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골과 운명
코의 좌우 부위에 솟은 뼈, 즉 광대뼈를 관골(觀骨)이라 하는데 관골은 독립심, 개척정신, 투지의 강약, 표현력 등을 판단하는 부위이다.
큰 관골의 소유자는 의지력이 강하고 뜻과 이상이 높다.
여자의 경우는 남성적 기질이 강해 남편을 극(剋)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활동하거나 직업을 가지면 애정 운이 편안하게 된다.
지나치게 적음만 못하다는 말이 있듯이 너무 큰 관 골은 영악하나 성격이 흉 폭한 면이 있고 현실을 무시하는 이상만을 추구하는 타입이다.
푹 꺼진 관골. 즉 작은 관골의 소유자는 온순하고 현실적이나 인덕이 없고 무슨 일을 하던, 뒷받침의 부족으로 어렵게 자수성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여성은 여성다운 성격에 현모양처형으로 남편과 조화를 잘 맞출 수 있다.
남성은 관골이 높이 솟고 살이 두터워야 길상이며 권세를 누린다.
그러나 관골이 얕거나 깎인 듯 하면 인덕이 없고 승부요기 약한 단점이 있다. 관 골도 빛이 맑고 깨끗해야 복록을 누리고 어둡고 깨끗하지 못하면 빈천하고 건강에도 애로가 있게 된다.
관상학에서 코를 임금으로 보면 좌우 관골을 신하로 보는데 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임금도 총명하고 어질며 강한 통솔력이 있어야 하지만 그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 역시 충직하고 명석해야 임금을 잘 받들어 모시어 군신(君臣)의 화합으로 바른 정치를 하듯 코가 잘 생겨야 함은 물론이고 그 코를 감싸주는 좌우관골이 조화를 이루어야 귀격(貴格)으로 부귀공명 한다.
관골(광대뼈)은 삶의 거친 세파와 싸워 나가는 힘, 즉 생활을 나타낸다. 관골이 앞으로 위세 있게 튀어나온 것은 생활의 원동력이 되는 기력이나 체격이 양호하여서 사업이나 정치, 학술, 사상운동 등으로 활약할 역량이 풍부한 상이다.
국회의원 80% 이상이 관골이 풍만하고 맑게 앞으로 솟아오름을 본다.
이는 관골이 그 사람의 상에 있어서 인기나 명예의 뒷받침이 되기에 관록 을 얻을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또 관골이 좋으면 선거에 있어서 조직력과 자금 동원력이 좋게 된다.
관골이 매우 지나치게 튀어나온 사람은 허세가 심해 실려도 없으면서 큰소리를 치는 타입이며, 지나치게 튀어나온 관골에다 살까지 두둑하게 찐 사람은 영웅이 때를 못 만났다고 허풍을 치며 자신의 미천한 실력을 탓하지 않고 세상을 원망하는 불평 불만의 타입이다.
여성이 관골이 눈에 띨 만큼 특히 높게 튀어나온 사람은 남성적 기질이 심해 남편을 깔아 뭉게는 형이다. 남편 운이 좋지 못하며 여성은 대담한 성격으로 매사가 활동적이다. 그러나 여성이라도 관골이 아주 없는 것보다 관골이 다소 분명한 것이 좋은 상으로 생활력이 강하고 건강 이 좋으며 남편을 내조하는 부덕(婦德)과 가정을 꾸려나가는 주부로서의 책임감이 강하다.
관골에 점이나 검정 사마귀가 있는 사람은 자기의 주권이나 권력을 남에게 빼앗길 수 있는 상으로 항상 인간관계에 철두철미한 관리, 분석이 필요하다.
코가 약간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관골이 좋으면 임금은 총명하지 못하더라도 신하가 그 임금을 잘 받들어 모시고 어진 정치를 펼치게 하듯 실력 이상의 대우를 받고 금전 운을 향상케 한다.
눈 아래, 코 양 옆쪽에 있는 얼굴의 굵은 뼈가 관골, 즉 광대뼈인데 인류학적으로 이 뼈는 몽골리언의 특징이 된다. 그림에서 보듯 관골이 지나치게 튀어 솟아오른 사람은 대인관계가 서툴러 원만치 못하고 중년까지 고생이 있으며, 여러 면에서 융화력이 부족하여 고독한 면이 많다. 관골이 심히 튀어나온 데다가 이마에 살이 없고 빈약하면 의지가 나약하고 무엇이든 최후까지 해 나가려는 지구력이 부족하여 성공 과정이 힘들다. 특히 여성의 경우 부드러운 맛이 없고 차가운 듯한 딱딱함 을 주어 주위에서 소외됨이 있으며 결혼해서 고부간의 갈등이 있고 가정 운과 애정 운이 산란하다.
성격이 그 사람의 운명과 운세를 거의 40% 이상 지배하고 행과 불행을 만든다.
이런 상의 소유자는 의지를 기르고 붙임성 있는 성격과 항시 웃는 얼굴로 생활하면 많은 흉이 감소되고 행운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아야겠다. 운명, 즉 사주 관상을 보는 근본 목적은 자기 자신의 장단점을 정확히 알아 장점은 배양(培養)하고 단점은 보완, 시정하여 중용지도(中庸之道)를 지킴이라 하겠다.
관골을 보아 현재의 운세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데 관골에 담 홍색의 빛깔이 나타나면 금전 운세가 길하다는 표시로 생각지 않은 목돈을 만지게 되고 좌우 관골이 청색을 띠면 부모에게 길운이 찾아들 수이며 보랏빛이나 검푸르면 신상에 추문(스캔들)이 있을 수이다.
좌우 관골의 모양이 틀린 사람은 매사에 편애 적인 데다가 발전이 용이치 않으며 관골이 오목이 들어가고 살이 없으면 빈궁하다. 또한 관골에 상처가 있으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장애가 많고 중년에 심히 고생을 한다.
그림에서처럼 관골이 둥글둥글하면 운세가 무난하고 굴곡 없는 안정된 생활 환경이 조성된다. 눈 아래에서부터 귀에 걸쳐서 관골이 옆으로 뻗쳐 있는 사람은 수동적인 입장에서 참을성 있게 일하는 타입이며 기업주나 자본주 밑에서 역량 있는 일을 한다.
인중과 운명
코 중앙에서 윗입술에 이르는 세로로 패인 골을 관상학에서 인중(人中)이라고 한다.
인중은 수명의 장단(長短)과 자녀의 수(數)를 알 수 있는 부위이며 행동력과 생식 능력까지 도 판단할 수 있는 곳이다.
인중은 아래로 향해 차츰 넓고 윤곽이 확실해야 길한 상으로 생활력이 왕성하고 자식 운과 건강이 좋아 장수할 수 있다.
관상을 보는 데 있어서 인중의 길이는 수명의 길이와 관계가 있고 인중의 넓고 좁음은 자녀 의 수와 관계가 깊다. 그러므로 인중이 길면 장수하고 인중이 넓고 깊으면 자녀를 많이 둔다. 인중이 가늘고 좁으며 주름이 잡히면 의식에 궁핍이 있고 자식 농사가 부진하며 건강 운이 좋지 않다.
인중이 굽은 사람은 신의가 없고 인중이 단정하게 곧은 사람은 의리가 있고 성실하며 부(富)와 수(壽)를 함께 누린다.
인중이 긴 사람은 지도력, 행동력이 강한 동시에 감각이 예민하고 인정과 의협심이 많으며 주위 사람에게 매력적인 존재가 된다.
과거 격동의 시대에 정치의 한 맥을 이룬 이승만 대통령, 해공 신익희, 유석 조병옥 박사 같으신 분이 긴 인중과 그 주변이 발달된 예라고 하겠다.
인중이 짧은 경우 남성은 싹싹한 성격에 명랑 쾌활하나 다소 경솔한 면이 있고 지구력이 약 하다. 여성은 미인형이 많고 새침하면서도 부드러움이 있으나 고집이 강할 수 있다. 인중의 길고 짧음은 인중과 얼굴 길이의 배율이 남자는 1대 7, 여자는 1대 8이 표준형이라 하겠다.
표준형의 특징은 짧은 인중과 긴 인중이 갖고 있는 특성이 혼합되어 있다.
인중이 펀펀하고 패여 있으며 골의 선이 없거나 불분명하면 이를 경함(傾陷)이라 하여 늙도록 자식이 없고 궁핍하고 곤고한 상이며 인중이 왼쪽으로 기울면 아버지를 먼저 잃고, 오른쪽으로 기울면 어머니를 먼저 잃는다.
인중을 물도랑(구혁 : 溝血)으로 비유할 수 있는데 물도랑이 깊고 넓으면 물길이 막힘이 없고 얇고 좁으면 물길이 막힘이 없고 얇고 좁으면 물길이 막히거나 잘 흐르지 못하듯 인중의 얼굴의 도랑으로 깊고 넓으며 인중 선이 분명해야 운세도 좋고 건강과 자손 복이 있다. 그림에서 보듯 인중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폭이 넓어진 모양은 길상(吉相)으로 금 전운이 좋으며 아들을 많이 두게 된다.
인중이 넓고 안정되면 특히 여성에 있어 인체학적으로 자궁(子宮)의 상태가 좋고 머리 좋은 아기를 순산하며 자(子)복이 많다. 인중이 위는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진 형은 자녀 운도 좋지 않고 운세가 맑지 않다. 특히 여성이 인중의 피부색이 바랜 것처럼 보이면 여성 병이 있거나 기능이 약해졌다고 볼 수 있으며, 그림에서처럼 통 모양으로 생긴 인중의 소유자는 맺고 끊음이 없는 느슨한 성격이나 건강상 질병이 있으면 만성병으로 고생을 한다.
인중의 모양이 대나무를 반 토막 내어 뒤집어 놓은 형이면 복록이 무궁하고 바늘 같이 좁고 가늘면(細如懸針) 자손이 끊기고 빈궁하다.
인중에 가로로 굵은 주름이 있으면 늙도록 자녀가 없거나 무자(無子)하며 특히 여성은 남편 운이 좋지 않다. 결혼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남편을 일찍 여의거나 남편이 병들거나 생활력이 없어 부부생활을 지속하기가 어렵다.
불운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도 삶의 운영의 묘(妙)이므로 위와 같은 인중을 소유한 여성은 무언가 직업적인 기술을 배워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두는 것이 좋다. 구부러져 있는 인중은 마음이 바르지 못하고 거짓말을 잘하며 여성에게 있어 난산을 하거나 제왕절개 수술을 하는 경향이 많다.
인중이 평행하면 아들딸을 고루 낳고 자손 덕도 보며 사고 방식이 합리적이고 교양적이다. 여성으로서 인중에 상처가 있으면 유산을 하거나 임신중절을 받게 될 상이다.
그림에서처럼 인중 상부 코끝 바로 밑에 점이 있으면 단명할 상이며 검은 사마귀가 있으면 아들이 많고 인중 가운데 사마귀나 점이 있으면 혼인을 여러 번 하거나 자녀를 기르기 어렵고 인중 가운데에서 옆으로(좌우 상관없이) 점이 있으면 흔한 말로 간통을 한다.
인중 하부 가운데에 사마귀가 있으면 딸을 많이 두게 되고 점이 있으면 남녀 모두 품행이 방정치 못해 이성적 스캔들이 많으며 특히 여성은 결혼 때까지 처녀성을 지키지 못하는 경향이 많다.
남자의 경우 인중에 수염이 있으면 성공 운이 빠르나 드물거나 없으면 성공이 더디고 매사에 노력한 만큼의 대가가 부족하다. 그러나 인중에 수염이 없는 사람은 이해성이 많고 원만한 성격을 가졌다. 인중에 우물 정(井)자의 주름이 있으면 수액(水厄)이 있으니 물 조심을 해야겠다.
법령과 운명
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길게 뻗친 금(紋)을 법령(法令)이라 하는데 사회적 지위와 활동력과 직업의 성패를 판단하며 건강 운과 수명 관계도 알 수 있는 곳이다.
법령은 길고 넓으며 깊게 형성된 것이 길상이며 이 법령이 잘 생긴 사람은 많은 사람을 거 느리게 될 입신출세의 상으로 되어 있다. 이 선(법령)은 어릴 때는 나타나지 않다가 20, 30대를 지나 40대가 되면 명확히 자리잡는 것이 보통인데 어린아이가 법령이 분명하면 자활능력이 강해 일찍이 독립하게 된다.
또한 법령이 분명한 사람은 일에 분명하고 주관이 확실하나 법령 이 분명치 못한 사람은 우유부단하고 신용이 약하고 질서가 없다. 그래서 법령이 좌우로 바르고 넓게 나타난 남성은 사업과 직업 운이 좋고 여성은 가정에 있어서의 입장이 향상 발전되어 주권이 강화된다. 그러나 법령이 고르지 못하고 희미하면 직업 운이 안정되지 못하고 업무에 장애가 많다.
법령의 빛깔이 검푸를 때에는 경영하는 업무에 곤란이 있어 수입이 줄어들고 생활고가 있게 되나 법령의 빛이 맑고 윤택하면 금전 운이 좋아 수입에 안정이 오게 된다. 법령에 점이나 흉터가 있으면 재산이 흩어지는 파재(破財)의 상으로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고 매사 뒤죽박죽으로 막힘이 많아 경제적으로 심한 고생을 하며 파란이 그치지 않는다.
남성에게 있어 뚜렷한 법령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 동안 쌓아 올린 노력이 사회적 지위로 승화된 결과를 주는데 여성에 있어서 40대 이전의 법령은 없는 것이 운명학적으로 좋다.
젊은 여성이 법령이 뚜렷한 경우에는 얌전하게 가정을 지키기 어려운 여걸 풍의 인물이거 나 결혼해서 부부간에 이별 수를 겪기 쉬우며 고독한 생활로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다소 강한 운명의 소유자라 하겠다.
법령은 입가로부터 손가락 두 개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인데 법령 끝이 입 양쪽 가장 자리에 붙어 있는 형은 결혼 운이 불길하고 일생 의식(衣食)에 구애가 많으며 위장 계통의 건강이 나쁘다.
관골(광대뼈)이 뚜렷하고 법령이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정확하게 뻗은 형은 행동력이 없고 매사에 적극적이며 상하간의 신뢰를 받아 직업 운과 금전 운이 좋다. 좌우 법령이 한쪽은 길고 한쪽이 짧은 짝짝이형은 이중적인 성격을 띄며 직업 변동이 많아 안정된 생활이 어렵고 극단적으로
짝짝이인 경우에는 일찍이 한쪽 부모를 잃을 상이다.
코 옆 아래에서 입을 중심으로 원형이 된 법령은 명랑하고 사교성이 좋으며 일생 의식 걱정 이 없고 순탄하다. 법령이 짧은 사람은 지구력이 부족하고 직업과 주거가 자주 바뀌며 의식주가 궁핍하게 된다.
법령이 중간에 끊긴 단절형은 직업에 지속성이 없어 자주 직업 변동을 하며 끈기가 부족하고 기(氣)가 약하다.
법령이 입가로 내려오다 끝이 갈라져서 두 개로 보이는 법령의 소유자는 결혼 운이 좋지 못 하고 남녀 모두 비밀스러운 정(情)을 통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에게 있어 법령 주위에 잔주름이 있으면 후처(後妻)상이거나 과부의 상이라 하여 애정 운이 심히 불길하다.
법령은 젊은 나이에 있는 것보다 남녀를 막론하고 40대 이후에 나타나는 것이 관상 운명학 적으로 길하며 일찍 법령 선이 나타나면 인생 과정이 여러 역경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안정이 오는 관계로 40대 이전의 법령은 대체로 불길함이 많다고 하겠다. 특히 여성에 있어서 40대 이전의 법령은 애정 운을 불길하게 만들어 배우자와 사별이나 배우자가 심히 플레이보이 기질로 속을 썩거나 하는 등의 애고(愛苦)가 수반된다고 하겠다.
◆ 들창코에 들창코 며느리가 들어오면 인패재패(人敗財敗)가 난다.
◆ 콧대가 내려오다 꺾어지는 사람은 중간에 반드시 실패를 본다.(패가망신)
◆ 큰일을 하려면 입술이 두꺼워야 한다.
◆ 입술이 얇으면 거짓말을 잘한다.
◆ 치열(齒列)이 꽉 들어차야 남편 덕이 있다.
◆ 얼굴 표준형 - 타원형이 좋다. 여자가 얼굴이 둥글면 부모에게 불효한다.
◆ 피부색이 탁하고, 붉고, 검으틱틱 하면 좋지 않다.
피부색이 푸르면 과부 상이다.
◆ 파렴치, 낯가죽이 두껍다. (턱 옆에 살이 붙은 경우)
◆ 도둑놈 심보: 심목고비(深目高鼻: 눈이 깊고 코가 높다.)
◆ 매부리코 (+음흉)
◆ 관골(觀骨)이 나오면 과부골상: (찰 과부 --- 관 골이 튀어나면서 발그레한 여자 남편에게 소실 얻어주던지 자기가 남자일 해야한다.)
◆ 손을 톡톡 치는 사람은 도박성이 있다.
삼정법(三停法)
상정(上停)
상정에서는 주로 선천 운을 본다.
선천 운이란 부모와 조상 운을 말한다.
상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태어나서 34세까지이다. 따라서 20대나 30대 초반에 일어나는 모든 운수의 길흉여부는 상정 사정에 따른다.
중정(中停)
중정은 위로 눈썹과 눈 사이를 경계해 밑으로는 코끝까지이다.
나이로 치자면 35세에서 50세까지 정확히 15년간을 지배한다.
중정에는 耳․目․鼻의 삼관이 모여 있으며, 산근(山根)과 관골(觀骨)도 함께 자리하여 지적한 부위들이 잘 생겼다하면 중년 40대에는 크게 발전한다.
하정(下停)
하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51세에서 71세까지 약 20년간이다.
이 무렵은 인생의 마무리 과정에 해당된다. 하정이 넓적하고 두둑하며 묵직한 형상이면 자손이 번창하고 재물도 늘어나며 수명 또한 연장된다.
반면 볼에 살집이 없다거나 얄팍한 턱, 송곳같이 쪼뼛한 턱, 뒤로 발랑 젖혀진 턱 등은 50세까지 쌓아두었던 명예나 재물이 산적(山積)하다해도 이맘때가 되면 마치 썰물 같이 빠져 나가버린다.
그러므로 하정이 빈약하면 자식 복(덕)이 없다고 한다.
그 사람의 마음을 읽고자 할 때 눈을 보라고 한 것도 눈은 마음의 바로미터 (Barometer)와 같다는 뜻에서이다.
소화기관에 병이 발생하면 콧잔등에서 붉거나 검은 기색이 발현한다.
코가 잘생긴 사람은 현금이나 동산(動産) 성격을 띤 재물이 많다.
코가 지배하는 나이는 41세에서 50세 까지 10년간이다.
큰 눈의 소유자는 이성에게 인기는 좋으나 이성 변화가 심하여 강한 사랑을 하다가도 일단 마음이 멀어지면 미련 없이 연인을 바꿀 수 있는 면이 도사리고 있다. 인체 부위 중에 정신이 모이는 곳이 눈이다.
특히 눈이 큰 여자는 이성 운이 좋지만 남편 운은 나쁘다.
이성교제 때 인기는 높지만 현모양처 감으로서는 가히 좋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작은 눈의 여 성이라 할지라도 눈빛, 즉 안광이 사납거나 독기가 보이면 천하게 되는 경향이 많다.
눈이 혼탁 돼 있고 흰자위가 검은 동자보다 많으며 살기(殺氣)가 서려 있으면 흉상이 된다. 눈의 좌우 크기가 다른 눈을 음양안(陰陽眼)이라 하며 성질이 까다롭거나 간사 하지만 재물은 따른다고 돼 있다.
눈이 마치 물고기 눈처럼 툭 튀어나온 사람은 남의 비위를 잘 맞춰 사교성이 좋으나 경솔하기 쉽고 고독하며 남녀 모두 일찍 이성에 눈을 뜬다.
특히 여성은 애정, 결혼 운이 처음에는 좋으나 뒤끝이 나쁘다.
눈이 불량하면 마음도 음험하고 눈이 선하면 마음도 선하다.
볼에 살이 복스럽게 붙어 있어 풍만하게 보이는 사람은 너그럽고 관대하고 느슨한 성격이며 인기를 모을 길상이다.
볼이 여위고 까칠까칠하면 신경질적이고 예민하며 대인관계가 서투르다.
애정 생활에 양보 와 인내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보조개가 있는 여성은 헤플 수 있는 가능성으로 애정 운이 그리 좋지 않은 면이다. 그러나 자식 운이 좋아 재주 있고 영특한 자식을 낳는다.
직업은 역시 인기 직업인이다. 술장수 계통이 적합하다.
①, 팔대길상(八大吉相)
ⓐ 눈이 크고(眼大) 안광(眼光)이 있는 것.
ⓑ 코가 크고(鼻大) 콧대가 높게 솟은 것.
ⓒ 입이 크고(口大) 입의 양끝 모서리가 위로 향한 것(偃月形).
ⓓ 귀가 크고(耳大) 윤곽이 분명한 것.
ⓔ 머리가 크고(頭大) 이마(額骨)이 솟은 것.
ⓕ 소리가 크고(聲大) 맑고 윤택한 것.
ⓖ 얼굴이 크고 성곽(城郭)이 분명한 것.
ⓗ 몸이 크고(身大) 삼정(三停)이 균형을 이룬 것.
위의 여덟 가지 팔대(八大)의 격을 갖춘 상은 부귀 한다.
②, 팔대흉상(八大凶相)
ⓐ 눈이 크나 광채가 없으며 어둡고 흐린 것.
ⓑ 코가 크나 콧대가 없고 빈약한 것.
ⓒ 입이 크나 두 끝이 아래로 처져 있는 것.
ⓓ 귀가 크나 윤곽이 없고 엷은 것.
ⓔ 머리는 크나 이마가 요철(凹凸)되어 있는 것.
ⓕ 소리는 크나 고함을 지르는 것 같이 깨지는 소리가 나는 것.
ⓖ 얼굴은 크나 흉, 점 등 잡티가 많은 것.
ⓗ 몸은 크나 행동이 가벼운 것.
이상은 비록 팔대(八大)를 갖추었다 하여도 아무 소용이 없고 빈천하다.
2), 팔소(八小)
팔소(八小)는 팔대(八大)와 반대로 여덟 가지가 모둔 작은 것인데 관상학에 있어 원칙적으로 팔대(八大)를 요(要)하지만, 비록 팔 소라 하여도 격(格)을 이루면 오히려 부귀하게 된다.
① 눈이 비록 작다 하여도 길고 수려하면 길하다.
② 코가 비록 작으나 콧대가 우뚝하면 길하다.
③ 입이 비록 작으나 붉고 윤택하면 길하다.
④ 귀가 비록 작으나 단단하고 윤택하면 길하다.
⑤ 이마가 비록 작으나 풍만하면 길하다.
⑥ 음성이 비록 작으나 맑게 울려 퍼지는 듯하면 길하다.
⑦ 얼굴이 비록 작으나 수려하고 당당해 보이면 길하다.
⑧ 몸은 비록 작으나 행동거지가 단정하면 길하다.
3), 오장(五長)
오장(五長)이란 신체의 다섯 가지가 모두 긴 것을 일컫는다.
① 머리가 길다(頭長).
② 얼굴이 길다(面長).
③ 신체가 길다(身長).
④ 손이 길다(手長).
⑤ 발이 길다(足長).
이상과 같이 다섯 가지가 모두 길면 길격(吉格)을 이루는데, 비록 오장(五長)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전체가 풍만하고 얼굴이 청수(淸秀)하며 피부가 윤택해야 부귀가 따르게 된다. 그렇지 않고 뼈가 퉁겨지고 힘줄이 불거지고 피부가 거칠면 흉격(凶格)으로 빈궁하게 된다.
4), 오단(五短)
오단(五短)이란 신체의 다섯 부위가 모두 짧음을 의미한다.
① 머리가 짧다(頭短).
② 얼굴이 짧다(面短).
③ 신체가 짧다(身短).
④ 손이 짧다(手短).
⑤ 다리가 짧다(脚短).
이상과 같이 오단은 오장(五長)의 정반대인데 다섯 가지가 한결같이 짧으면 역시 격(格)을 이루어 길한데 특히 골육이 가늘고 미끄러우며 눈썹과 눈썹 사이(인당)가 밝고 윤택하며, 오악 (五岳 : 이마, 좌우 관골, 코, 턱)이 솟아 조화를 이루면 부귀하는 상으로 지위에 서광이 내린다.
그러나 오단(五短)이 격9格)을 이루어도 골육이 조악(粗惡)하고 오악이 균형을 잃거나 기울거나 함(陷)하면 빈궁하다.
5) 오소(五小)
오소(五小)란 다섯 가지 신체 부위가 모두 작은 것을 말한다.
① 머리가 작다(頭小).
② 눈이 작다(眼小).
③ 배가 작다(腹小).
④ 귀가 작다(耳小).
⑤ 입이 작다(口小).
이상의 다섯 가지가 비록 작다 하더라도 단정하고 아무런 결함이 없으며 한결같이 작으면 귀격(貴格)을 이룬다. 그러나 몇 가지가 작고 또 몇 가지가 크면 이는 실격(失格)이 되어 안정 이 적은 생활이 온다.
6), 오로(五露)
오로(五露)란 신체의 다섯 군데가 솟거나 노출된 것이다.
① 눈이 솟았다(眼凸).
② 콧구멍이 훤히 보인다(卑仰).
③ 귀가 젖혀졌다(耳反).
④ 입술이 걷혔다(脣欣). 欣折
⑤ 목뼈가 솟았다(喉結).
이상의 다섯 가지는 모두 빈천하거나 복이 없는 상으로 그 하나 하나를 논할 때는 흉상(凶 相)이지만 한 몸에 오로(五露)를 모두 갖추고 있으면 전화위복지상(轉禍爲福之相)으로 초년에 는 풍파가 있으나 중년부터 발복(發福)하여 복록을 누리는 상이 된다.
그러나 한두 군데가 오로가 아니면 실격(失格)의 상이 되어 고생이 있다.
7), 육악(六惡)
육악(六惡)이라 함은 여섯 가지의 악상(惡相)을 말한다.
① 양의 눈(羊眼)을 가진 사람이 염소처럼 꼿꼿이 보는 것(直視)이니 성품이 어질지 못하고 거칠다.
② 입술이 이(齒)를 가리지 못하니 성품이 단정치 못하다.
③ 목뼈(結喉)가 불거진 것이니 처자에게 재앙을 부른다.
④ 머리가 작은 것이니 가난하고 하천(下賤)이다.
⑤ 삼정(三停)이 고르지 못하니 빈천하다.
⑥ 뱀의 걸음(蛇行)에 참새의 거동(雀躍)이니 동분서주하나 재물이 없고 흩어진다. 이상의 여섯 가지는 악상(惡相) 가운데 가장 큰 흉격(凶格)으로 어느 하나를 갖고 있어도 운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8), 육천(六賤)
육천(六賤)이라 함은 여섯 가지의 천한 상을 말하는데 이는 생김새가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과 마음 쓰는 것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①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다.
② 뻔뻔하고 무사태평하다.
③ 나가고 물러남이 분명치 않다.
④ 남의 결점을 흠잡기 잘한다.
⑤ 자기 자랑만을 일삼아 한다.
⑥ 자기 실수를 인정치 않고 무조건 정당화시키고 이기려 한다.
이상과 같으면 모두 소인(小人)의 상으로 복이 감소되고 행운을 놓친다.
9), 십살(十殺)
① 얼굴이 술에 취한 것 같다.
② 옆에 사람이 없는데도 혼자 중얼거린다.
③ 가래(痰)가 없는데도 침을 자주 뱉는다.
④ 눈이 붉어 노기(怒氣)를 띤다.
⑤ 정신이 흐리멍텅하다(昏濁).
⑥ 목소리가 승냥이 울음소리 같다(豹狼).
⑦ 아랫수염은 있으나 윗수염이 없다.
⑧ 음식을 먹을 때 땀을 많이 흘리거나 소리 내어 먹는다.
⑨ 코가 굽었거나 비뚤어졌다.
⑩ 겨드랑이에서 노린내(狐臭)가 난다.
이상의 십살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이 있는 사람은 재산이 흩어져 나가고 흉액과 재난이 많으며 빈궁하고 죽을 때 비명에 횡사하는 경우도 있다.
10), 십대공망(空亡)
① 이마가 뾰족한 것(額尖)을 천공(天空)이라 하여 부모 덕이 없고 초년에 고생이 많으며 재앙 을 초래하고 고독하다.
② 턱이 뾰족한 것(閣尖)을 지공(地空)이라 하여 말년 운이 고독 빈궁하고 부부가 이별하고 자손의 덕도 없으며 매사 시작은 있으되 끝이 없다.
③ 콧구멍이 지나치게 훤히 보이는 것(鼻空仰露)을 인공(人空)이라 하여 중년에 실패하고, 노년에 고생이 많으며 자손 덕이 없고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성취됨이 없다(一事不成).
④ 콧대(산근 부위)가 움푹 들어간 것(山根低陷)을 산근공(山根空)이라 하여 부모, 형제, 처자 덕이 박약하고 이별수가 있다.
⑤ 인중(人中)에 수염이 없는 것(有髥無鬚)을 염공(髥空)이라 하여 노력만큼의 실속이 없고 인덕이 없으며 아내는 있으나 자식을 두지 못한다.
⑥ 얼굴에 성곽이 없음(城郭 : 얼굴에 도톰한 곳이 없이 미끄럽게 빠진 상)을 성곽공(城郭空) 이라 하여 무슨 일이든 시작만 하고 끝을 맺지 못하여 되는 일이 없고 수명이 짧다.
⑦ 머리털이 짧고 불로 지진 것 같음을 발골(髮空)이라 하여 성질이 너무 강하고 무례하여 오만불손하다.
⑧ 눈 머리 밑이 깊은 것을 누당공(淚堂空)이라 하고 이러한 사람은 성질이 좁아 자기 이익만 을 취하며 처자를 극하며 일생에 고생이 많다.
⑨ 눈에 광채가 없는 것은 안공(眼空)이라 하여 마음에 안정이 없고 형제가 불화하며 자식 덕이 없다.
⑩ 눈썹 털이 없는 것을 미공(眉空)이라 하여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성격에 형제, 처자의 덕이 없고 말년이 쓸쓸하다.
11), 십대천라(十大天羅)
① 얼굴 전체에 흑기(黑氣)가 가득한 것을 사기천라(四氣天羅)라 하여 수명(壽命)이 얼마 안 남은 징조이다.
② 얼굴 전체에 백색(白色)이 가득하게 나타난 것을 상곡천라(喪哭天羅)라 하여 집안에 우환 질 고가 많다.
③ 얼굴 전체에 청기(靑氣)가 일어나는 것을 우체천라(憂滯天羅)라 하여 우환이 많고 막히는 일이 생긴다.
④ 얼굴 전체에 황색이 나타나면 질병천라(疾病天羅)라 하여 중한 질병에 걸릴 징조이다.
⑤ 얼굴에 개기름이 흘러 번질번질한 것을 허화천라(虛花天羅)라 하여 매사에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된다.
⑥ 눈빛을 흘겨보고(流視) 자주 깜박이는 것을 간음천라(姦淫天羅)라 하여 남녀간에 음란하여 사정(私情)을 한다.
⑦ 얼굴 전체가 빨간 것을 관사천라(官司天羅)라 하여 법을 어기고 옥살이를 하게 된다.
⑧ 얼굴이 술에 취한 듯한 형을 형옥천라(刑獄天羅)라 하여 법을 어기고 옥살이를 하게 된다.
⑨ 남성의 목소리나 태도가 여성 같고 여성의 목소리나 품행이 남성 같은 것을 고형천라(孤刑天羅)라 하여 형제와 배우자의 덕이 없고 고독하다.
⑩ 콧머리(鼻頭)에 아롱진 점(斑點)이 티끌처럼 나타난 것을 퇴패천라(退敗天羅)라 하여 일에 실패가 많고 재물이 흩어진다.
기타
(관골, 인중, 법령, 이, 볼, 보조개, 턱, 주름, 점)
인중 가운데 사마귀나 점이 있으면 혼인을 여러 번 하거나 자녀를 기르기 어렵고, 인중 가운데에서 옆으로 점이 있으면 간통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