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정원확대문제로 수련의들의 전면파업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서울의 5대병원인 서울대, 아산, 삼성, 세브란스, 성모 병원의 수련의 들이 오늘 사직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주요병원에서 수술지연 등 의료서비스 차질이 예상됩니다.
환자를 볼모로하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지지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Tensions between doctors, government reach crescendo
의사와 정부사이의 긴장 고조
By Jung Da-hyun 정다현 기자
Posted : 2024-02-18 16:58 Updated : 2024-02-18 22:14
Korea Times
Gov't shows tough stance toward doctors' mass resignation plan
정부, 의사들의 집단 사직계획에 대해 강경한 입장
Tensions are high as trainee doctors have been planning mass resignations until Monday over the government's plan to increase the quota for medical students.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안을 놓고 수련의들이 월요일까지 집단사직을 계획하고 있어 긴장감이 높다.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prepared to stand its ground, vowing to take any measures available under the law, including revoking doctors' licenses, in order to achieve its medical reform.
이에 대해 정부는 의료 개혁을 달성하기 위해 의사 면허 취소를 포함하여 법에 따라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고수할 준비가 되어있다.
Trainee doctors from the so-called big five hospitals in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Asan Medical Center, Samsung Medical Center, Severance Hospital and Seoul St. Mary’s Hospital — were set to submit their resignation letters by Monday. They also plan to walk off the job the following day.
서울의 5대 병원인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의 수련의들은 월요일까지 사직서를 제출할 예정이었다. 이들은 또한 다음날 사직서를 낼 계획이다.
According to the health ministry, Sunday, 715 trainee doctors from 23 hospitals had submitted resignation letters, although none have been accepted so far as of Friday. Under the local medical law, the government possesses the authority to potentially revoke doctors' licenses should they receive criminal punishments after failing to adhere to an order to return to work.
일요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3개 병원에서 715명의 수련의가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14일 현재까지 수리된 의사는 없다. 의료법상 복직 명령을 지키지 않아 형사처벌을 받을 경우 면허 취소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은 정부에 있다.
However, amid the escalating backlash against the government plan to increase the medical student quota by 2,000 next year, a surge in resignations is anticipated on Monday, the deadline set by the Korean Intern Resident Association (KIRA), an association of interns and resident doctors.
하지만 내년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는 정부안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인턴과 레지던트 의사 모임인 대한인턴협회(KIRA)가 정한 시한인 월요일 사직서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KMA) also threatened, Saturday, to take "unbearable" action if any single one of the doctors is put at a disadvantage over the collective actions. The committee stated they could pursue legal action and go on an indefinite strike if the government persists in threatening interns.
대한의사협회(KMA)도 토요일 의사들 중 한 명이라도 집단행동으로 불이익을 받게 되면 감당할 수 없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했다. 협회는 정부가 인턴들을 계속 협박할 경우 법적 대응을 추진해 무기한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Medical students are also joining the protest, with representatives from 35 out of 40 medical schools nationwide announcing their decisions, Saturday, to take a leave of absence together on Tuesday.
의대생들도 시위에 동참하고 있는데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35개 대학의 대표들이 화요일에 함께 휴학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The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AMC) stated that during an emergency committee's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on Friday, student representatives from all 40 medical schools unanimously approved the mass leave of absence.
한국의과대학연합회(KAMC)는 4일 비상대책위원회 임시총회에서 40여개 의대 학생 대표들이 집단 휴학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unday, 160 medical students from Wonkwang University in North Jeolla Province have submitted applications for a leave of absence. While medical students nationwide had declared their intention to take a collective leave of absence, this is the first case of students actually initiating the leave.
일요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북 원광대 의대생 160여 명이 집단 휴학을 신청했다. 그동안 전국 의대생들이 집단 휴학 의사를 밝혔으나 학생들이 사실상 휴학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arlier on Thursday, Hallym University students announced their intention for fourth-year students to collectively take a leave of absence, but none of the students have followed through so far.
앞서 한림대 학생들은 지난 3일 4학년 학생들의 집단 휴학 의사를 밝혔지만, 현재까지 단 한 명의 학생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In response to the planned strike, the government asked them to refrain from collective action, while restating its resolve to complete its medical reform by expanding the medical school quota.
계획된 파업에 대해 정부는 집단행동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의대 정원 확대를 통한 의료개혁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재표명했다.
"Actions that jeopardize the lives and health of the people through collective measures should not occur. Any real consequences stemming from a shortage in medical services will undoubtedly harm the well-being of people," Prime Minister Han Duck-soo said in his public statement at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Sunday.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대국민 담화에서 집단행동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의료서비스 부족으로 인한 실질적 결과는 분명 국민의 안녕을 해칠 것이라고 말했다.
"The government will prepare thoroughly and respond promptly to protect the precious lives of the people in any case."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철저히 준비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다."
He emphasized the need to secure a higher number of doctors in alignment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medical care.
고령화와 늘어나는 의료수요에 맞춰 더 많은 의사 수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an also pledged to push ahead with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policy package consisting of four co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lan. The package encompasses increasing medical personnel, strengthening local medical services, establishing a safety net for medical accidents and enhancing compensation fairness.
한 총리는 이 계획에 따라 4대 핵심 요소로 구성된 정부의 종합 정책 패키지를 추진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이 패키지는 의료인력 증가, 지역의료 서비스 강화, 의료사고에 대한 안전망 구축 및 보상 공정성 제고를 포함한다.
In response to doctors' concerns that expanding the number of placements could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ime minister explained that increasing the quota by 2,000 was not determined arbitrarily by the government but resulted from discussions with domestic experts and universities.
정원을 확대하면 교육·훈련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사들의 우려에 대해 총리는 정원을 2,000 명 늘리는 것은 정부가 자의적으로 결정한 것이 아니라 국내 전문가와 대학 등과 논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However, the KMA’s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strongly criticized the government, saying it is "demonizing" and doctors and causing a "witch hunt." "If the government tries to punish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for their actions based on their free will by framing it in an unconstitutional manner, there will be a medical catastrophe," the committee said in a statement released right after Han's statement.
그러나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정부가 의사와 의사를 '악마'하고 '마녀사냥'을 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위원회는 한총리의 발언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정부가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자유의사에 따른 행위를 위헌적인 방법으로 모함해 처벌하려 한다면 의료 파국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It added that the prime minister's statement did nothing more than build a case for suppressing and punishing doctors' autonomous actions.
총리의 성명은 의사들의 자율적 행동을 억제하고 처벌하는 사례를 구축한 것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In a separate statement, Health Minister Cho Kyoo-hong said the government is open to talks with doctors, urging them to refrain from taking collective action.
조규홍 보건부 장관은 별도의 성명에서 정부는 의사들과 대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며 단체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It is deeply regrettable that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is taking the path of protest," Cho said. "We urge medical workers to stand by patients, and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to leave the door open for dialogue."
조 장관은 "대한의사협회가 반발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은 깊은 유감"이라며 "의료인들에게 환자 곁을 지킬 것을 촉구하며 정부는 대화의 문을 계속 열어둘 것"이라고 말했다.
Hours before the prime minister released his public statement, the health ministry said it had ordered major training hospitals to submit trainee doctors' daily work logs to monitor if they resign, join the mass resignations or stage a walkout.
보건부는 총리가 공개 성명을 발표하기 몇 시간 전에 주요 수련 병원들에 수련 의사들의 일일 근무 일지를 제출하여 그들이 사임하는지, 집단 사임에 참여하는지, 파업을 하는지를 감시하도록 명령했다고 말했다.
A ministry official explained that the directive aims to prevent trainee doctors from departing their workplaces and staging collective actions even after they return to duty upon receiving an official work commencement order.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지시는 전공의가 정식 업무개시 명령을 받고 업무에 복귀한 뒤에도 근무지를 이탈해 집단행동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According to the health ministry, the impact of the return-to-work order persists even after the subject complies and resumes duties. Consequently, any subsequent departure from the workplace following the return is deemed a violation of the existing order, without the need for an additional directive to resume work.
보건부에 따르면, 업무 복귀 명령의 영향은 대상자가 준수하고 업무를 재개한 후에도 지속된다. 결과적으로, 업무 재개를 위한 추가적인 지시가 필요하지 않고, 복귀에 따른 후속적인 사업장 이탈은 기존 명령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된다.
Amid trainee doctors' looming walkout, hospitals are discussing measures to prevent any possible disruptions.
수련의들의 파업이 임박한 가운데 병원들은 혹시 모를 차질을 막기 위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Certain hospitals are prioritizing patients based on the urgency of their medical needs and compiling lists of individuals for whom surgery can be postponed.
일부 병원은 환자의 의료적 필요성에 따라 환자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수술을 연기할 수 있는 환자의 명단을 작성하고 있다.
However, with trainee doctors constituting 30 percent to 40 percent of staffs at general hospitals, any prolonged collective strike will pose inevitable disruptions to medical services.
그러나 수련의가 종합병원 직원의 30~40%를 차지하고 있어 집단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의료서비스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Government정부 #Doctors의사들 #Resignation사직 #Medicalstudents의대생들#Strike파업 #Healthministry보건부 #Collectiveaction집단행동 #PrimeMinister총리 #Hospitals병원들 #Patientprioritization환자우선순위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