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제공: 지난3월 전국 주택 종합지수는 매 매 0.12%하락, 전세 0.00% 상승 , 원세통합 0.09% 하락 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12%]
전국은 –0.12%로 전월대비(-0.14%)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0.15%→-0.11%)은 하락폭 축소,
서울(-0.09%→0.00%)은 하락에서 보합전환,
지방(-0.14%→-0.13%)은 하락폭 축소됐다.
(5대광역시(-0.23%→-0.22%),
8개도(-0.06%→-0.05%),
세종(-0.95%→-1.05%))
ㅇ (수도권)
정주여건에 따른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일부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 보이며 서울(0.00%)은 하락에서 보합 전환.
경기(-0.19%)는 안양 동안구‧파주시‧성남 분당구 위주로 하락.
인천(-0.06%)은 미추홀구 등에서 하락했으나,
중‧부평‧서구에서 상승하며 하락폭 축소
-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08%)는 한강로3가‧이태원동 위주로, 광진구(0.07%)는 정주여건 양호한 구의‧광장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노원구(-0.11%)는 상계‧중계동 구축 위주로, 도봉구(-0.11%)는 방학‧쌍문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되며
강북지역 소폭 하락
- (서울 강남11개구)
구로구(-0.11%)는 오류‧구로‧신도림동 구축 위주로,
관악구(-0.09%)는 봉천‧신림동 주요단지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4%)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및 오금동 위주로,
동작구(0.06%)는 흑석‧본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하는 등
강남지역 보합 전환
ㅇ (지방)
강원(0.06%)은 춘천·동해시 위주로,
경북(0.04%)은 영천‧상주시 위주로 상승했으나,
세종(-1.05%)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어진·종촌동 위주로,
대구(-0.41%)는 달성군·달서구 위주로,
부산(-0.25%)은 해운대·연제구 위주로 하락
<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
(단위 : %)
구 분 | 전국 | 수도권 | 지방 | 서울 | 5대 광역시 |
주택종합 | -0.12 | -0.11 | -0.13 | 0.00 | -0.22 |
아 파 트 | -0.18 | -0.15 | -0.20 | -0.02 | -0.27 |
연립주택 | -0.07 | -0.06 | -0.10 | -0.01 | -0.15 |
단독주택 | 0.07 | 0.14 | 0.04 | 0.15 | 0.04 |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5%]
전국은 0.05%로 전월대비(0.03%)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4%→0.19%) 및 서울(0.12%→0.19%)은 상승폭 확대,
지방(-0.08%→-0.08%)은 하락폭 유지됐다.
(5대광역시(-0.12%→-0.10%),
8개도(-0.02%→-0.05%),
세종(-1.07%→-0.99%))
ㅇ (수도권)
지역별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교통환경 및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 지속되며 상승폭 소폭 확대.
서울(0.19%)은 노원·성동·용산구 위주로,
경기(0.13%)는 수원 영통·광명·성남 중원·고양 일산서구 위주로,
인천(0.42%)은 연수·중·미추홀구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북14개구)
노원구(0.57%)는 월계·하계동 역세권 위주로,
성동구(0.55%)는 금호동1가·행당동 위주로,
용산구(0.30%)는 용문·산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23%)는 홍제·냉천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구로구(0.28%)는 신도림·고척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22%)는 당산동1가·양평동4가 위주로,
동작구(0.22%)는 사당·상도동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강동구(-0.09%)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상일·길동 위주로 하락
ㅇ (지방)
울산(0.12%)은 남·동구 위주로,
전북(0.11%)은 전주·정읍시 위주로 정주여건 및 직주근접성 양호한 지역에서 상승했으나, 대구(-0.44%)는 달성군·수성구 위주로,
경남(-0.15%)은 창원·거제시 위주로 신규입주 물량 영향 보이며 하락
<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
(단위 : %)
구 분 | 전국 | 수도권 | 지방 | 서울 | 5대 광역시 |
주택종합 | 0.05 | 0.19 | -0.08 | 0.19 | -0.10 |
아 파 트 | 0.09 | 0.30 | -0.12 | 0.32 | -0.11 |
연립주택 | -0.05 | -0.04 | -0.07 | -0.01 | -0.10 |
단독주택 | -0.01 | 0.00 | -0.01 | 0.02 | -0.02 |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9%]
전국은 0.09%로 전월대비(0.10%)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16%→0.16%)은 상승폭 유지,
서울(0.11%→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3%)은 상승폭 축소됐다.
(5대광역시(0.01%→-0.01%),
8개도(0.07%→0.06%),
세종(-0.17%→-0.22%))
ㅇ (수도권)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월세수요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0.15%)은 용산·노원·성동구 주요단지 위주로,
경기(0.16%)는 고양 덕양·일산서구 및 수원 영통구 위주로,
인천(0.23%)은 서·남동구 및 중구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33%)는 도원동 및 한강로3가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30%)는 중계·하계동 역세권 위주로,
성동구(0.28%)는 응봉·사근·마장동 위주로,
서대문구(0.26%)는 북가좌·대현·북아현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금천구(0.24%)는 독산동 준신축 및 시흥동 위주로,
영등포구(0.24%)는 신길·당산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강서구(0.19%)는 가양·개화동 및 직주근접성 양호한 마곡동 위주로,
구로구(0.17%)는 고척·구로·항동 위주로 상승
ㅇ (지방)
대전(0.23%)은 동‧유성구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전북(0.16%)은 정주여건 양호한 전주 덕진구 및 정읍시 위주로,
강원(0.10%)은 동해시 및 원주시 위주로, 광주(0.07%)는 남·광산구 주요단지 위주로,
임차수요 지속되며 상승
< 주택유형별 월세가격지수 변동률 >
(단위 : %)
구 분 | 전국 | 수도권 | 지방 | 서울 | 5대 광역시 |
주택종합 | 0.09 | 0.16 | 0.03 | 0.15 | -0.01 |
아 파 트 | 0.12 | 0.21 | 0.04 | 0.20 | -0.01 |
연립주택 | 0.06 | 0.08 | 0.00 | 0.09 | -0.02 |
단독주택 | 0.02 | 0.05 | 0.01 | 0.07 | 0.00 |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