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회 (10월 12일 시행)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험 후 공개한 시험문제를 재구성한 것으로 문제 순서와 일부 지문은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출제의도로 볼 수 있는 키워드 및 사전적 정의는 유지하였고, 답항 순서와 일부 지문을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답안에 해당하는 지문, 용어, 이미지는 유지하였습니다.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문제 파일은 각 회차별 CBT 내에 첨부하였습니다.
|
|
|
|
기출문제 랜덤모의고사
|
1. 다음 중 넓은 잔디밭을 이용한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정원 양식은 무엇인가?
① 다정식
② 회유임천식
③ 고산수식
④ 전원풍경식
2. 주축선을 따라 설치된 원로의 양쪽에 짙은 수림을 조성하여 시선을 주축선으로 집중시키는 수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테라스(terrace)
② 파티오(patio)
③ 비스타(vista)
④ 퍼골러(pergola)
3. 물체의 절단한 위치 및 경계를 표시하는 선은?
① 실선
② 파선
③ 1점쇄선
④ 2점쇄선
4. 다음 중 점층(漸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조경재료의 형태나 색깔, 음향 등의 점진적 증가
② 대소, 장단, 명암, 강약
③ 일정한 간격을 두고 흘러오는 소리, 다변화 되는 색채
④ 중심축을 두고 좌우 대칭
5. 안정감과 포근함 등과 같은 정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경관은?
① 파노라마 경관
② 위요 경관
③ 초점 경관
④ 지형 경관
6. 황금비는 단변이 1 일 때 장변은 얼마인가?
① 1.681
② 1.618
③ 1.186
④ 1.861
7. 골프장에 사용되는 잔디 중 난지형 잔디는?
① 들잔디
② 벤트그라스
③ 캔터키블루그라스
④ 라이그라스
8. 미기후에 관련된 조사항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대기오염정도
② 태양복사열
③ 안개 및 서리
④ 지역온도 및 전국온도
9. 다음 정원의 개념을 잘 나타내는 중정은?
- 무어 양식의 극치라고 일컬어지는 알함브라(Alhambra)궁의 여러 개 정(Patio) 중 하나이다.
- 4개의 수로에 의해 4분되는 파라다이스 정원이다.
- 가장 화려한 정원으로서 물의 존귀성이 드러난다.
① 사자의 중정
② 창격자 중정
③ 연못의 중정
④ Lindaraja Patio
10. 우리나라 고려시대궁궐 정원을 맡아보던 곳은?
① 내원서
② 상림원
③ 장원서
④ 원야
11. 우리나라에서 한국적 색채가 농후한 정원양식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는 때는?
① 통일신라
② 고려전기
③ 고려후기
④ 조선시대
12. 이탈리아 정원양식의 특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테라스 정원
② 노단식 정원
③ 평면기하학식 정원
④ 축선상에 여러 개의 분수 설치
13. 버킹검의 「스토우 가든」을 설계하고, 담장 대신 정원 부지의 경계선에 도랑을 파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은 ha-ha 수법을 실현하게 한 사람은?
① 켄트
② 브릿지맨
③ 와이즈맨
④ 챔버
14. 다음 설명 중 중국 정원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차경수법을 도입하였다.
②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수법이 유행하였다.
③ 사의주의보다는 상징적 축조가 주를 이루는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조경이 구성되었다.
④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인위적으로 암석과 수목을 배치하였다.
15. 19세기 미국에서 식민지시대의 사유지 중심의 정원에서 공공적인 성격을 지닌 조경으로 전환되는 전기를 마련한 것은?
① 센트럴 파크
② 프랭클린 파크
③ 비큰히드 파크
④ 프로스펙트 파크
16. 재료가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은?
① 취성(脆性)
② 인성(靭性)
③ 연성(延性)
④ 전성(廛性)
17. 해사 중 염분이 허용한도를 넘을 때 철근콘크리트의 조치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연도금 철근을 사용한다.
② 방청제를 사용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③ 살수 또는 침수법을 통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④ 단위시멘트량이 적은 빈배합으로 하여 염분과의 반응성을 줄인다.
18. 시멘트의 응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멘트와 물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작용이다.
② 수화에 의하여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하는 현상이다.
③ 시멘트 겔이 서로 응집하여 시멘트입자가 치밀하게 채워지는 단계로서 경화하여 강도를 발휘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④ 저장 중 공기에 노출되어 공기 중의 습기 및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가벼운 수화반응을 일으켜 탄산화하여 고화되는 현상이다.
19. 합성수지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기밀성, 접착성이 크다.
② 비중에 비하여 강도가 크다.
③ 착색이 자유롭고 가공성이 크므로 장식적 마감재에 적합하다.
④ 내마모성이 보통 시멘트콘크리트에 비교하면 극히 적어 바닥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다.
20. 우리나라에서 식물의 천연분포를 결정짓는 가장 주된 요인은?
① 광선
② 온도
③ 바람
④ 토양
21. 다음 중 공기 중에 환원력이 커서 산화가 쉽고,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금속은?
① Pb
② Fe
③ Al
④ Cu
22. 점토제품 제조를 위한 소성(燒成) 공정순서로 맞는 것은?
① 예비처리-원료조합-반죽-숙성-성형-시유(施釉)-소성
② 원료조합-반죽-숙성-예비처리-소성-성형-시유
③ 반죽-숙성-성형-원료조합-시유-소성-예비처리
④ 예비처리-반죽-원료조합-숙성-시유-성형-소성
23. 다음 중 훼손지비탈면의 초류종자 살포(종비토뿜어붙이기)와 가장 관계없는 것은?
① 종자
② 생육기반재
③ 지효성비료
④ 농약
24. 돌을 뜰 때 앞면, 뒷면, 길이 접촉부 등의 치수를 지정해서 깨낸 돌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견치돌
② 호박돌
③ 사괴석
④ 평석
25. 화강암(granit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② 구조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③ 내화도가 높아 가열시 균열이 적다.
④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큰 판재를 생산할 수 있다.
26. 인조목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제작시 숙련공이 다루지 않으면 조잡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② 목재의 질감은 표출되지만 목재에서 느끼는 촉감을 맛 볼 수 없다.
③ 안료를 잘못 배합하면 표면에서 분말이 나오게 되어 시각적으로 좋지 않고 이용에도 문제가 생긴다.
④ 마모가 심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27. 목재의 구조에는 춘재와 추재가 있는데 추재(秋材)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세포는 막이 얇고 크다.
② 빛깔이 엷고 재질이 연하다.
③ 빛깔이 짙고 재질이 치밀하다.
④ 춘재보다 자람의 폭이 넓다.
28. 수목의 여러 가지 이용 중 단풍의 아름다움을 관상하려 할 때 적합하지 않은 수종은?
① 신나무
② 침엽수
③ 화살나무
④ 팥배나무
29. 호랑가시나무(감탕나무과)와 목서(물푸레나무과)의 특징 비교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호랑가시나무의 잎은 마주나며 얇고 윤택이 없다.
② 목서의 꽃은 백색으로 9~10월에 개화한다.
③ 호랑가시나무의 열매는 0.8~1.0㎝로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④ 목서의 열매는 타원형으로 이듬해 10월경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30. 다음 중 조경수목의 생장 속도가 빠른 수종은?
① 둥근향나무
② 감나무
③ 모과나무
④ 삼나무
31. 다음 중 방풍용수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양질의 토양으로 주기적으로 이식한 천근성 수목
②일반적으로 견디는 힘이 큰 낙엽활엽수보다 상록활엽수
③ 파종에 의해 자란 자생수종으로 직근(直根)을 가진 것
④ 대표적으로 소나무, 가시나무, 느티나무 등 임
32.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호랑가시나무
② 먼나무
③ 꽝꽝나무
④ 소태나무
33. 다음 설명에 적합한 수목은?
- 감탕나무과 식물이다.
- 자웅이주이다.
- 상록활엽수 교목으로 열매가 적색이다.
- 잎은 호생으로 타원상의 육각형이며 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각점(角點)이 있다.
- 열매는 구형으로서 지름 8~10㎜이며, 적색으로 익는다.
① 감탕나무
② 낙상홍
③ 먼나무
④ 호랑가시나무
34. 다음 중 황색의 꽃을 갖는 수목은?
① 모감주나무
② 조팝나무
③ 박태기나무
④ 산철쭉
35. 일반적으로 봄 화단용 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맨드라미, 국화
② 데이지, 금잔화
③ 샐비어, 색비름
④ 칸나, 메리골드
36. 측량에서 활용되는 정지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지구전체를 둘러쌌다고 사상한 곡면?
① 타원체면
② 지오이드면
③ 물리적지표면
④ 회전타원체면
37. 조경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할 때 응급조치를 잘못 취한 것은?
① 기계의 작동이나 전원을 단절시켜 사고의 진행을 막는다.
② 현장에 관중이 모이거나 흥분이 고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③ 사고 현장은 사고 조사가 끝날 때까지 그대로 보존하여 두어야한다.
④ 상해자가 발생시는 관계 조사관이 현장을 확인 보존 후 이후 전문의의 치료를 받게 한다.
38. 조경시설물의 관리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름철 그늘이 필요한 곳에 차광시설이나 녹음수를 식재한다.
② 노인, 주부 등이 오랜 시간 머무는 곳은 가급적 석재를 사용한다.
③ 바닥에 물이 고이는 곳은 배수시설을 하고 다시 포장한다.
④ 이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충분히 조이거나 용접한다.
39. 다음 그림과 같은 비탈면 보호공의 공종은?
① 식생구멍공
② 식생자루공
③ 식생매트공
④ 줄떼심기공
40. 벽 뒤로부터의 토압에 의한 붕괴를 막기 위한 공사는?
① 옹벽쌓기
② 기슭막이
③ 견치석쌓기
④ 호안공
41.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라이애시를 적당량 사용한다.
② 세장한 골재보다는 둥근골재를 사용한다.
③ 중량골재와 경량골재 등 비중차가 큰 골재를 사용한다.
④ AE제나 AE감수제 등을 사용하여 사용수량을 감소시킨다.
42. 콘크리트의 크리프 (creep)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재의 건조 정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② 양생, 보양이 나쁠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③ 온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④ 단위수량이 적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43. 각 재료의 할증률로 맞는 것은?
① 이형철근 : 5%
② 강판 : 12%
③ 경계블록(벽돌) : 5%
④ 조경용수목 : 10%
44. 다음 중 호박돌 쌓기에 이용되는 쌓기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자 줄눈 쌓기
② 줄눈 어긋나게 쌓기
③ 평석 쌓기
④ 이음매 경사지게 쌓기
45. 흙은 같은 양이라 하더라도 자연상태(N)와 흐트러진 상태(S), 인공적으로 다져진 상태(H)에 따라 각각 그 부피가 달라진다. 자연상태의 흙의 부피(N)를 1.0으로 할 경우 부피가 큰 순서로 적당한 것은?
① H > N > S
② N > H > S
③ S > N > H
④ S > H > N
46. 벽면적 4.8m² 크기에 1.5B두께로 붉은벽돌을 쌓고자 할 때 벽돌의 소요매수는? (단, 줄눈의 두께는 10㎜이고, 할증률을 고려한다.)
① 925매
② 963매
③ 1109매
④ 1245매
47. 마운딩(mounding)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효토심확보
②자연스러운 경관 연출
③ 공간연결의 역할
④ 배수방향조절
48. 과습지역 토양의 물리적 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암거배수 시설설치
② 명거배수 시설설치
③ 토양치환
④ 석회시용
49. 다음 중 토양수분의 형태적 분류와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결합수(結合水) - 토양 중의 화합물의 한 성분
② 흡습수(吸濕水) - 흡착되어 있어서 식물이 이용하지 못하는 수분
③ 모관수(毛管水) -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수분의 대부분
④ 중력수(重力水) - 중력에 내려가지 않고 표면장력에 의하여 토양입자에 붙어있는 수분
50. 단풍나무를 식재 적기가 아닌 여름에 옮겨 심을 때 실시해야 하는 작업은?
① 뿌리분을 크게 하고, 잎을 모조리 따내고 식재.
② 뿌리분을 적게 하고, 가지를 잘라낸 후 식재
③ 굵은 뿌리는 자르고, 가지를 솎아내고 식재
④ 잔뿌리 및 굵은 뿌리를 적당히 자르고 식재
51. 개화를 촉진하는 정원수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해준다.
② 물을 되도록 적게 주어 꽃눈이 많이 생기도록 한다.
③ 깻묵, 닭똥, 요소, 두엄 등을 15일 간격으로 시비한다.
④ 너무 많은 꽃봉오리는 솎아낸다.
52. 소나무류는 생장조절 및 수형을 바로잡기 위하여 순따기를 실시하는데 대략 어느 시기에 실시하는가?
① 3~4월
② 5~6월
③ 9~10월
④ 11~12월
53. 일반적으로 근원직경이 10㎝인 수목의 뿌리분을 뜨고자할 때 뿌리분의 직경으로 적당한 크기는?
① 20㎝
② 40㎝
③ 80㎝
④ 120㎝
54. 다음 중 일반적으로 전정시 제거해야 하는 가지가 아닌 것은?
① 도장한 가지
② 바퀴살 가지
③ 얽힌 가지
④ 주지(主枝)
55. 수목의 전정작업 요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부는 가볍게, 하부는 강하게 한다.
② 우선나무의 정상부로부터 주지의 전정을 실시한다.
③ 전정작업을 하기 전 나무의 수형을 살펴 이루어질 가지의 배치를 염두에 둔다.
④ 주지의 전정은 주간에 대해서 사방으로 고르게 굵은가지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하(上下)로도 적당한 간격으로 자리 잡도록 한다.
56. 꺾꽂이(삽목)번식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생묘에 비해 개화결실이 빠르다.
② 봄철에는 새싹이 나오고 난 직후에 실시한다.
③ 왜성화할 수도 있다.
④ 20~30℃의 온도와 포화상태에 가까운 습도조건이면 항상 가능하다.
57. 수목의 키를 낮추려면 다음 중 어떠한 방법으로 전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① 수액이 유동하기 전에 약전정을 한다.
② 수액이 유동한 후에 약전정을 한다.
③ 수액이 유동하기 전에 강전정을 한다.
④ 수액이 유동한 후에 강전정을 한다.
58. 잎응애(spider m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당벌레, 풀잠자리, 거미 등의 천적이 있다.
② 절지돌물로서 거미강에 속한다.
③ 5월부터 세심히 관찰하여 약충이 발견되면, 다이아지논 입제 등 살충제를 살포한다.
④ 육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응애 피해를 다른 병으로 잘못 진단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59. 흡즙성 해충의 분비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병은?
① 흰가루병
② 혹병
③ 그을음병
④ 점무늬병
60. 잔디의 잎에 갈색 병반이 동그랗게 생기고, 특히 6~9월경에 벤트그라스에 주로 나타나는 병해는?
① 녹병
② 브라운패치
③ 황화병
④ 설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