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오드(옥소값)값이란?
기름 100g에 부가되는 요오드(1₂)의 g수를 말하며, 기름의 불포화도를 가리키며 이중 결합이
많을수록 요오드값이 커진다. 즉 건성유 일수록 자연 발화의 위험이 크다.
**건성유 : 요오드값이 130 이상인 것
이중 결합이 많이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액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기름
건성유는 산화 발열량이 커서 섬유 등 다공성 가연물에 스며들어 배면 공기와 잘 반응 출열하기
쉬운 상태가 되면 산화가 계속되어 재차 고온이 되어 자연 발화한다.
예: 들기름, 아마인유, 정어리기름, 동유, 해바라기유
** 반건성유: 요오드값이 100~130인 것
공기 중에서 건성유보다 얇은 피막을 만드는 기름
예 : 청어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참기름, 면실유, 채종유
** 불건성유: 요오드값이 100이하인 것
공기 중에서 피막을 만들지 않는 안정된 기름
불건성유는 공기 중에서 쉽게 굳어지지 않는다.
예: 낙화생기름(땅콩기름),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비누화값이란?
유지 1g을 비누화하는 데 필요한 KOH(수산화칼륨)의 mg수를 말하며,
비누화값이 클수록(분자량이 적을수록)저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이고,
비누화값이 적을수록( 분자량이 클수록 )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