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사찰(寺刹)에 대하여 - 탑 (2) - 석탑 구조
석탑 구조
면석 : 얼굴돌 장식 부문
탱주 : 버팀기
우주 : 기단부와 탑신부 각 모서리에 세워진 기둥
하대갑석 : 하층기단을 덮는 석탄
지대석 : 하층기단과 지면사이에 만들어 지는 석판
우동 : 낫수면의 네귀퉁이
낙수면 : 옥개석위에 빗물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진 면
옥개받침 : 목조건축의 석가래를 응용한 것
옥신괴임 : 네모나고 얇은 돌판
찰주 : 불탑 꼭대기에 세운 장식의 중심을 뚫고 세운 기둥
보주 : 맨 꼭대기의 구슬 모양의 부문
용차 : 용의 수레라는 뜻으로 불탑 머리에서 보주와 수연 사이에 있는 철로 만든 둥근 장식물
수연 : 보륜과 보주 사이에 불꽃 모양의 장식
보개 : 보륜위의 덮개
보륜 : 네모난 지붕위의 장식
양화 : 꽃모양을 세긴 장식
복발 : 탑의 노반위에 바리떼를엎어 놓은 것처럼 만든 부분
노반 : 탑 꼭대기층.
탑은 크게 보면 기단부와 탑신부, 상륜부 이렇게 셋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때 기단부와 탑신부를 구별하려면 집의 지붕에 해당하는 ‘옥개석’이 있는지 없는지를 보면 된다. 옥개석(지붕)이 있는 것이 탑신, 즉 탑의 몸체이다. 우리가 ‘3층탑’이다 ‘5층탑’이다 하는 것은 이 탑신의 숫자를 가지고 부르는 이름이다. 그리고 사리는 바로 이 탑신에 모셔지게 된다. 반면 기단은 이런 것 없이 그냥 네모 형의 돌만 있을 뿐이다.
집의 모습이 보이는 것은 바로 이 탑신부이다. 여기에는 우선 집처럼 지붕이 있고 ‘옥개받침’이라 불리는 처마가 있다. 이 처마는 집의 그것처럼 층층으로 되어 있고,우리 한옥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 끝이 살짝 올라가 있다. 그런가 하면 탑신의 네 귀퉁이에는 기둥의 모습을 새겨놓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탑이 완벽한 집이 된다.
석탑 기단은 단층과 중층이 있으며 대부분 가구식기단 이다. 이중기단일 경우에는 보통 아래 기단은 낮고 하대(下臺)라고 하며 위 기단은 높고 상대(上臺)라고 하여 구분하여 부른다. 세부구성은 건물 가구식기단의 명칭과 같다. 즉 바닥의 받침돌을 지대석, 기둥석을 탱주석, 모서리 기둥은 우주석이라고 부르고 기둥석 사이를 면석이라고 한다.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기둥석과 면석을 별도의 돌로 만들지 않고 조각으로 새김하여 모양만 내는 경우도 많다. 하대 갑석은 상대 지대석이 되며 상대의 구성도 하대와 같다.
기단 위에는 탑신석(塔身石)과 옥개석(屋蓋石)이 한 조가 되어 층을 이룬다. 탑신석에는 대개 모서리에 기둥을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며 면에는 문얼굴과 자물쇠를 조각하는 경우도 많다. 또 통일신라 후기부터는 탑신에 부처를 새기거나 기단에 안상이나 팔부신장을 새기는 등 장식화 경향을 보인다.
맨 위층 옥개석 위에는 높게 장식물이 올라가는데 이를 상륜부(相輪部)라고 한다. 목탑에서는 찰주에 동으로 장식하여 상륜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석탑에서는 돌로 조각하여 만든다. 상륜은 복잡한 것에서 간단한 것까지 다양하며 모양에 따라 세부명칭이 붙는다. 가장 아래 방형의 상륜받침을 노반(露盤)이라고 하며 노반 위는 마치 산치탑과 같은 반구형을 올리는데 이를 사발을 엎어 놓은 것과 같다고 하여 복발(覆鉢)이라고 한다. 복발 위에는 활짝 핀 꽃송이와 같다고 하여 앙화(仰花)라고 하며 앙화 위에는 마차 바퀴처럼 생긴 보륜(寶輪)이 여러 단 올라간다.
보륜 위에는 마치 왕관처럼 생긴 모자를 씌우는데 이를 보개(寶蓋)라고 하며 보개 위에는 꽃씨 주머니처럼 생긴 수연(水煙)이 있다. 수연 위에는 동그란 구슬모양의 장식이 올라가는데 이를 용차(龍車), 보주(寶珠)라고 한다. 실상사 석탑 상륜은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갖추어진 장식성이 강한 상륜이다. 상륜의 이러한 장식들은 모두 극락세계의 법륜과 금은보화 등 진귀한 보물을 상징한다.
어디서 들어보았던 백제탑과 신라탑의 차이 ( 대강의 이론적 의미는 알고 있으나 보는 눈이 아직 없으니...) 그래서 찾아 보다 연결된
블로그를 링크 한다.
하나씩 읽어 보아야 겠다.
신라시대 삼층석탑 4>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의 미감차이...1304
전성기 통일신라의 700년대 삼층석탑에 대한 메모... 3.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의 미감 차이 - 실패한 백제계 석탑들을 통해 살펴보는 건축적 결구와 공예적 구조, 그리고 질감의 개념
blog.daum.net
[네이버 지식백과]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2007. 4. 10., 김왕직)
[네이버 지식백과]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