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조 삼척장뇌산삼'홍보탑|삼척장미공원 동편입구

장뇌산삼 딸(열매)1 여삼리 7,4.

▲장뇌산삼 딸(열매)2 여삼리 7,4. 딸 1되,값 2백만원
고향풍경1
장뇌산삼 원조마을
삼척시 노곡면 여삼리는 삼척 시내에서 남서쪽 12km지점에 위치한 도리내 자연부락이다. 동에 태평산 590.
9m,서에 횟골산 428.8m, 남에 삿갓봉 440m, 북에 선구산 457m을 울타리로 마을 전체가 도리내 분지에 자
리잡았다.무공해한 산간오지 장뇌산삼마을로 집집마다 장뇌산삼밭 울타리가 있고 그 울안에는 신비의 영약
인 장뇌산삼이 자라고 있다. 바로 한국장뇌산삼의 원조마을 여삼리는 1반 입시터, 2반 샛말, 3반 큰말, 4반
창밭골,쇗골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부터 여삼리의 주 작물은 보리,조,콩,감자,고추,옥수수와 삼베옷을 만드는 대마大麻이다. 특이하게 도리
내웅덩이는 대마를 재배하는 데에는 최고의 자연조건을 갗췄다.대마는 바람이 불지 않는 지형에 대나무처럼
촘촘히 곧 게 자라야 최상품이 되기 때문이다. 줄기 껍질은 섬유의 원료, 씨는 식용으로 쓰이는데, 줄기가 휘
거나 껍질에 상처가 생기면 좋은 삼베가 나오지 않는다. 도리내 웅덩이에서 키운 삼 대마는 바람을 타지않아
최상품이여서 여삼리는 일찍부터 도리내 지형을 이용하여 대마를 생산하였다. 예부터 여삼리는 물이 부족해
생활에도 모자라는데 길쌈에 필요한 물이 풍부하지 못했다. 물 부족, 복잡한 길쌈과정을 겪으면서도 수입은
적어 한촌寒村이였다. .
장뇌산삼이 삼척에 뿌리를 내린 것은 1860년대 150년 전 여삼리 입시터 정연경의 4대조 정성룡에 의해서다.
정성룡이 하장면 중봉리에 사는 친구 집에 삼베(피마皮麻) 사려 갔다. 친구 김씨가 약초 캐려 산에 갔다가 산
삼 한뿌리를 캔는데 한 뿌리여서 줄 수는 없다며 산삼 딸(씨앗)을 7개를 주면서 심어보라고 했다. 산삼 딸을
뒷들 울타리 밑에 심은 것이 여삼 장뇌산삼의 시원이다. 7년후 7개에서 5개체가 잘 자라고 있었는데, 어느날
상반천리에 사는 친구가 중병에 걸려 비몽사몽하는 손주를 살려달라하여, 장뇌산삼 한뿌리를 줬더니 다려먹
고 중병(자라병)이 완쾌되어 아름아름 입소문을 탓다. 그리고 나머지 4뿌리의 딸을 해 마다 따서 심어 수 십
년간 넓은 뒷들을 가득 채워젔고, 씨앗은 마을로 분양되어 여삼리는 원조 장뇌산삼마을이 되었다. 원래 여삼
리에서는 산삼을 집에서 재배한다하여 가삼家蔘이라 불리웠다.그러나 명품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학명이 장
뇌산삼으로 바뀌었다.
같은 연대에 같은 마을에서 정연기씨 3대조, 박재명,정연주 등의 3대조도 장뇌산삼을 재배하였다. 정연주씨
의 경우 매년 파종하여 여삼에서 가장 많은 장뇌산삼포를 갖고 있다.
송수재 국시딩에는 임란때 이순신 장군 휘하의 의병장으로 활약한 박걸남 장군의 묘지가 있다. 여삼리 주민들
총 46가구가 적게는 여나무 평 남짓한 삼밭에 2~300뿌리에서 많게는 100평이상 삼밭에서 수백 수천뿌리의
장노삼을 자연생 산삼의 생육조건에 맞추어 가보로 키우고 있다. 장뇌산삼은 산삼과 차이점에 있어서 장뇌라
는 학명이 붙게 되었다. 장뇌산삼은 자연생 산삼에 버금가 값이 고가이다. 장뇌산삼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
게 자연생태로 재배하며 그늘을 만들어 주기위해 옛 방식으로는 삼밭에 활엽수인 감나무, 뽕나무 등이 심어져
그늘막을 만들거나,그늘막이 없을 때는 소나무 가지를 쳐서 얹어 놓았는데, 오늘날에는 인삼밭 차양처럼 그늘
막 텐트를 친다.
파종은 매년 초복과 중복 사이에 콩을 심듯이 씨앗을 심는다. 이듬해 청명 무렵 싹이 트는데 발아율은 50% 정
도로 낮고 15년후 수확할 때면 5~6%가 남는다. 수확은 처서가 지나고부터 땅이 얼기전까지 봄에 싹이 나오기
직전까지가 적기이고 늦가을 장뇌삼이 품질면에서 최고로 좋은 시기이다. 20년생 장뇌산삼 한 뿌리에 3,40만
원 상회하고 12~15년생은 20만원, 9~10년생은 10만원 선이다. 전국에 산양삼이 많이 퍼젖다. 산양삼은 장뇌
삼이 아니다. 산양삼은 인삼씨앗을 산에 심어서 기른 것이기고,장뇌삼은 산삼씨앗을 심은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산양삼은 인삼을 산에 심어 기른 것이기에 가격이 저럼하다.
장뇌 생육조건은 활엽수가 썩은 부엽토에 약간 경사진 곳으로 물이 잘 빠지는 곳이어야 생육이 좋다. 먹는 양
은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5세 전후에 먹는 것이 평생건강의 제일 조건이고 가장 효과가 크다. 어린이는 1뿌리,
청소년은 2뿌리,어른은 3~5뿌리가 적정량이다.먹는 방법은 탕도 좋지만 간편한 방법으로는 장뇌산삼을 깨끗
이 씻어서 물기를 뺀다음 약탕관에 넣고 소주잔 3잔정도의 꿀을 넣어 나무 젓가락으로 고루 묻혀 봉한 다음 서
늘한 곳에 하루쯤 보관했다가 자기전에 생것으로 먹는다. 몸이 뜨거워 토하는 경우가 있고, 메밀음식과 고기,
술 그리고 20여일간 부부도 멀리해야 약효가 최상이라고 한다.
장뇌산삼은 품질이 좋을 수록 향기가 짙고 약효도 오래간다. 장뇌가 여삼리에 유입된 경로는 1860년대 150
년전 정연경씨의 4대조 정성룡씨가 하장면 중봉리에 사는 친구 김모씨집에 추매(베옷 만드는 대마포)하러 갔
는데 친구김씨가 산에 약초캐러 갔다가 산삼 한뿌리를 캤다며 산삼 한 뿌리이니 줄 수는 없지만 산삼 씨앗 7
개를 주면서 심어보라 해서 뒷마당 울타리 밑에 심은 것이 시원이 되었다. 그러니 산삼 씨앗을 집에 심어 기른
것이라 하여 장뇌산삼이라는 학명을 알기전에 집에서 기른다 하여 가삼家蔘이라 하였다.
같은 연대에 같은 마을에서 정연기씨 3대조, 박재명,정연주 등의 3대조도 장뇌산삼을 재배하였다. 정연주씨의
경우 매년 파종하여 여삼에서 가장 많은 장뇌산삼포를 갖고 있다. 여삼리는 주민들이 부지런하고 조상께 숭조
정신을 귀중히 여겨 복받은 마을이다.그리고 참고로 열이 많은 체질의 사람은 산삼,장뇌산삼.인삼을 먹으면 약
효가 없다고 알아 왔는데,얼마전에 과학적으로 판명되어,그것이 잘못된 인식임을 알게 되였다.

여삼리 겨울풍경|동구밖에서 본 1반 입시터, 한국장뇌산삼 원조마을 겨울풍경이다.유년기와 초등학교 졸업
때까지,할아버지와 부모형제가 살던 입시터는 내 고향마을이다.어느해 설날 전날 눈이 많이 내려 동생 가족
과 함께 조비리에 차를 두고 눈길을 헤쳐 여심재를 넘어 고향마을에 도착했다.

여삼리는 2008년 새농어촌 건설우수마을,2009년 산촌생태마을조성, 2012년 녹생농촌체험마을로 거듭 났다.

한국장뇌삼원조 조형물
한국 장뇌산삼 원조마을이 삼척시 노곡면 여삼리이다.삼척장뇌 재배 역사는 4대를 걸쳐 150여년이 넘다. 산삼
씨를 구해 집 근처에 심은것이 장뇌 재배의 시초가 되었는데 당시에는 가용으로 길렀고,소문으로 찾아오는 사
람들이 늘어나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장뇌삼 원조마을인 여삼리는 삼척시장뇌보전연구회 36가구가 등록이 되
어 있다.

여삼리장뇌삼 전시장

여삼리장뇌삼체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