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놓고 보니까, 너무 질문이 장황하게 많네요. 죄송합니다. 하나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어요)
다음 달에 한국에 출산하러 들어가려고 하는데요.
참고로, 신랑은 일본인이고요, 보험은 신랑회사에서 들어있습니다.
1. 출산지원금 서류
저는 지금까지, 필요한 서류를 한국으로 가지고 들어가서, 병원에서 도장을 받아와야하는 건줄 알았는데,
신랑회사에서 아무 서류도 가져갈것이 없다고 하네요.
그럼, 돌아올때 병원에서 주는 출생증명서만 받아오면 되는건가요?
더 필요한건 없나요?
(일본에서 출생신고시에, 모자수첩 필요한가요?)
2. 아기 이중국적
검색해서 쭉읽어봤는데요, 한국에서 출생신고하고 한국여권만들고,
동시에 일본에서도 출생신고 해서, 아기가 올라가 있는 일본호적등본을 들고
한국에있는 일본대사관에가서 아이 일본여권을 발급받아 아기 데리고 일본으로 입국하라고 되있던데요.
한국에 있을때는 한국여권만 만들어 일본으로 입국해서, 일본에서 일본 여권 만들면 안돼는건가요?
그리고, 아들인 경우에, 국적선택할때 군대문제가 복잡하게 작용하지는 않나요?
3. 국민처우
국민처우를 받지않으면 이중국적을 받아도 외국인등록을 해야 한다는데, 한국국적이 있어도 외국인등록이 필요한건가요?
그냥, 한국에 출생신고하고 한국 여권만 받으면 안된다는 건가요?
저는 아직 일본 영주권을 받지 않았거든요.
사실 이민자가 되어 주민번호도 없어지고 하는게 섭섭하고, 배우자비자도 불편없고해서 영주권을 받을 생각이 지금은 없어요.
한국에 제 이름으로 호적을 만들어서 신랑이랑 들어가 있고, 의료보험도 계속 받고 있어요.
지금 영주권을 받지않아서 거주여권으로 바꿀필요가 없어서,
저는 그냥 아직 일반 한국국민으로 남아있어요, 한국가족에 속해서 보험도 살아있고요.
그럼 제 밑으로 아기 출생신고 하면, 우선은 일반 한국아기들처럼 등록이 되는거 아닌가요?
저같은 경우는 그냥 한국아이로 출생신고만 하고 일본으로 오면 되는거 아닌가요?
(물론 진학통지서 오기전에 바꾸어야 하겠지만요-_-)
그리고, 제일!!! 궁금한점인데요.
저는 아이가 한국출입국시엔 한국여권을 쓰고, 일본출입국시엔 일본여권을 쓰게 하려고 생각했는데요. (각각의 나라에선 그나라의 여권을 사용하도록요)..
들어가고 나가는 여권을 나라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도 상관이 없나요?
(예를들어 일본입국시에 한국출국기록확인하려고 하면, 그 기록은 한국여권에 있는거잖아요- 한국에선 한국여권을 사용할꺼니까요.)
아님, 한일여권두권을 묶어놔야 하나요?
그리고, 아이 이름이 한국이름과 일본이름이 다른데, 비행기티켓이랑 여권이랑 이름이 안맞을텐데 어떻게 해야하는거죠?
(예를들어서, 한국이름으로 티켓을 끊은경우, 한국입국시에는 상관없겠지만, 일본 입국할때 일본여권을 제출하면 이름이 안맞잖아요)
한개 이름을 통일해서 여권을 사용할꺼면 사실, 한쪽나라 여권만 사용하게 되는거 아닌가요? 그럼 2가지다 만들 필요가 없잖아요-_-
머리아픈질문 드려서 죄송해요~~
생각보다 너무 복잡하네요-_-
제가 제대로 묻고 싶은 부분을 잘 설명을 한건지 모르겠어요.
부디 선배님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어 주세요.
질문이 너무 많죠-_-;; 부디 이중 하나씩만 이라도 지혜를 나누어 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첫댓글아~ 글을 읽고 저도 머리가 아파질라고 하네요..호호^^ 저도 일본인 남편인데 저같은 경우는 일본에서 출산을 했기때문에 1번에 대해선 전혀 모르겠구요...2번 아기의 이중국적은 일본에서 신랑이 아이 출생신고 올렸고 제가 한국영사관에 가서 한국출생신고는 올렸어요...남자는 이중국적을 만18세까지 가지고 갈수 있는데 그 이유가 군대때문이라고 하더군요...일본국적을 포기하면 군대를 가야한다네요...아마도 한국여권만 만들어서 입국후 일본여권 만들어도 돼지 않나싶어요...단 출생신고가 한국도 그렇듯 출생 후 한달이내인걸로 기억해요...그러니 몸조리하느라 한달이상 있을 예정이라면 어차피 일본대사관가서 출생신고하셔야할것이고
그때 여권도 같이 만드심이 두번 일을 하지 않으니 편할듯싶어요...3번 국민처우 <-- 이게 가장 복잡하네요...저도 물론 영주권을 받지 않았고 아이는 이중국적인데 주변에서 하는말이 아이의 여권은 한쪽만 쓰는게 좋다고 하더군요...아무레도 일본에서 쭉 살 예정이니 일본여권만 사용할 생각이에요...한국나가서 몇년씩 있다 올일 생기거든 그때나 한국여권만들까싶구요...그 외엔 구지 여권을 두개가지고 사용할 필요는 없을듯 합니다...군데 배우자비자 받지 않았나요?한국에도 일반국민으로 남아있다는게 좀 이해가 안되서 답변을 드리기가힘드네요...별 도움이 못되서 죄송합니당
전 한국에서 낳아서 일본에 데려온 경우고 출산지원금은 못 받은경우라 1번질문 제외하구요. 윗님 말씀대로 아기 출생신고할때 같이 여권 만드시면 편하세요. 저희 아이는 한국여권은 한달정도 걸리고 일본여권은 일주일이내였던 기억이 나네요. 저희 아이들 역시 이중국적이고 여권 두개씩 있는데 항상 두개 같이 지참하고 다니구요. 일본이름과 한국이름이 다릅니다. 비행기티켓은 항상 일본이름으로 하고 기본적으로 여권 두개 같이 제출하고 있어요. 남자아이인데 18세가 되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고 해도 거주지가 해외라 아마 군대면제가 된다는 얘길 들었어요. 몇년전 한국에서 이중국적법으로 한창 떠들썩했을땐 이중국적자가
주거주지가 한국인데 한국국적을 포기해서 문제가 된걸로 알고 있거든요. 저도 전문가한테 잠깐 들은 얘기라서... 전 아이들 국민처우신청 하고 일본영사관에서 재외국민 신청도 했어요. 만약을 대비해서 해 놓는게 좋다고 해서요. 일본에 뭔 일이 생기기라도 하면 일단 자국민을 우선 처우해준다하고, 혹시 한국 학교로 갈 경우 특례입학이나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유리하다고 하더군요.
국민처우 신청을 하면 한국에선 한국여권, 일본에선 일본여권을 사용해야 됩니다. 근데 요즘엔 국민처우 신청 일부러 안하시는 분도 보긴 했어요. 귀찮다구.한국에 3개월 이하 체류하실거면 안하셔도 되겠지만 나중일 모르는 거니까요. 저도 한국에서 제가 호주이고 남편이 제 배우자로 이름만 달랑 들어있고 아이들이 제 밑으로 제 성따서 들어있는데 동사무소 가셔서 해외거주인지 뭔지 신청하시면 다른건 다 남아있고 의료보험납부 안 하셔도 되는걸로 알아요. 한국들어가실때 다시 살리면 의료혜택 받을수 있구요.
첫댓글 아~ 글을 읽고 저도 머리가 아파질라고 하네요..호호^^ 저도 일본인 남편인데 저같은 경우는 일본에서 출산을 했기때문에 1번에 대해선 전혀 모르겠구요...2번 아기의 이중국적은 일본에서 신랑이 아이 출생신고 올렸고 제가 한국영사관에 가서 한국출생신고는 올렸어요...남자는 이중국적을 만18세까지 가지고 갈수 있는데 그 이유가 군대때문이라고 하더군요...일본국적을 포기하면 군대를 가야한다네요...아마도 한국여권만 만들어서 입국후 일본여권 만들어도 돼지 않나싶어요...단 출생신고가 한국도 그렇듯 출생 후 한달이내인걸로 기억해요...그러니 몸조리하느라 한달이상 있을 예정이라면 어차피 일본대사관가서 출생신고하셔야할것이고
그때 여권도 같이 만드심이 두번 일을 하지 않으니 편할듯싶어요...3번 국민처우 <-- 이게 가장 복잡하네요...저도 물론 영주권을 받지 않았고 아이는 이중국적인데 주변에서 하는말이 아이의 여권은 한쪽만 쓰는게 좋다고 하더군요...아무레도 일본에서 쭉 살 예정이니 일본여권만 사용할 생각이에요...한국나가서 몇년씩 있다 올일 생기거든 그때나 한국여권만들까싶구요...그 외엔 구지 여권을 두개가지고 사용할 필요는 없을듯 합니다...군데 배우자비자 받지 않았나요?한국에도 일반국민으로 남아있다는게 좀 이해가 안되서 답변을 드리기가힘드네요...별 도움이 못되서 죄송합니당
전 한국에서 낳아서 일본에 데려온 경우고 출산지원금은 못 받은경우라 1번질문 제외하구요. 윗님 말씀대로 아기 출생신고할때 같이 여권 만드시면 편하세요. 저희 아이는 한국여권은 한달정도 걸리고 일본여권은 일주일이내였던 기억이 나네요. 저희 아이들 역시 이중국적이고 여권 두개씩 있는데 항상 두개 같이 지참하고 다니구요. 일본이름과 한국이름이 다릅니다. 비행기티켓은 항상 일본이름으로 하고 기본적으로 여권 두개 같이 제출하고 있어요. 남자아이인데 18세가 되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고 해도 거주지가 해외라 아마 군대면제가 된다는 얘길 들었어요. 몇년전 한국에서 이중국적법으로 한창 떠들썩했을땐 이중국적자가
부모형제 다 외국에 사는데 한국국적을 가졌단 이유로 혼자 한국 들어가서 군입대 할 수는 없잖아요. 그런 사람은 대단하다고 뉴스에 크게 나오는건 보긴 했습니다만
주거주지가 한국인데 한국국적을 포기해서 문제가 된걸로 알고 있거든요. 저도 전문가한테 잠깐 들은 얘기라서... 전 아이들 국민처우신청 하고 일본영사관에서 재외국민 신청도 했어요. 만약을 대비해서 해 놓는게 좋다고 해서요. 일본에 뭔 일이 생기기라도 하면 일단 자국민을 우선 처우해준다하고, 혹시 한국 학교로 갈 경우 특례입학이나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유리하다고 하더군요.
국민처우 신청을 하면 한국에선 한국여권, 일본에선 일본여권을 사용해야 됩니다. 근데 요즘엔 국민처우 신청 일부러 안하시는 분도 보긴 했어요. 귀찮다구.한국에 3개월 이하 체류하실거면 안하셔도 되겠지만 나중일 모르는 거니까요. 저도 한국에서 제가 호주이고 남편이 제 배우자로 이름만 달랑 들어있고 아이들이 제 밑으로 제 성따서 들어있는데 동사무소 가셔서 해외거주인지 뭔지 신청하시면 다른건 다 남아있고 의료보험납부 안 하셔도 되는걸로 알아요. 한국들어가실때 다시 살리면 의료혜택 받을수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