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6년 한불 조약을 계기로 100여 년에 걸친 천주교에 대한 박해 정책은 끝이 났지만 지방에서는 소규모의 박해 사건들이 빈발했다. 더욱이 어떤 사건은 공식 박해를 능가할 정도로 대규모로 진행되기도 했다. 그중의 하나가 1901년 신축년에 발생한 제주도 교난 사건이다. 흔히 '신축년 제주도 민란'이라 불리는 이 사건은 700여 명의 교우를 포함해 모두 900여 명의 희생자를 낸 엄청난 사건이었다.
민란이 일어난 1901년은 신앙의 자유가 허용된 지 10년이 지났을 때였고 가톨릭 선교사가 제주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활동한 지 채 2년이 못 된 때였다. 1899년 5월 제주에 처음 발을 디딘 선교사는 프랑스 페이네 신부와 한국인 김원영 신부였다. 이듬해에는 두 신부의 후임으로 라크루(Marcel Lacrouts, 具瑪瑟) 신부와 무세(Jean-Germain Mousset, 文濟萬) 신부가 부임했고 당시 교세는 교우 242명에 예비자가 700명이었다.
이 무렵 제주에는 봉세관(捧稅官)이라는 제도에 대한 도민들의 원성이 높아 가고 있었다. 봉세관이란 민란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900년에 신설된 세제로서 민초들로부터 세금을 더욱 악랄하게 거두어들이기 위한 제도였다. 서울에서 파견된 봉세관은 해당 지방의 백성들로부터 온갖 잡세를 거두어들였던 것이다.
지방의 토착 관료들과 제주에 진출해서 어업 이권을 쥐고 있던 일본인 밀어 업자들은 자신들의 이권이 달려 있던 이 문제를 둘러싸고 봉세관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을 교묘하게 이용하려 했다. 이들은 온갖 방법을 써서 당시 민중들의 불만을 천주교인들에 대한 반감으로 돌림으로써 무수한 인명을 희생시킨 제주 교난을 발생시킨 원흉이었다.
당시 제주도에는 일본인들이 뒤에서 후원한 지방 관리와 토호들의 조직인 사설상무사(私設商務社)라는 것이 있었다. 이는 제주 도민이 일본인과 경제적으로 결탁한 조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주목적은 중앙 정부의 세제에 대한 반발과 외세에 대한 저항을 기반으로 해서 자신들의 탐욕을 만족시키기 위한 착취였다.
이런 상황을 이용해서 마침내 1901년 5월 대정 군수 채구석과 강우백, 이재수 그리고 유림의 좌수 오대현은 도민들을 규합하고 일본 상인들과 결탁해 그들로부터 입수한 무기로 무장한 뒤 봉세관과 교회가 있는 제주 읍성을 포위한 채 닥치는 대로 천주교인들을 잡아 죽였던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라크루 신부는 교우들을 이끌고 제주읍을 방어하는 한편 중국 상해에 있는 프랑스 함대에 구원 요청을 했다. 하지만 결국 5월 29일 제주성은 함락되고 많은 교우들은 이미 관덕정에서 피살되어 주검으로 변해 있었다.
이에 그들은 제주 목사에게 이들을 매장할 공동 안장지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 약속을 받았다. 그러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시신들은 제주읍에서 조금 떨어진 산기슭에 버려지듯 묻혔다.

그 후 프랑스 공사가 조선 조정에 편지를 보내 이 문제에 대해 조속히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고 1903년 1월 제주 목사로 부임한 홍종수와 구마슬 신부와의 접촉을 시발점으로 프랑스 공사와 조선 조장과의 교섭이 원만히 진행되어 같은 해 4월에 황사평을 그 매장지로 양도받았다.
당시 별도봉 밑에 묻혀 있던 피살된 교인들의 연고가 있는 분묘는 이미 다른 곳으로 이장해 간 상태였으므로, 그 나머지 무연고 시신들만 이곳 황사평에 이장했는데 그 수는 합장한 묘를 합해 26기의 분묘에 시신 28구였다.
이곳 황사평은 총 면적이 약 18,000평으로 신축교난 시의 순교자들 뿐만 아니라 현재 제주 교구의 공동 안장지로도 사용하고 있다. 1980년에 황사평 교회 묘지를 공원 묘지로 공사를 하면서 울타리 석축 공사와 성상들을 건립하고 순교자들의 묘를 평장으로 이장했다가 제주 교구 선교 100주년을 준비하면서 재차 단장을 하게 됐고 모두 합해 28기의 유해를 합장하여 오늘에 이른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김기량 순교비
황사평 순교자 묘역 내부의 오른쪽에 세워져 있다. 김기량(펠릭스 베드로)은 이 고장 출신으로 처음 영세 입교한 분이다. 제주도에 사제가 입도하여 공식으로 선교활동을 시작하기 43년 전에 하느님의 자녀가 된 그는 이 땅에 신앙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열성으로 힘쓰다가 마침내 장엄한 순교로 하느님께 영광을 돌려 드렸다.
함덕리 출신으로 무역업을 하던 김기량은 1857년, 서해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중국 광동해역까지 표류하다가 영국배에 구조된다. 홍콩으로 간 그는 이 곳에 와 있던 페낭(Penang) 신학교 조선인 신학생의 가르침으로 영세 입교한다. 1858년에 귀국한 그는 서울에서 페롱(Feron) 권 신부와 최양업(토마스) 신부를 만나 교회 서적을 얻고 제주도에 돌아온다. 고향에 온 그는 구원의 진리를 전파하는 데 힘씀으로써 40여명을 입교케 하였다.
김기량은 이 신자들을 보살펴 줄 신부를 파견해 주도록 베르뇌(Berneux) 장 주교에게 용청하여 승인을 받는다. 그러나 1866년 병인박해로 말미암아 이 약속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박해가 한창 진행 중일 때 그는 새로 신앙을 받아들인 이들을 영세시키기 위하여 육지부로 나가다가 통영 앞바다에서 관헌에게 체포된다. 모진 고문에 이어 가슴에 대못을 박는 처형으로 목숨이 끊어지기까지 떳떳이 하느님을 증거하면서 마침내 장렬한 순교로 하느님 품에 안겼다.
김기량은 목숨을 바쳐 주님을 증거하는 모범을 보여 준 우리 신앙의 선조이다. 그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길이 믿음의 빛을 밝히며, 이 고장에 구원의 길을 확장해 가는 등불이 될 것이다.
외국인 선교사제 공덕비
황사평 순교자 묘역 왼쪽에 조성된 성직자 묘역에 세워져 있다. 1899년에 공식 설립된 제주교회는 초창기의 어려움 속에서도 외국인 선교 사제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터전이 잡혀갔다. 이역 만리 먼 땅인 제주도에서 선교활동을 하며 복음의 씨앗을 뿌리는 데 큰 몫을 담당했던 것은 파리 외방전교회와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소속 성직자들이었다. 지난 100여년 동안 제주도에는 55명의 외국인 사제들이 사목활동을 했고 기금도 활동 중이다. 그중 이미 선종한 16명의 명단이 공덕비에 새겨져 있다. [출처 : 제주교구 홈페이지]
황사평 - 신축 교안의 순교자 묘역
1901년 5월 5일, 제주도 남쪽의 대정 지역에서는 '상무사'(商務社) 회원들이 천주교 신자들을 색출하여 난행하기 시작하였다. 상무사는 지역민들이 설립한 사설 단체로 천주교 세력이 퍼져 나가는 것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던 터에 부당한 세금, 지방민과 교인들의 알력, 서양과 일본 세력의 제주도 진출 등이 문제가 되지 이를 계기로 자신들의 세력을 확대시키려고 하였다. 제주의 신축 교안(辛丑敎案)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당시 제주에 복음이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면 이러하다. 박해 이후 한 명의 신자도 없던 제주에 복음을 전해야겠다고 생각한 제8대 조선교구장 뮈텔 주교는 1898년 4월 22일 '제주 본당'을 설립함과 동시에 프랑스 선교사 페네(Peynet, 배) 신부와 한국인 김원영(아우구스티노) 신부를 제주로 파견하였다. 이듬해 페네 신부는 육지로 전임되고 라크루 신부가 새로 부임하였으며, 김 신부는 한라산을 넘어 서귀포의 한논(大沓)에 정착함으로써 새 본당을 설립하였다. 김원영 신부의 활동은 실로 눈부셨다. 그의 전교 덕택에 교안 발발 직전까지 제주의 교세는 2개 본당에 신자 수 241명, 예비신자 수 620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교안은 5월 5일부터 6월 초까지 20여 일 계속되었다. 처음 상무 사원들이 들고일어났을 때, 라크루 신부와 김원영 신부는 피정차 육지에 나와 있었으므로 이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한편 뮈텔 주교는 피정 중에 인사 이동을 결정하여 김원영 신부를 육지에 남기는 대신 무세(Mousset, 문) 신부를 한논 본당에 임명하였다. 5월 10일 라크루 신부와 무세 신부는 제주에 들어가 제주성에 갇혀 있는 신자들과 생사를 함께하였으며, 5월 28일에는 제주성이 난민들에게 함락되면서 많은 신자들이 학살되었다.
폭도들은 그들을 원망하는 사람들을 끌어내 교수형에 처했습니다. 여자 교우들의 새로운 학살 소식과 화재 소식이 도처에서 들려왔습니다. 김원영 신부의 회장인 박 고스마는 묶인 채 매를 맞고 쓰러졌습니다. … 그 곳에 저의 복사 아우구스티노가 있다가 도망쳐 왔습니다. 동헌 마당으로부터 거친 소리들이 들려왔고, '천주교 아이놈은 어디에 있느냐?'는 외침도 들렸습니다. 벽장에 숨어 있던 아우구스티노는 마침내 폭도들에게 붙잡혔습니다.
아, 하느님, 제 아이가 잡혔습니다. 그는 고문을 당했고, 폭도들은 그 아이의 빰에 총을 들이대고 여러 차례 발포했습니다. "아버지, 아버지시여 … 예수님, 성모님 …." 아우구스티노는 이렇게 말하여 살해되었습니다(라크루 신부가 뮈텔 주교에게 보낸 1901년 6월 11일자 서한).
교안의 결과 천주교 신자와 예비신자 중에서 약 300명이 희생되었다. 그러나 기록의 미비로 신자와 비신자, 순교자와 단순 희생자를 규명해 내기는 쉽지 않다. 다만 라크루 신부의 다음 기록을 빌리면, 복사 신재순(아우구스티노)과 같은 경우에는 신앙 증거자라고 불러도 좋을 것 같다. "18세의 젊은이로 순진하고 양식을 갖춘 가톨릭 신자였고, 천사와 같은 삶을 살았으며, 헌신적이었고, 그 밖에도 많은 장점을 갖추고 있었다"(위의 서한 참조).
어느 정도 평정을 되찾은 뒤 교안 희생자들의 시신은 관덕정 앞에 모아졌고, 그 가운데 대부분은 가족들이 다른 곳으로 옮겼다. 이 때 연고가 없는 시신들은 5월 말에 일단 사라봉(제주시 화북동) 아래에 묻혔다가 2년이 지난 1903년 4월에 매장지가 황사평(당시 화북 2동의 황새왓)으로 결정되면서 모두 이 곳으로 이장되었다. 이후 제주 신자들은 황사평을 순교자 묘역으로 생각하여 해마다 현양 행사를 개최해 왔으며, 1995년에는 순교자들의 유해를 한곳에 모은 합장묘를 조성하면서 묘역을 새로 단장하여 순교 사적지로 가꾸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254호(2000년 3월호), pp.7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