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암작용(위암), 발한, 해열, 감기, 폐결핵,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이 나는 데, 신경쇠약, 불면증, 진해거담약, 완화약, 진경진통제,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고창, 위장병에 좋은 피나무
피나무는 피나무과 피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키는 20m 가량 자란다. 잎은 심장형이며 끝은 매우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뒷면 맥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은 연한 노란색의 산방화서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피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9종이 분포되어 있다. 피나무(달피나무), 섬피나무, 규슈피나무(구주피나무), 연밥피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구슬피나무), 둥근잎염주나무, 보리자나무(보리수나무), 웅기피나무(선봉피나무), 털피나무, 개염주나무, 뽕잎피나무(뽕피나무)가 자라고 있다.
개화기는 6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피나무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피나무꽃 [본초]
피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의 꽃을 말린 것이다. 피나무(달피나무)는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의 깊은 산골짜기의 나무숲속에서 자란다.
여름에 꽃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꽃우림약이 땀내는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 작용은 배당체 성분에서 제일 세게 나타난다. 감기에 효과가 있고, 병에 대한 유기체의 저항성을 높인다. 발한약, 해열제로 감기, 폐결핵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이 나는 데 쓰며 신경쇠약, 불면증에도 쓴다.
피나무꽃에는 또한 정유와 점액이 있어서 진해거담약, 완화약으로도 쓰며 민간에서는 진경진통제로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고창, 위장병에 쓴다.]
피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씨가 기록한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이처럼 기록하고 있다.
[피나무(피목:皮木)
「십리 절반 오리나무, 대낮에도 밤나무, 오자마자 가래나무, 방귀뀌어 뽕나무, 입맞춘다 쪽나무, 칼로 베어 피나무 등 예산 지방 민요인 <나무요(謠)>에 나오는 피나무는 칼로 베어 피나무가 아니라 껍질 피의 피나무 즉 피목(皮木)이며 이것이 우리 이름이고 중국명은 단목(段木)이다.
나무의 껍질이 나무의 이름이 될 만큼 이 나무는 껍질의 섬유질이 강인하고 삼베보다 더 질기며 물에도 잘 견디므로 옛날에는 우리 생활에 크게 기여했다. 나무껍질로서 기와 대신 지붕을 잇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내피의 섬유로 천을 짜서 술이나 간장을 거르는 자루를 만들었으며, 포대를 만들고 지게의 등받이로도 사용했다. 또 노끈, 새끼, 로프로 중용했다. 어망이나 그물을 짜기도 했으며 피나무 어망은 큰 고기용 어망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지금은 보기 힘든 미투리도 만들었고 물망태나 두메에서는 약초 캐는 망태도 피나무섬유로 만들었다. 지게의 동바로도 즐겨 사용했고 북부지방에서는 삿자리를 엮기도 했다.
피나무의 목재는 결이 곱고 연하며 가볍고 잘 마르므로 집기류나 조각재로도 크게 이용되었다. 잘 알려진 울릉도산의 섬피나무 바둑판은 너무도 유명하며 트지 않는 소반(밥상)은 피나무상 아니면 행자상이라 할 만큼 상재료(床材料)로도 유명하다.
특히 북방에서는 대나무가 없어 쌀을 이는 데는 조리 대신 주로 이남박을 사용했으며 이남박의 재료는 피나무가 차지했다. 맷돌질할 때 쓰는 망함지나 함지박 등은 오늘날 양은양푼에 쫒겨 민속 박물관이나 골동품 가게에서나 볼 수 있는 자취 감춘 피나무의 민예품들이다.
피나무는 종류가 많으며 보리수(열대에 자라는 불교의 거룩한 나무)와 잎의 생김새가 흡사하여서 한대 지방에서는 피나무의 일종인 염주나무와 보리자나무를 보리수라 하여 사찰 주위에 심어두고 신성시 하고 있다.]
안덕균씨가 기록한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피나무에 대해 적고 있다.
[자단(紫椴)
피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뽕잎피나무(Tilia taquetii Schneider), 염주나무(Tisia megaphylla Nakai)의 꽃이다.
성미: 맛은 맵고 쓰다.
효능: 해열(解熱), 발한(發汗), 항염(抗炎)
해설: ① 감기로 열이 있고 땀이 나지 않는 증상에 쓰며, ② 신우신염, 구강염, 인후염에도 소염작용을 보인다.
성분: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나뭇가지에는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피나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꼭지가 긴 심장 모양이고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작고 여러개 모인 노란 흰색이며 6~7월에 핀다. 꽃대에는 작은 잎이 붙어 있다. 열매는 둥글다.
각지 특히 북부의산, 골짜기에서 자란다.
성분: 잎과 가지에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꽃에 0.031%의 정유가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파르네솔(끓는점 160℃/10mgHg)이다. 같은 속 식물(T. cordata Mill)의 꽃에는 땀내기작용이 있는 배당체와 플라본 배당체인 헤스페리딘 C28 H34 O15, 정유 0.05%, 배당체 틸리아린, 틸리아레틴, 사포닌, 탄닌질, 카로틴, 점액, 안토크산틴, 세타틴, 펙틴, 사과산, 포도산, 초산, 티아민, 아스코르브산이 있다. 정유에는 파르네솔 C15 H26 O이 있다.
껍질에는 트리테르펜 화합물인 틸리아딘(타락세롤로 인정된다) C30 H50 0이 있고 잎에는 β-아미린 C30 H50 O[녹는점 197~200℃, [α]20/D+88°{클로로포름}]이 있다. 잎과 꽃에는 쿠에르세틴, 켐페롤, 카페산이 있고 잎에서 배당체 틸리아닌이 분리되었다.
작용: 꽃 우림약은 동물 실험에서 땀내는 작용이 있는데 이 작용은 특히 배당체 성분에서 세다. 꽃은 임상 실험에서도 감기에 좋은 치료 효과가 있으며 병에 대한 유기체의 저항성을 높인다.
응용: 꽃은 땀내기약, 열내림약으로 감기, 폐결핵, 열성질병, 오한에 쓴다. 또한 정유와 점액이 있어 완화약, 기침가래약으로 쓴다. 꽃은 진정약으로 신경 및 정신쇠약, 잠이 오지 않을 때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꽃을 진경진통약으로 류마티즘, 위암, 고장, 위장질병에 쓰고, 싹은 마비와 콩팥염에 쓴다.
목부로 만든 탄말은 구루병과 피가 적은 때, 껍질은 상처와 고름집에 붙인다.
피나무 우림약(20g:200cc): 10분 끓이고 30분 놓아두었다가 거른다.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여기에 탄산수소나트륨 5g을 풀어 살균약, 염증약으로 인후염과 편도선염에 입가심한다.]
피나무는 예로부터 수피를 섬유자원으로 사용해 왔다고 하여 '피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내한성은 강하고 목재는 일반적으로 황색을 띤 백색이며, 연하고 결이 치밀하고 곧아서, 쪼개기 쉽고 가공에 용이하며 탄력성이 좋아 기구재, 조각재, 바둑판, 펄프재 등 경제적 목제품에 쓰이며 껍질은 밧줄제조 등에 쓰이는 섬유자원의 나무이기도 하다.
꽃에는 많은 밀원이 있어 꿀을 생산할 수도 있으며, 공해에 강하고 수형이 아름다워 가로수나 공원수로도 이용할 수 있다. 8월 말에서 9월 초에 열매를 채취하여 직파하면 그 이듬해에 발아가 가능하다고 하며 그 해 발아는 불가능하여 두 해 동안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하면 된다고 한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골수염에 명약...
껍질, 잎, 꽃 모두를 하루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피나무꽃은 발한작용이 뛰어나 감기 몸살등 땀을내는 약으로 쓰이며 마음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해서 신경쇠약이나 불면증을 치료하는 약으로도 쓰인다.
* 피나무 껍질과 잎 꽃은 열을내리고 온갖 균을 죽이며 염증을 없애는데 탁월한 작용을 해서 모든
열병과 염증성 질병에 쓸수있다.
* 골수염으로 오래 고생하는 사람이 있으면 피나무 기름을 내어 복용하면 효과를 볼수있다.
기름내는 방법은 구지뽕나무 기름 내는법과 같다.
* 피나무 껍질을 달여서 얼굴을 씻으면 살결이 고와지고 기미, 주근깨가 없어진다.
* 피나무 속껍질을 달여서 먹으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예방, 치료할수있다.
피나무 잎과 껍질은 매우 강력한 항암작용울 해서 암 치료약으로도 활용할수있다.
1. 피나무는 껍질로 이름 난 나무다.
껍질의 섬유질이 삼베보다도 질기고 물 속에서도 잘 썩지 않는 특성이 있어서 옛 사람들은 이것을 노끈 삿자리, 그물, 자루, 망태기, 미투리 등을 만드는 데 썼고 기와 대신 지붕을 이는 데 쓰기도 했다.
피나무에는 종류가 많다.
우리나라의 절간에는 피나무의 한 종류인 염주나무를 보리수라고 하여 심어 두고 신성시하는 데가 더러 있는데, 염주나무도 피나무와 마찬가지로 약으로 쓸 수 있다.
2. 약성 및 활용법
피나무 목재는 결이 부드럽고 연하며 가벼워서 인기가 높았다.
조각 재료에 최고로 쳤고 가구 재료로도 으뜸이었다.
특히 울릉도에서 난 섬피나무 바둑판과 소반은 신분이 높은 귀족들이 지극히 탐내는 귀한 물건이었다.
피나무는 약으로의 쓰임새도 매우 요긴하다.
초여름에 피는 피나무 꽃은 꿀이 많은 것으로 이름 높지만 약으로도 중요하게 쓴다.
피나무 꽃은 발한 작용이 뛰어나 감기, 몸살 등에 땀을 내는 약으로 쓰며, 신경쇠약, 불면증 등에도 쓴다.
피나무 꽃에는 향기가 나는 정유 성분과 끈적끈적한 점액질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이 기침을 삭이고 열을 내리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류머티스 관절염, 위암, 헛배 부른 데, 위염, 위궤양에도 일정한 효력이 있다.
피나무 꽃, 잎, 껍질에는 정유와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사포닌, 탄닌, 망간이 들어 있는데 특히 껍질에는 쿠마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피나무 꽃은 초여름 철에 따서 그늘에 말렸다가 달여서 복용한다.
피나무 꽃은 열을 내리고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탁월하므로 모든 염증성 질병과 열병에 쓸 수 있다.
3.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골수염으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피나무 엑기스를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악성 골수염을 고친 사례가 여럿 밝혀져 있는데, 엑기스 만드는 법은 "죽력 내리는 법"과 같다.
하루 3~5번 한번에 소주잔으로 반 잔에서 한 잔씩 먹는다.
처음에는 조금씩 먹다가 차츰 양을 늘려 복용한다.
* 피나무 새순은 신장염에 효력이 있다.
봄철에 피나무 새순을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몸이 붓거나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달여서 먹는다.
하루 10~15g을 달여 3~5번 나누어 마신다.
* 신경성 위장염, 신경쇠약, 불면증 등에는 초여름 꽃이 활짝 피었을 때 따서 말린 것 3~5g을 달여서
차처럼 마시면 좋다.
*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에는 피나무 속껍질 15~20g에 물 한 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차처럼 마신다.
피나무 껍질 달인 물로 얼굴을 씻거나 목욕을 하면 살결이 고와지고 기미, 주근깨가 없어진다
첫댓글 약성도 좋고 다목적으로 사용하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그렇습니다.
이 약초도 열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