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Price Book-value Ratio) :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1주당 순자산
주가 순자산 비율로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며, 금융주 등 자산주 평가시 유용함. 여기서 순자산이란 대차대조표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자산을 말하며, PBR은 재무내용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
(사례) A.B.C의 기업들이 각각 1만원인 주가를 형성한다고 하면,
A는 1주당 순자산1만원, B는 1주당 순자산2만원, C는 1주당 순자산5000원이라 가정,
A=10000/10000=1 PBR 로, 주가가 1 주당 자산가치와 같고
B=10000/20000=0.5 PBR로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저평가
C=10000/5000=2 PBR로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고평가 되었다.
주식시장에서 PBR이 1보다 낮은 기업들이 각광 즉, 매출이익으로 인한 수익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부동산이나 설비, 기타 유동자금들을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
사례에서 B기업은 PBR이 0.5로 나와 저평가 되었으며, 목표가격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계산,
B = 10000/20000 = 0.5PBR인데, PBR이 1 이 된다면 주가가 1주당 순자산과 같아서 목표가격이 된다. PBR 1 = 주가/20000, 주가 = PBR 1 * 20000 = 20000원
그래서 B 기업의 미래 주가 목표치는 20000원, 현재가가 10000원이니 애널리스트들은 목표가를 20000원으로 제시, 저평가 종목으로 매수추천.
주식의 시장가치를 가장 최근의 장부가치(주주자본이나 순자산이라고 한다)와 비교하는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PBR)이다. 이 방법은 미래의 이익이나 현금흐름은 순간적인 것이므로 믿을 수 있는 것은 현재의 기업 유형자산의 순가치밖에 없다고 가정한다. 워렌 버핏의 정신적 스승이자 전설적인 가치투자자인 벤자민 그레이엄은 주식 평가 시 장부가치와 PBR의 중요성을 크게 옹호한 사람이었다.
PBR은 오늘날에도 쓸모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은 그레이엄의 시대와 많이 다르다. 공장이나 토지, 철도, 재고, 다시 말해 객관적인 유형적 가치를 소유한 자본집약적인 기업이 지배하던 시장에서는 회계적인 장부가치에 근거해 기업을 평가하는 것이 이치에 맞았다. 어쨌든 이런 유형자산들은 유동화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업 현금흐름의 큰 원천이 되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프로세스나 브랜드 네임, 데이터베이스처럼 장부가치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무형자산을 토대로 부를 창조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회사의 경우 PBR의 중요성은 더욱 떨어진다. 가령 PBR를 이용해서 이베이을 평가한다면 이 회사의 시장지배력의 가치는 전혀 측정하지 못할 것이다. 시장 지배력이 이 회사를 성공으로 이끈 단 하나의 커다란 요인이었음에도 말이다. 주가순자산비율은 3M과 같은 제조회사에 대해서도 잘못된 판단을 야기할 수 있다. 이 회사의 가치중 상당부분은 대규모 공장이나 재고량이 아니라 브랜드 네임과 혁신적인 제품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주가매출비율이 순이익률(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과 깊은 인연이 있듯, 주가순자산비율은 자기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을 장부가치로 나눈값)과 연관성이 높다. 두 회사가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되 한 쪽의 ROE가 더 높아서 PBR도 더 높다고 가정해보자. 가령 지난 5년 동안 노키아의 PBR는 평균 14였지만 모토롤라의 PBR은 3.1이었다. 이러한 차이의 한 가지 주요 원인은 같은 기간 모토롤라의 평균 ROE는 3%였던 반면 노키아의 평균 ROE는 29%나 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장부상의 순자산을 높은 비율로 올릴수록 장부가치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회사의 가치가 더 높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PBR를 ROE와 연계해서 관찰해야 한다. 경쟁사나 시장에 비해 PBR가 낮고 ROE가 높은 기업은 비교적 싼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PBR에만 근거해서 괜찮은 주식이라고 판단을 내리기 전에 몇 가지를 더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첫댓글 좋은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