절실한 방안이 된다.
- 대한결핵협회는 결핵퇴치를 위한 국내 유일의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크리스마스 씰 판매 성금 모금운동을 통해 결핵퇴치 재원마련운동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 올해의 크리스마스 씰은 우리 땅 아름다운 독도를 배경으로 한 풍경이 소재로 하였고 주제는 독도사랑I ♥ Dokdo이다.
- 판매는 1매 (낱장)당 금액은 300원이며 1시트(10매)당 3,000원으로 2007년 2월 28일까지 범 국민적인 판매 모금운동을 전개하는데 모금 목표는 66억원으로 정했다.
○ 일반인들에게 좀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하여 2006 크리스마스 씰 홍보대사인 개그맨(박준형, 정종철, 오지헌)이 출연한 교육 홍보용 동영상(DVD)을 제작하여 일선 학교에 모두 배부하였다. 또한 광고CF도 제작하여 11~12월 중 케이블TV, 지하철 PDP를 통해 크리스마스 씰 모금운동을 널리 알린다.
▢ 크리스마스 씰은 대가를 바라지 않는 기부문화의 한 형태이며 1932년부터 시작된 자선 모금운동
○ 크리스마스 씰은 각급학교, 정부 각 부처, 공공기관, 기업체, 군․경 등 직장에서 구입할 수 있고, 일반인은 우체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그 판매금액은 결핵에 관한 홍보 예방 조사연구 치료 등 결핵퇴치사업에 투입된다.
○ 사회적으로 근래 공익을 위하여 대가를 바라지 않고 남을 돕는 기부문화를 접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 씰 구입을 통한 모금운동은 1953년 대한결핵협회가 창립되면서 국가적으로 전개해옴으로서 작은 정성으로 전염병인 어려운 이웃인 결핵환자를 돕고 우리나라 결핵퇴치를 위한 자선 기부문화의 시초형태로 이해 할 수 있다. 구입한 크리스마스 씰은 개인취향별로 계속 수집하거나 책, 노트, 핸드폰 등 좋아하는 개인용품에 예쁘게 붙일 수 있고 특히 연말연초에 크리스마스카드, 연하장 등 우편물에 우표와 함께 붙여 결핵퇴치 사업과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서로 알 수가 있게 된다.
▢ 크리스마스 씰은 많은 국가들이 공통으로 전개하는 세계적 모금운동
○ 결핵이 유럽 전역을 휩쓸 때 1904년 12월10일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 우체국 직원이었던 ‘아이날 홀벨’에 의해 연말에 쌓이는 많은 크리스마스 우편물을 보면서 여기에 작은 정성의 씰을 붙여 보내도록 한다면 이 씰 판매금액으로 결핵기금을 마련할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세계 최초의 크리스마스 씰이 발행되고 모금운동이 시작되었다.
- 이어서 주변 나라인 스웨덴, 독일, 노르웨이 및 미국 신대륙 등으로 전파되었고 동양권에서는 필리핀과 일본 그리고 중동지역의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는 1932년 12월 일제시대 캐나다 선교의사인 ‘셔우드 홀’이 처음으로 크리스마스 씰을 만들고 모금운동을 시작하였다.
- 크리스마스 씰 모금운동은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100여개 지구상의 많은 국가들이 끊임없이 인류를 괴롭히고 있는 전염병인 결핵을 퇴치하기 위한 사랑과 나눔의 실천운동으로 전세계가 공통으로 실시하고 있다.
▢ 지금 당장 우체국으로 달려가자. 우체국에서 사랑을 주고받자!
○ 근래 들어서 새로운 결핵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사회적 관심에서 결핵이 뒷전으로 밀리면서 크리스마스 씰 모금운동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결핵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전염병이다. 내가 한번 크리스마스 씰을 구입하는 것은 결국 결핵퇴치를 앞당겨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으므로 나에게 다시 이익으로 돌아오는 주고 받는 뜻있는 사랑의 실천이다.
○ 크리스마스 씰은 전국 우체국 창구에서 연말까지 언제든 구입할 수 있다. 구입하는 씰 한장 한장이 모아져 국가결핵퇴치사업에 쓰여 지고 건강한 우리주변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 특히, 올해는 직장이나 우체국 창구 외에 모바일을 통해서도 손쉽게 크리스마스 씰 구입이 가능토록 하여 젊은 층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 크리스마스 씰 판매가격은 1매당 300원이며 1시트(10매)는 3,000원에 구입할 수 있고, 모바일이용은 1회다운 받는데 1,000원으로 책정하였다.
▢ 국민 287명당 1명이 결핵환자로 추정
○ 우리나라 결핵사망률은 2005년에 인구 10만명당 5.9명(전체 사망자 수 2,893명)으로 미국(0.3)의 19배, 영국(0.6)의 9.5배, 일본(1.7)의 3.4배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 국가중에서 1위를 나타내고 있다.
○ 우리나라 결핵정보감시체계시스템을 통하여 신고된 결핵현황과 추이분석으로 결핵신환자 발생이 2004년 31,503명에서 2005년 35,269명(인구10만명당 73.0명)으로 3,766명(11.6%) 증가하였다.
○ 또한, 우리나라 인구의 약 1/3 이상이 결핵에 감염된 상태이며, 매년 약 11만명의 신규 결핵균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고 국민 287명당 1명이 활동성 결핵환자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대통령 및 3부요인께 크리스마스 씰 증정
○ 한편 11월 10일 김성규 대한결핵협회 회장은 노무현 대통령 내외분을 예방하고 크리스마스 씰 증정식을 가질 예정이며 앞으로 국회의장, 국무총리, 대법원장 등의 인사에게도 증정행사를 가져 모금운동에 관심과 동참을 유도할 계획이다.
붙임 : 참고자료1 : 우리나라 및 세계 결핵현황
참고자료2 : 2006년 크리스마스 씰 이미지 및 결핵홍보대사 이미지
참고자료1 |
우리나라 및 세계의 결핵 현황 |
1. 우리나라 결핵실태
○ 1960년대 초반 우리나라는 전체인구의 5.1%가 결핵환자이고 매년 120여만 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심각하였음
○ 정부는 결핵예방법을 제정(1967년)하고 국가결핵사업을 본격 실시하여 2005년에는 유병율 0.35%(추정)로 감소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음
구 분 | ’65년 | ’75년 | ’85년 | ’95년 | ’00년 | ‘05년 |
유병율(%) | 5.1 | 3.3 | 2.2 | 1.0 | 0.56 | 0.35 |
환자발생(천명) | 1,240 | 1,014 | 798 | 429 | 259 | 169 |
○ 결핵사망률은 2005년의 경우 우리나라가 인구 10만명당 5.9명(사망자수 2,893명)으로 미국(0.3)의 19배, 영국(0.6)의 9.5배, 일본(1.7)의 3.4배 등 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함.
국명 | 한국 | 미국 | 영국 | 일본 | 프랑스 | 독일 | 케나다 | 호주 | 싱가폴 | 러시아 |
기준년도 | ’05 | ’02 | ’02 | ’03 | ’01 | ’01 | ’01 | ’01 | ’02 | ’02 |
결핵사망률 (인구10만명당) | 5.9 | 0.3 | 0.6 | 1.7 | 0.8 | 0.4 | 0.3 | 0.2 | 2.0 | 19.4 |
※ 자료 : 통계청, 2005년 사망원인통계연보 통계청, 2005년 국제통계연감
□ 최근 결핵 발생양상
○ 우리나라 결핵정보감시체계시스템을 통하여 신고된 결핵현황 및 추이 분석 결과
- 결핵신환자 발생이 ‘04년 31,503에서 ’05년 35,269명(인구 10만명당 73.0명)으로 3,766명(11.6%)이 증가
- 폐결핵환자 30,098명의 약 1/3인 11,638명이 타인에게 전염성이 있는 도말양성 폐결핵환자(인구 10만명당 24.1명).
-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의 노령인구층에서 결핵 신환자율이 가장 높았고(인구 10만명당 171명), 다음으로 20대의 신환자율(10만명당 88.7명)이 높은 3차 함수 그래프 모형의 후진국형 결핵환자 분포 양상을 보임.
표 1.연도별 신고 결핵 신환자(율) 현황, 2001-2005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전결핵 All forms of TB | 34,123 | [72.1] | 32,010 | [67.2] | 30,687 | [64.0] | 31,503 | [65.4] | 35,269 | [73.0] | |
폐결핵 (Pulmon- - ary TB)
| 활동성 Active | 30,326 | [64.1] | 28,039 | [58.9] | 26,940 | [56.2] | 27,947 | [58.0] | 30,098 | [62.3] |
도말양성 Smear + | 11,805 | [24.9] | 11,345 | [23.8] | 10,976 | [22.9] | 11,501 | [23.9] | 11,638 | [24.1] | |
폐외결핵 Extra-pulmonary TB | 3,797 | [ 8.0] | 3,971 | [ 8.3] | 3,747 | [ 7.8] | 3,556 | [ 7.4] | 5,171 | [10.7] |
[참고] 1) 율(Rate): 인구 10만명당 결핵 신환자 신고율(TB case notification rate per 100,000)
2) 자료원: 2005년 전국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질병관리본부․.결핵연구원, 2006년)
○ 또한 우리나라 인구의 약 1/3 이상이 결핵에 감염된 상태이며, 매년 약 11만 명의 신규 결핵균 감염자가 발생하고 국민 287명당 1명이 활동성 결핵환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 세계의 결핵실태
○ 전세계 인구의 약 1/3인 20억명 결핵감염 추정
○ ‘04년 전세계 연간 결핵환자 발생수 약 890만명(인구10만명당 140명)
○ 결핵으로 매년 170만명 사망(10만명당 27명)
○ 전 세계 HIV/AIDS 사망자 3명중 1명은 결핵으로 사망
3. 결핵발생률 국제비교
(단위: 인구 10만명당)
국명 | 한국 | 북한 | 일본 | 미국 | 영국 | 프랑스 | 태국 | 중국 | 필리핀 | 러시아 |
연도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2004 |
발생률 | 90명 | 178명 | 30명 | 5명 | 12명 | 12명 | 142명 | 101명 | 293명 | 115명 |
자료: 세계결핵관리보고서(WHO, 2006년)
참고자료2 |
‘06년 크리스마스 씰 설명 및 결핵홍보대사 사진 |
○ 올해의 크리스마스 씰의 도안은 우리 땅 독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실었고 주제는 독도사랑 “I ♥ Dokdo"로
○ 도안내용은 독도의 동도와 서도를 중심으로 독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새(괭이갈매기)와 식물(번행초, 해국, 섬장대, 갯까치수영), 동물(강치), 산호(산호붙이히드라류, 부채꼴산호)를 소재로 구성
○ 올해에는 한․일간 문제가 되고있는 독도를 크리스마스 씰에 담음
- 크리스마스 씰을 수집하는 수집애호가들이 좋은 반응을 보임
□ ‘06년 결핵홍보대사 씰 홍보사진
○ 개그맨 박준형, 정종철, 오지현
등록일 : 2006-11-10 조회수 : 3452 담당자 : 강인준 담당부서 : 질병관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