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채상병 특검법' 추진에 與·野 모두 '싸늘'한 까닭은?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 23일 국회에서
전당대회 출마 기자회견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당대표가 되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해병대원 특검법을 국민의힘 별도로
발의하겠다"고 밝혔답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을
국민의힘이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며
"그것이 우리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을
진정으로 살리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민심을 거스를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답니다.
다만 한 전 위원장은
"선수가 심판을 고르는 경기에 대해서는
누구도 승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민주당이 추천하는 특검에 반대한다는 의사를 내비쳤답니다.
이어서 한 전 위원장은 여·야 모두 배제한 채
대법원장 등 제3자가 특별검사를 추천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답니다.
여당의 당권주자인 나경원·윤상현 국민의힘 의원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모두 한 전 위원장의 특검 추진을 비판했는데요.
나 의원은 지난 23일 자신의 SNS에
"한 후보의 특검 수용론,
순진한 발상이고 위험한 균열"이라고 우려했고,
원 전 장관도 지난 23일 자신의 SNS에
"무도하기 짝이 없는 세력을 앞에 둔 분열은
공멸을 불러올 뿐"이라고 지적했답니다.
윤 의원은 24일 자신의 SNS에
"한 전 위원장은 국민들이 의구심을 가지고 계시기에
채상병 특검법을 반대할 수 없다고 했다"며
"조국혁신당이 국민적 불신을 이유로 발의한
'한동훈 특검법'도 받아들여야 하나"고 꼬집었답니다.
반면 범야권은
한 전 위원장의 말은 신뢰할 수 없다고 반박한 가운데
진상 규명을 원한다면 야권이 추진하는
채상병 특검법을 조건 없이 수용하라는 입장을 밝혔답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지난 23일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한 전 위원장이
해병대원 순직사건 특검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은
진전된 자세"라면서도
"시간 끌기가 아니라면 야당의 특검법안을
조건 없이 수용하겠다고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답니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수석대변인도 지난 23일
'1월 한동훈, 6월 한동훈이 다르니,
국민은 어느 한동훈을 믿어야 할까'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한 전 위원장이 지난 1월 대전 현충원 방문 당시
채 상병의 묘역에 참배하라는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6월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할 수 있는 사죄,
1월 2일 채 해병 묘역 앞에서는
힘들었던 것인가"리며
"국민들께서 그 달달한 말, 믿을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답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은 24일 논평을 통해
한 전 위원장의 발언은
"장날에 찾아온 약장수의 거짓 약팔이 같다"고 비판.
김 수석대변인은 "채상병 특검법을 통과시키자면서도,
대법원장이 특검을 추천한다는 무리한 조건을 달았다.
판결을 내리는 사람이 수사할 사람을 고르자는 것,
이거야말로 심판이 선수를 추천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약속대련 시즌 2가 아니라면,
조건없이 채상병 특검법부터 통과시킬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답니다.
한편 정치권은 채상병 특검법을 강조한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선언은 사실상 공식적인
반윤(反尹) 선언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한 전 위원장은 전날 채상병 특검법뿐만 아니라
김건희 여사 관련 제2부속실 설치와
특별감찰관 도입을 요구하기도 했다"며
"전반적으로 여론의 민감성과
반응성을 키우겠다는 행보로 보인다"고
설명했답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 캠프별 선거 핵심 전략은
'친윤'이냐 '반윤'이냐로 나뉠 수 있다"며
"현재 국민의힘 내
친윤이 얼마나 될 것인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
대통령 지지율이 너무 낮은 상황에서
당내 친윤계는 많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