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전 실기를 1,3단계 강의 보면서 따라하기만 하고 기본적인 문제들만 풀어보고 시험 3번 죄다 떨어졌습니다. 학기를 보내고 그리고 1년 후 붙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역시 1, 3단계만 수강했습니다.
1년의 공백 동안 2024년으로 최신화된 강의가 있었고 한 번 봤던 내용이라 생각보단 크게 힘들지 않았습니다. 2~3주 준비하고 복귀전인 4트째는 부족해서 떨어졌지만 일주일 더 착실히 준비한 5,6트는 모두 합격했습니다.
(1년전에 했었고, 다른 자격증 준비를 위해 시간적으로 효율을 추구한 점 참고 바랍니다!)
개인적인 공부 팁으로는
0. (3단계 절반 정도 '따라하기' 하고) 강의 켜놓고 해설 전에 직접 문제 풀어보기
전 시간상 3단계 모의고사를 풀고 정답기 돌리는 공부를 안 했습니다. 실제 시험은 강의보다 훨씬 문제수, 시트나 테이블이 적거든요
대신에 3단계 모의고사 절반 정도 하다가 익숙해져서 강의 문제 해설전마다 미리 푼 다음에 / 제 풀이랑 해설이랑 비교해봤습니다.
강의 듣고 복습하면서 혈이 점점 뚫리는데
기본작업, 분석작업, 매크로, 프로시저는 2배속으로 들어도 됐었고 예전엔 어려웠던 배열함수나 계산작업도 원리를 아니까 시간 걸려도 혼자서도 풀어졌습니다. 너무 어려운건 필기만 열심히 했어요
필기는 1단계 때부터 강의 보면서 옆에 메모장 켜놓고 필기했고요. 시험장 가는 길에 메모장 내용 폰으로 옮겨서 미흡했던거 계속 봤습니다.
1. 실기 질문 게시판 적극 이용
미리 풀기 전에 이해 안되거나 제 풀이도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기 질문 게시판'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특히나 4트, 5트째 시험 끝나고 풀이 모르겠거나 애매했던 문제 바로 복기시켜서 실기 질문 게시판에 올렸는데 그 다음 시험 때 똑같은게 나와서 쉽게 풀었습니다.
2. 엑셀의 프로시저 5점 문제 버리기
입력행 = 공식 잘 해도 시간이 그 시간에 배점이 1점이라도 더 높은 계산 함수에 투자했습니다.
엑세스 me.filter 문자열 문제나 복잡한 하위쿼리 버리기
엑세스는 엑셀보다 체감상 시험이 더 쉽습니다. filter로 문자열도 그리 어렵진 않지만 초반이라면 따옴표 너무 헷갈리는 거는 잠시 두고가도 될 것 같습니다.
엑세스 점수 따기 힘든건 프로시저나 쿼리일텐데 하위쿼리 너무 복잡한(SQL 복붙하는거)거에 에너지 쏟기보다 기본적인데 디테일한거에 힘 쏟길 바랍니다.
제가 부족했던 디테일들은
* 매크로 때 '기록' 눌리고 나서는 서식 계속 바꾸면 감점이니 매크로 없이 서식 해보고 맞게 나오면 그때 '기록' 눌리고 사용자서식 적은거 복붙하기
* 분석작업 '데이터 가져오기' 엑셀, 텍스트, accdb 등등 다양하게 나오니까 각각 가져오는 방법 정확하게 파악하기
* 엑세스 유효성 검사 텍스트때 ""따옴표를 붙이지 않기 라던지,
* 엑셀/엑세스 조건부서식, 데이터유효성규칙, 컨트롤 원본, 매크로 안 msgbox 등등 '='이 들어가는 경우, 안들어가는 경우 구분 잘 하기
정도가 기억나네요. 직접 풀어보면서 찾아가길 바랍니다!
저도 3트 실패하고 특히 2024년 개정되고 어려워졌다 해서 걱정이 많았는데 3단계 난이도에 비하면 쉽습니다. 강의 때 나름 어려웠던 문제들도 보였지만 강의 문제 그대로 나온 문제도 있으니 착실하게만 준비하면 합격 할 수 있습니다!
Unload me
Docmd.Close
--------------------------------------------------------------------------------
위 내용은 아이티버팀목 합격수기에 올려진 수기입니다.
아이티버팀목https://www.itbtm.com/main2/intro.php
컴활 인강분야 소비자 선호도 1위, 초보자도 인터넷강의만으로 합격 가능,
초단기(1~3주) 학습표 제공, 무한반복 가능, 스마트폰으로 학습 가능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단기합격가능 #유동균인강 #합격흐름 #나만의학습비법 #컴활1급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