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한민족 고유의 옷으로 치마, 저고리, 바지 등이 기본 구성이다.
남자 한복은 실내에 있을 경우 바지, 저고리, 마고자를 입으며, 외출할 때나 의례가 있을 경우에는 마고자 대신 조끼와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이다.
남자 한복 명칭
저고리
남자 저고리는 동정, 길, 깃, 진동, 배래, 고름, 섶, 도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정 : 한복 저고리의 깃 위에 덧대어 꾸미는 흰 헝겊
• 길 :
저고리나 두루마기 같은 웃옷의 섶과 무각주 사이에 있는 넓고 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 도련 :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바지
남자 바지는 마루폭, 작은 사폭, 큰 사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마루폭 : 바지나 고의 따위의 허리에 달아 사폭을 대는 긴 헝겊
• 작은사폭
: 오른쪽 마루폭에 대는 작은 폭의 헝겊
• 큰사폭 : 마루폭과 마루폭 사이(왼쪽 마루폭)에 대는 큰 폭의 헝겊
남자 한복 입는 방법
남자 한복은 버선, 바지, 저고리, 마고자의 순서로 입는다.
버선을 먼저 신고 바지를 입는다. 최근에는 버선 대신 흰 양말을 주로 신는다.
바지를 배 위로 올려서 작은사폭각주 을 큰사폭각주 쪽으로 감싼 후, 허리띠를 묶어 고정한다. 한복의 바지는 배바지로 입는 것이 특징이다.
저고리의 동정각주 이 항상 목을 감싸도록 입고, 뒷목부터 겨드랑이 선까지 일직선이 되도록 정리한다.
실내에서는 저고리 위에 마고자를 입는다. 이 때 마고자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실외에서는 저고리 다음으로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끼 위에 두루마기를 입는다. 먼저 안쪽의 끈을 묶고 바깥 쪽 고름 매기로
마무리한다.
남자 대님 매는 방법
대님은 한복 바지의 가랑이 끝이 나풀거리지 않게 발목에 매는 끈을 말한다. 대님을 맬 때는
바지의 사폭각주 과 마루폭의 시접각주 선에 유의해야 바지가 뒤틀리지 않는다. 대님은 입었을 때 드러나지
않게 바지를 입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마루폭선을 댄다.
발목을 둘러 바깥쪽 복사뼈까지 싸준다.
그 위에 매듭을 두 번 돌려 묶어준다.
매듭이 안 쪽 복사뼈에 오도록 한다.
리본 모양으로 편하게 묶어준다.
대님으로 묶은 윗부분을 잡아당겨 모양새를 내어 정리한다.
남자 고름 매는 방법
고름은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각주 을 여며 고정시키기 위해 가슴 위치에서
맺는 길고 짧은 두 개의 끈이다. 남자 저고리는 옷고름을 잘 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안고름 못지 않게 겉고름을 잘 매야 한다.
오른쪽 짧은 고름을 왼쪽 긴 고름 위에 올려준다.
올려 둔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묶어준다.
아래쪽 긴 고름을 적당히 잡아 반리본 형태로 만들어준다.
짧은 고름으로 반리본 형태의 고름을 아래에서 위로 말아 묶어준다.
고름이 주름지지 않도록 모양새를 가다듬는다.
고름 모양새를 내어 정리한다.
한복 입는 방법 - 박술녀 한복 디자이너 인터뷰
한복 입는 방법(남자) - 박술녀 한복 디자이너
인터뷰동영상
원출처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첫댓글 .
한복이 보기보다 입어보면 그렇게도 편안할 수 없지요.
옛날에는 즐거이 입었는데 언제 또 입어볼 수 있을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