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5일 방송된 SBS 금토드라마 '악귀'에서는 주인공 구산영(김태리 분)이 아버지 구강모(진선규 분)가 자신에게 말한 '어쩔 수 없었다'라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게 됐다. 갑자기 눈앞이 깜깜해졌다가 다시 돌아오는 증상을 겪은 구산영은 안과를 찾았는데, 자신이 아버지 구강모와 같은 '시신경위축'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 구산영은 아버지처럼 어쩔 수 없이 '악귀'를 선택해야 하는지 혼란에 빠졌다. 구강모와 구산영이 앓는 '시신경위축'은 유전적 요인이 큰 질환으로 일과성 흑암시 증상이 악화되다가 결국 시력을 잃게 되는 희귀병이다. 악귀를 받아들여야 하는지 선택의 기로에 선 구산영이 앓는 '시신경위축'에 대해서 알아본다
재생 어려운 시신경이 손상된 ‘시신경위축’…심하면 실명까지 시신경은 망막에서 받아들이는 빛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사물을 인지하는 것은 뇌가 눈이 보내는 신호를 해석하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길이 약 50cm 정도에 달하는 시신경은 TV의 케이블과 같은 것으로 여러 갈래의 신경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신경이 손상되면 뇌는 시각 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시신경위축은 시신경유두가 퇴색되고 창백해지면서 시력 감퇴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시력 감소, 시야 결손뿐 아니라 심각할 경우 최대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시신경은 다치기 쉽고 재생 기능이 없어 한번 파괴되면 다시 회복되기 어렵다. 그러나 약 120만 개에 달하는 신경섬유 중 일부만 시신경위축이 발생했을 경우 치료의 여지가 있다. 손상이 적은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한다면 남은 신경 섬유로 어느 정도 시야와 시야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유용성 원장(누네안과병원)은 "시신경위축은 염증, 혈류순환 저하, 녹내장, 외상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위축은 간혹 시신경 염증으로 오해되기도 하는데, 시신경 염증은 시신경에 일부 또는 전체에 염증이 생겨 신경섬유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통증과 함께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인 시력장애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