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on Suk Yeol's supporters scuffled with police officers trying to arrest the president
윤석열 지지자들이 대통령을 체포하려는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Tears, dismayed cries and shocked faces: that was the reaction among the supporters of South Korea's suspended president Yoon Suk Yeol outside his home on hearing that he had been arrested.
눈물, 낙담하는 울음, 충격에 휩싸인 표정들: 이런 것들이 윤석열 대통령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관저 밖에 있던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보인 반응이었습니다.
It was a moment that had been in the making for weeks - ever since the last attempt to arrest Yoon on 3 January had failed after a dramatic standoff.
이것이 지난 1월 3일 윤 총장을 체포하려던 시도가 극적인 대치 끝에 실패한 이후 몇 주 동안 지내왔던 후 이루어진 순간이었습니다.
Yet, when the news of his arrest on came on Wednesday morning, it only seemed to create more uncertainty – and highlight the divide in a country that has already been deeply polarised by Yoon's short-lived martial law order and impeachment by parliament.
하지만 수요일 아침 윤석열의 체포 소식이 전해지자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고, 윤석열의 단명 계엄령과 의회의 탄핵으로 이미 극심한 양극화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의 분열만 부각되는 것 같았습니다.
"This country is in crisis," said one pro-Yoon woman, tears streaming down her face. "I've been praying since last night for a stable and peaceful South Korea."
"이 나라는 지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한 친윤 여성은 눈물을 흘리며 말했습니다. "어젯밤부터 안정되고 평화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다."
It's what both sides say they want but they cannot agree on how to get there.
양측 모두 원하는 것은 같지만 그 방법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For the past month, a defiant 64-year-old Yoon was holed up inside his presidential compound in central Seoul, as his supporters and detractors rallied outside.
지난 한 달 동안, 지지자들과 반대자들은 밖에서 집회를 갖고 있을 때 64세의 반항적인 윤 대통령은 서울 중심부에 있는 대통령 관저에 갇혀 있었습니다.
They had turned Yongsan in central Seoul into an epicentre of protest, with tensions often running high.
이들은 서울 도심의 용산을 시위의 진원지로 만들었고,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습니다.
Hundreds of them had camped out overnight on Tuesday, as the arrest appeared imminent, in temperatures that plummeted to -8C.
체포가 임박한 것으로 보였던 화요일에는 영하 8도까지 떨어진 기온 속에서 수백 명이 밤새 노숙을 하기도 했습니다.
The only thing they shared was the food trucks keeping them warm with steaming drinks and instant noodles.
이들이 공유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음료와 라면으로 몸을 녹이는 푸드트럭뿐이었습니다.
사진2
Yoon Suk Yeol delivers the speech to declare martial law on 3 December, 2024
2024년 12월 3일 계엄령 선포 연설을 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모습
Yoon's supporters jostled with the police officers - numbering 3,000 – who assembled to take him into custody.
윤석열 지지자들은 그를 연행하기 위해 모인 3,000여 명의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습니다.
"Don't call us stupid far-rights," one protester shouted, reflecting the frustration in the Yoon camp.
"우리를 멍청한 극우라고 부르지 말라"고 한 시위자는 외치며 윤 씨 진영의 좌절감을 반영했습니다.
A starkly different scene unfol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reet. Opponents of Yoon, who had long called for his arrest, celebrated with chants and cheers.
길 건너편에서는 완전히 다른 장면이 펼쳐졌습니다. 오랫동안 윤 대통령의 체포를 요구해 온 반대자들은 구호와 환호로 축하했습니다.
Their jubilation only made the pro-Yoon camp angrier, with some yelling: "Don't taunt us - this is not funny."
이들의 환호성에 친윤씨 진영은 고함을 지르며 더욱 분노했습니다: "우릴 조롱하지 마라, 이건 재미가 아니다"고 고함을 지르기도 했습니다.
The gulf is not restricted to this corner of Yongsan. It has loomed over the whole country for more than a month.
이 갈등은 용산 한복판에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한 달이 넘도록 전국을 뒤덮고 있습니다.
Yoon's shock announcement of martial law on 3 December almost instantly divided public opinion into two camps.
12월 3일 윤 대통령의 충격적인 계엄령 선포로 여론은 순식간에 두 진영으로 나뉘었습니다.
While some believed his claims the country was under threat, a larger group viewed the move as an opportunistic abuse of power.
일부에서는 국가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그의 주장을 믿었지만, 더 많은 사람들은 이를 기회주의적인 권력 남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This sentiment was reflected even within Yoon's own party, as several of its lawmakers voted to impeach him.
이러한 정서는 윤 대통령의 소속 정당 내에서도 일부 의원들이 탄핵에 찬성하면서 반영되었습니다.
The growing opposition to Yoon's actions has cast a pall over the nation.
윤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지면서 전국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The year-end season in South Korea is usually vibrant. But this year has been noticeably different.
한국의 연말 시즌은 보통 활기찬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올해는 눈에 띄게 달랐습니다.
The political turmoil – along with the devastating Jeju Air crash on 29 December – has created a subdued and sombre atmosphere.
12월 29일에 발생한 제주항공 추락 사고와 함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차분하고 침울한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Yoon himself had largely avoided the public since he was impeached by parliament in mid-December.
윤 대통령은 12월 중순 국회에서 탄핵된 이후 대중의 시선을 거의 피했습니다.
He never stepped out of his residence to meet his supporters.
그는 지지자들을 만나기 위해 관저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았습니다.
On New Year's Day, he sent them a note, saying he was "closely watching [them] via a YouTube livestream".
새해 첫날, 그는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그들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는 내용의 쪽지를 보냈습니다.
He skipped the first hearing of his impeachment trial on 14 January, delaying the proceedings.
1월 14일 탄핵심판의 첫 심리에 불출석하여 절차가 지연되었습니다.
Before that he had refused to comply with multiple summonses as part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on insurrection charges, which led to the arrest warrant.
그 전에는 내란 혐의로 수차례 소환에 불응하였고 이로 인해 체포 영장이 발부되기도 했습니다.
사진3
Protesters have been calling for the impeachment of Yoon
시위대가 윤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On Wednesday, he released a video statement saying he would co-operate with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CIO) to avoid "bloodshed", while claiming their arrest warrant was not legally valid.
수요일, 그는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부패수사처(CIO)와 협력하겠다는 영상 성명을 발표하면서 한편으로는 체포 영장이 법적으로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It was a massive operation, which followed a warning from the CIO that the presidential security team could also be arrested if they tried to block Yoon's arrest again.
이번에도 윤 대통령의 체포를 막으려 하면 대통령 경호팀도 체포될 수 있다는 CIO의 경고에 따른 대대적인 작전이었다.
Unlike last time, the CIO and police were successful in detaining Yoon, although it still took hours to negotiate.
지난번과 달리 CIO와 경찰은 협상에 몇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윤 씨를 구금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Once he left the presidential compound, the streets surrounding it began to empty. Protesters dispersed and the police barricades were removed.
그가 대통령 관저를 떠나자 주변 거리는 한산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시위대는 해산했고 경찰의 바리케이드는 철거되었습니다.
Some of Yoon's supporters moved to the CIO office where he is being questioned. They need another warrant to detain him for more than 48 hours.
윤 의 지지자 중 일부는 그가 심문을 받고 있는 CIO 사무실로 이동했습니다. 48시간 이상 구금하려면 또 다른 영장이 필요합니다.
While Yoon's arrest has concluded the security standoff, it has not ended the rift that exists well beyond it in South Korea, which in recent decades has emerged as a leading global economy and beacon of democracy in Asia.
윤 의 체포로 안보 대치 상황은 일단락되었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세계 경제를 선도하고 아시아 민주주의의 횃불로 부상한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균열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Arresting the country's leader does not even make sense," declared one protester outside the presidential compound.
"국가 지도자를 체포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라고 청와대 경내 밖의 한 시위자는 선언했습니다.
An opposing voice countered: "Executing the arrest warrant is a necessary step - Yoon attempted to undermine the country's democracy."
반대 목소리도 반박했습니다: "체포 영장 집행은 필요한 조치이며, 윤 전 회장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훼손하려 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사진4
Police officers and investigators leave the presidential residence with Yoon on Wednesday morning
경찰과 수사관들이 수요일 아침 윤대통령 과 함께 관저를 나서고 있습니다.
Yoon himself continues to question whether the CIO has the right to arrest him – his lawyers say no, because insurrection is not a charge of corruption.
윤 대통령은 내란죄는 부패 혐의가 아니기 때문에 CIO가 자신을 체포할 권한이 있는지 계속 의문을 제기하고 있고 그의 변호인들은 그럴 권한이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But the CIO says that the insurrection is a form of abuse of power – a charge that is within their remit to investigate.
그러나 CIO는 내란죄는 권력 남용의 한 형태이며, 이는 자신들의 수사 권한 내에 있는 혐의라고 말합니다.
What may appear to be a legal debate has veered deep into political territory, with both sides seeking to control the narrative.
법적 논쟁으로 보일 수 있는 이 사안은 양측 모두 이야기를 통제하려고 노력하면서 정치적 영역으로 깊숙이 빠져들었습니다.
The swift impeachment of Yoon's immediate successor - Prime Minister Han Duck-soo – has already led to allegations that impeachment is being used as a political tool against Yoon's allies.
윤 대통령의 권한대행인 한덕수 총리가 신속하게 탄핵되면서 이미 탄핵이 윤 대통령의 측근들에 대한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And Yoon's impeachment trial getting under way this week has created more uncertainty.
그리고 이번 주에 진행되는 윤대통령의 탄핵심판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Public attention will be on what statements, if any, Yoon makes while he is detained or under trial.
윤 대통령이 구속되거나 재판을 받는 동안 어떤 발언을 할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The fear is that the whatever comes next for Yoon, the polarisation that has come to define South Korean politics is here to stay.
두려운 것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어떤 결과가 나오든 한국 정치의 양극화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Biden warns 'dangerous' oligarchy taking shape in farewell address
바이든, 고별 연설에서 '위험한' 소수독재정치 형성 경고
3 hours ago
BBC News, Washington
1:49
Watch: Biden touts record of upholding democracy in farewell speech
바이든 대통령은 고별 연설에서 자신의 민주주의 수호의 이력을 선전 하다
Outgoing US President Joe Biden warned of a "dangerous" oligarchy taking shape in America, as he delivered his farewell address and brought a decades-long career in politics to an end.
퇴임하는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은 고별 연설을 통해 수십 년에 걸친 정치 경력을 마무리하면서 미국에서 "위험한" 소수 독재정치가 형성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Today, an oligarchy is taking shape in America of extreme wealth, power and influence that really threatens our entire democracy, our basic rights and freedom," he said on Wednesday.
"오늘날 미국에서는 민주주의와 기본권, 자유 전체를 위협하는 극도의 부와 권력, 영향력을 가진 소수 독재정치가 형성되고 있다"고 그는 수요일에 말했습니다.
Biden, 82, took aim at an ultra-wealthy "tech-industrial complex" which he said could wield unchecked power over Americans.
올해 82세인 바이든은 미국인들에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 있는 초부유층 '기술 산업 복합체'를 겨냥했습니다.
He also used his final televised speech from the White House to issue warnings about climate change and social media disinformation.
그는 또한 백악관에서의 마지막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기후 변화와 소셜 미디어 허위 정보에 대한 경고를 전했습니다.
Speaking from the Oval Office where his family had gathered to watch, he touted his single-term administration's record, referencing job creation, infrastructure spending, healthcare, leading the country out of the pandemic, and making the US a safer country.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집무실에서 연설한 그는 일자리 창출, 인프라 지출, 의료 서비스, 팬데믹으로부터 미국을 이끌고 미국을 더 안전한 나라로 만든 것 등을 언급하며 자신의 단임 행정부의 업적을 선전했습니다.
He added, however, that "it will take time to feel the full impact of all we've done together, but the seeds are planted, and they'll grow and they'll bloom for decades to come".
그러나 그는 "우리가 함께 한 모든 일의 완전한 영향을 느끼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씨앗은 심어져 있고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자라서 꽃을 피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Biden wished Donald Trump's incoming administration success, but then issued a series of pointed warnings, with the president stating "so much is at stake right now".
바이든은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성공을 기원하면서도 "지금 너무 많은 것이 위태롭다"고 말하며 일련의 경고성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On climate change, he said "powerful forces want to wield their unchecked influence to eliminate the steps we've taken to tackle the climate crisis to serve their own interests for power and profit".
그는 기후 변화에 대해 "강력한 세력이 권력과 이익을 위해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가 취한 조치를 제거하기 위해 무소불위의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On misinformation, Biden warned that "Americans are being buried under an avalanche of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enabling the abuse of power".
잘못된 정보에 대해 바이든은 "미국인들이 잘못된 정보와 허위 정보의 홍수에 파묻혀 권력 남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He also took a swipe at social media companies such as Meta, which has recently announced it will get rid of independent fact checkers.
그는 또한 최근 독립적인 팩트 체커를 없애겠다고 발표한 메타 같은 소셜 미디어 기업에도 신랄한 비평을 가했습니다.
"Social media is giving up on fact checking. The truth is smothered by lies told for power and for profit," Biden said.
"소셜 미디어는 팩트 체크를 포기하고 있습니다. 권력과 이익을 위한 거짓말로 진실이 질식하고 있습니다."라고 바이든은 말했습니다.
And his attack on an ultra-wealthy "tech-industrial complex" was a veiled reference at Silicon Valley executives such as Elon Musk, the world's richest man who is close to Trump and provided huge financial backing to his campaign.
그리고 그의 초부유층 '기술 산업 복합체'에 대한 공격은 트럼프와 가까운 세계 최고 갑부이자 트럼프의 선거 운동에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 일론 머스크와 같은 실리콘 밸리 경영진을 겨냥하여 은밀하게 언급되었습니다.
Other tech bosses such as Jeff Bezos and Mark Zuckerberg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relations with Trump ahead of his return to the White House.
제프 베조스와 마크 저커버그와 같은 다른 기술 기업 사장들도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를 앞두고 트럼프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Closing his speech, Biden called on Americans to "stand guard" of their country: "May you all be the keeper of the flame."
바이든은 연설을 마무리하며 미국인들에게 조국을 "지키자"고 촉구했습니다:
"여러분 모두가 불꽃의 수호자가 되길 바랍니다."
His farewell address came on the same day he announced a ceasefire agreement between Israel and Hamas, which he referenced in his opening remarks.
그의 고별 연설은 그가 개회사에서 언급했던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합의를 발표한 같은 날에 이루어졌습니다.
Biden said the negotiations had been some of the toughest of his career, and took credit for helping get the deal over the line.
바이든은 이번 협상이 자신의 커리어 중 가장 힘든 협상이었다고 말하며, 협상을 타결하는 데 도움을 준 것에 대한 자신의 공로를 피력했습니다.
The deal will see a ceasefire take effect on 19 January, a day before Trump is due to take office.
이번 협상으로 휴전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하루 전인 1월 19일에 발효될 예정입니다.
The incoming president has also taken credit for the agreement, saying it was only possible because he won the election in November.
차기 대통령은 11월 선거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며 이번 합의에 대한 자신의 공로를 피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