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3월 3일 사순 제1주간 금요일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20ㄴ-2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0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1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그리고 자기 형제에게 ‘바보!’라고 하는 자는 최고 의회에 넘겨지고,
‘멍청이!’라고 하는 자는 불붙는 지옥에 넘겨질 것이다.
23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예물을 바쳐라.
25 너를 고소한 자와 함께 법정으로 가는 도중에 얼른 타협하여라.
그러지 않으면 고소한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넘기고 재판관은 너를 형리에게 넘겨, 네가 감옥에 갇힐 것이다.
26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네가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거기에서 나오지 못할 것이다.”
서리 맞은 고추 잎처럼
명령은 단칼과 같이 내린다. 그래서 추상같은 명령이라고 옛날에 말했나 보다. 추상(秋霜)은 ‘가을날의 서리’를 말한다. 어려서 시골에서 살았기 때문에 서리가 내리는 것을 잘 아는 편이다. 10월이 되면 서리가 내린다. 아침에 무척 추워지면 솜이불 속에서 일어나기 싫어서 게으름을 피우다가 어른들의 꾸중을 듣고 일어나 마당이라도 쓸라치면 배추와 무청 위에 하얗게 서리가 앉아 있는 모습을 본다. 서리에 맞으면 제일 먼저 죽어나가는 것은 연한 잎을 가진 채소들이다. 고춧잎, 고구마, 호박, 콩잎 등은 새카맣게 죽어버린다. 그리고 나뭇잎은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된서리를 맞으면 곧 죽은 목숨이다. 그래서 고춧잎이나 고구마 잎, 깻잎은 서리가 내리기 전에 서둘러서 거둬들여야 한다.
라디오도 없고, 일기예보도 시원찮은 시기에 살았던 어른들은 서리가 오기 전에 거둬야 하는 채소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서리가 오기 전에 잎이 죽지 않게 싱싱한 잎이나 줄기를 거둬들였다.
의사의 진단과 치료의 결정은 신속하고 명확하게 이뤄져야 한다. 정말 그 모든 것이 분명하다면 치료에 대한 명령은 단칼과 같이 내려야 하고, 사람의 생명 문제이기 때문에 추상과 같아야 한다.
나는 암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아야 하는 문제에 있어서 무척 망설였다. 우선 아들의 결혼을 염두에 두고 결혼식이나 끝내놓고 항암치료를 하든, 수술을 하든 하겠다고 “항암치료를 한 3개월 뒤로 미루면 어떻겠습니까?”하고 질문을 했었다. 강 교수님은 눈을 동그랗게 뜨고, “No, 안됩니다. 지금은 1분 일초가 급합니다. 뒤로 미룰 수 없습니다.”라고 강경하게 대답한다. 나는 정말 찍소리도 못하는 생쥐 꼴이 되었다. 아들은 ‘내가 쓸데없는 고집을 피운다.'고 또 싫은 소리를 한다. 그래서 내 치료는 가속도를 붙게 되었다.
암은 가속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암세포가 증식할 수 있는 어떤 계기가 되면 아주 엄청난 속도를 낸다고 한다. 그때 내가 항암치료를 뒤로 미뤘다면 더 어려운 지경이 되었을 것이다. 무슨 일이든 때가 있다. 말기 암까지 가 놓고도 천하태평인 사람처럼 그렇게 살았다가는 더 어렵고 힘들게 했을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도 결정할 일은 신속하고 정확하고 냉정하고 그 후속조치는 추상과 같아야 한다. 생명에 관한 일은 더욱 그렇다. 의사선생님이 담배를 끊어야 건강에 좋겠다고 진단하고, 끊으라고 추상과 같은 명령을 내렸으면 그 즉시 그대로 실행해야 살 수 있다. 하느님의 말씀을 어기고 누가 살아날 수 있을까? 쓸 데 없이 제가 잘 났다고 고집을 피우며 살 것인가? 자신이 할 수도 없는 일을 하겠다고 공약(公約)을 해 놓고 공약(空約)이 되는 정치가들처럼 말잔치만 늘어놓을 것인가? 하지도 못하는 약속을 주렁주렁 달고 살 것인가? 추상같은 명령을 어겼다면 누가 살겠는가? 고춧잎이나 고구마 잎처럼 서리 맞아 죽을 일만 남아있다. 가을날의 서릿발보다 더 무섭고 더 지엄하신 하느님께 거역한 사람들이 지금도 예수님을 팔아서 사기를 치며 살고 있다. 그들을 어찌 구원 받게 할 수 있겠는가?
내가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하느님께서 데려 가신다면 어떻게 내가 거부할 수 있을까? 헛된 약속이나 맹세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대로 그냥 알아서 살아야 한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마태오 5, 20) 그리고 그 분께서 말씀하시면 “예”라고 말해야 한다. 그리고 그 말씀에 따라서 살아야 한다. 죽지 않고 살아나려면 그렇게 해야 한다.
(암이란 친구와 이별하기/야고보 아저씨의 암 체험 이야기 중에서)
<내가 정말 기뻐하는 것이 악인의 죽음이겠느냐? 악인이 자기가 걸어온 길을 버리고 돌아서서 사는 것이 아니겠느냐?>
▥ 에제키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18,21-28
주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21 “악인도 자기가 저지른 모든 죄를 버리고 돌아서서, 나의 모든 규정을 준수하고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면,
죽지 않고 반드시 살 것이다.
22 그가 저지른 모든 죄악은 더 이상 기억되지 않고, 자기가 실천한 정의 때문에 살 것이다.
23 내가 정말 기뻐하는 것이 악인의 죽음이겠느냐? 주 하느님의 말이다.
악인이 자기가 걸어온 길을 버리고 돌아서서 사는 것이 아니겠느냐?
24 그러나 의인이 자기 정의를 버리고 돌아서서 불의를 저지르고,
악인이 저지르는 온갖 역겨운 짓을 따라 하면, 살 수 있겠느냐?
그가 실천한 모든 정의는 기억되지 않은 채, 자기가 저지른 배신과 자기가 지은 죄 때문에 죽을 것이다.
25 그런데 너희는, ‘주님의 길은 공평하지 않다.’고 말한다.
이스라엘 집안아, 들어 보아라. 내 길이 공평하지 않다는 말이냐? 오히려 너희의 길이 공평하지 않은 것 아니냐?
26 의인이 자기 정의를 버리고 돌아서서 불의를 저지르면,
그것 때문에 죽을 것이다. 자기가 저지른 불의 때문에 죽는 것이다.
27 그러나 악인이라도 자기가 저지른 죄악을 버리고 돌아서서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면, 그는 자기 목숨을 살릴 것이다.
28 자기가 저지른 모든 죄악을 생각하고 그 죄악에서 돌아서면, 그는 죽지 않고 반드시 살 것이다.”
축일3월 3일 성녀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Teresa Eustochio Verzeri)
신분 : 설립자, 수녀원장
활동 지역 : 베르가모(Bergamo)
활동 연도 : 1801-1852년
같은 이름 : 베르제리, 에우스토키움, 테레사, 테레시아
1801년 7월 31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의 베르가모에서 태어난 성녀 테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Teresia Eustochio Verzeri, 또는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는 아버지 안토니오 베르체리(Antonio Verzeri)와 여백작인 어머니 엘레나 페드로카 그루멜리(Elena Pedrocca-Grumelli)의 일곱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베르체리 가문은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에 대한 특별한 신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나중에 브레시아(Brescia)의 주교가 된 성녀 테레사의 동생은 지롤라모(Girolamo, 히에로니무스)로, 테레사는 성녀 바울라(Paula, 1월 26일)의 딸을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에우스토키오(Eustochio 또는 Eustochium, 9월 28일)로 이름지었다.
성녀 테레사는 10세 때에 첫영성체를 하면서부터 수녀가 될 마음을 품었다. 그 후 견진성사를 받고나서부터는 베르가모 대성당의 총대리인 요셉 신부로부터 영성지도와 격려를 받았다. 그 후 그녀는 세 번씩이나 산 그라타(San Grata)의 베네딕토 수도원에 들어갔지만 세 번 다 교육을 받는 도중에 나왔다. 그 후에 그녀는 그로모라고 부르는 작은 집에서 소녀들에게 신앙교육을 시키는데 전념하였다. 이것은 후에 그녀가 세운 수녀회의 씨앗이었다. 성녀 테레사는 1831년 베르가모에서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Daughter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를 설립했다.
그녀는 안토니아를 비롯한 비르지니아 시모니 그리고 카타리나 만제노니 등의 도움을 받아 소녀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한편, 단식과 침묵 등을 통하여 힘든 완덕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 후 성녀 테레사는 요셉 신부의 지도하에 공동생활을 위한 규칙을 만들었으며, 가난한 어린이 교육, 병자방문 그리고 윤리적 위기에 처한 소녀들의 휴식처 겸 신앙교육, 여성 피정지도 등을 실시하였다. 1841년 성녀 테레사 원장과 그의 동료들은 종신서원을 발했고, 이듬해 베르가모 주교로부터 수도회 규칙서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1847년 교황 비오 9세(Pius IX)는 이 수도회를 공식 인준하였다.
성녀 테레사는 북부 이탈리아를 강타한 콜레라에 걸려 1852년 3월 3일 브레시아(Brescia)에서 운명하였다. 그녀의 유해는 베르가모의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 성당에 모셔졌다.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는 그 후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카메룬, 인디아, 알바니아 등으로 진출해서 그들의 사명을 수행하고 있다. 성녀 테레사는 1946년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2001년 6월 10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축일3월 3일 성녀 쿠네군다 (Cunegundes)
신분 : 동정녀, 과부, 황후
활동 연도 :978-1033/1039년
같은 이름 :구네군다, 구네군데스, 구네군디스, 쿠네군데스, 쿠네군디스
성녀 쿠네군다(Cunegundis, 또는 구네군다)는 룩셈부르크(Luxembourg)의 백작인 아버지 지크프리트 1세(Siegfried I)와 어머니 헤드비히(Hedwig)에게 아주 어릴 때부터 훌륭한 신앙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그녀는 20세에 독일 바이에른(Bayern)의 공작인 성 헨리쿠스 2세(Henricus II, 7월 13일)와 결혼하였다. 이때 성 헨리쿠스는 동방의 어느 목수가 제작한 십자가를 선물했는데, 이것이 지금도 뮌헨에 보존되어 있다. 전기작가에 따르면, 결혼 첫날밤에 성녀 쿠네군다는 남편에게 정결한 마음으로 하느님께 일생을 봉헌하기 위해 동정을 지키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남편인 성 헨리쿠스 또한 평소 그러한 희망이 있었다며 일생 남매처럼 지내되 세상에는 알리지 말자며 동정서원을 발했다. 이런 이유로 “로마 순교록”은 그녀에게 동정녀라는 칭호를 붙이고 있다.
당시 황제인 오토 3세가 서거하자 성 헨리쿠스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1002년 바이에른의 왕으로 추대되었고, 그의 대관식은 마인츠(Mainz)에서 성 빌리지스(Willigis, 2월 23일) 대주교에 의해 거행되었다. 이어 1014년에 성 헨리쿠스는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베네딕투스 8세(Benedictus VIII)로부터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관을 받으며 신앙에 충실하고 교회를 보호할 것을 맹세했다. 그런데 결혼 첫날밤부터 서로 동정을 지키며 남매처럼 지내던 성녀 쿠네군다는 얼마 뒤에 중상자들의 희생물이 되었고, 남편마저 일시적이나마 아내를 의심하게 되었다. 확고히 항변해야 할 처지에 선 그녀는 불에 의한 시죄법(試罪法) 적용을 허용해 달라고 청할 정도였다. 그녀는 당시 관습대로 뜨거운 불로 달구어진 12개의 쟁기 위로 걸어갔지만 아무런 상처나 화상도 입지 않아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다.
이때 성 헨리쿠스는 잠시나마 아내를 의심한 자신의 잘못을 머리 숙여 사과하고 마음으로 일치하여 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선정을 베풀고, 나라 안에 그리스도교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했다. 1007년 성녀 쿠네군다는 황제에게 청을 드려서 밤베르크(Bamberg) 교구를 설립하고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그 외에도 수많은 성당과 수도원을 짓게 하였다. 그러던 중 중병을 앓게 된 성녀 쿠네군다는 병이 나으면 독일 중부 헤센(Hessen) 북부에 있는 카셀(Kassel) 근교의 카우풍엔(Kaufungen)에 수도원을 세우겠다고 약속했고, 완치된 후 1021년 그곳에 베네딕투스회 수녀원을 세웠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1024년에 남편인 성 헨리쿠스 2세가 선종하였다.
남편이 사망한 후 성녀 쿠네군다는 나라를 다스려달라는 청을 물리치고 수도 생활에 정진할 결심을 했다. 1년 후 남편의 기일을 맞아 카우풍엔 수도원 봉헌식이 있었는데, 미사 중에 복음이 낭독된 후 왕관과 화려한 옷을 벗은 성녀 쿠네군다는 머리를 깎고 주교로부터 수녀복을 받고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는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자신의 재산은 가난한 이들과 성당 건축에 모두 봉헌하고, 지난날 황녀로서 누린 모든 부귀영화를 잊고 비천한 일도 마다하지 않으며 초라한 수도원에서 기꺼이 살았다. 기도와 성경 읽기를 즐기며 엄격한 단식과 보속의 생활을 해 주위 사람들로부터 하느님 앞에 흠 없는 삶을 살았다는 칭송을 받았다. 1033년 또는 1039년 3월 3일 선종한 그녀의 유해는 밤베르크 대성당으로 운구되어 평소 오빠라고 부르던 남편 성 헨리쿠스 옆에 묻혔다. 권력과 부귀영화 속에 교만과 방종으로 흐를 수 있는 삶을 겸손과 정결한 삶으로 완성한 그녀는 1200년 3월 29일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Innocentius I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그녀는 룩셈부르크의 성녀 쿠네군다로도 불린다.
오늘 축일을 맞은 성녀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Teresa Eustochio Verzeri)와 쿠네군다 (Cunegundes) 자매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야고보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