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수출 480.1억달러(+11.4%), 수입 440.5억달러(+3.1%) |
□ (수출) 1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1.4% 증가한 480.1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6.6→(2)+3.6→(3)△1.8→(4)△25.6→(5)△23.7→(6)△10.9
→(7)△7.1→(8)△10.3→(9)+7.2→(10)△3.8→(11)+4.1→(12)+12.6→(‘21.1)+11.4
ㅇ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6.4% 증가한 21.3억달러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1)+4.2→(2)△12.5→(3)△7.9→(4)△18.9→(5)△18.4→(6)△18.5
→(7)△7.1→(8)△4.2→(9)△4.4→(10)+5.4→(11)+6.3→(12)+7.9→(‘21.1)+6.4
□ (수입) 1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한 440.5억달러
ㅇ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며, 수입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진행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음
* 수입 증감률(%):(’20.1)△5.4→(2)+0.9→(3)△0.5→(4)△15.8→(5)△20.6→(6)△10.8
→(7)△11.2→(8)△15.7→(9)+1.7→(10)△5.6→(11)△1.9→(12)+2.2→(‘21.1)+3.1
□ (무역수지) 1월 무역수지는 39.6억달러 흑자 (9개월 연속 증가)
【 1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백만달러,%,관세청) |
구 분 | 2020년 | 2020년 | 2021년 |
1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수 출 | 43,109(△6.6) | 44,877(△3.8) | 45,840(+4.1) | 51,410(+12.6) | 48,012(+11.4) |
| (일평균) | 2,005(+4.2) | 2,137(+5.4) | 1,993(+6.3) | 2,142(+7.9) | 2,134(+6.4) |
수 입 | 42,712(△5.4) | 39,086(△5.6) | 39,936(△1.9) | 44,638(+2.2) | 44,052(+3.1) |
무역수지 | 398 | 5,791 | 5,904 | 6,772 | 3,960 |
□ (품목) 15대 주요품목 중 12개 품목이(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철강・선박
・차부품・무선통신기기・디스플레이・가전・컴퓨터・바이오・이차전지) 증가
ㅇ (증가 품목) 12개 중 9개는(반도체・선박・디스플레이・차부품・무선통신기기・컴퓨터・바이오헬스・이차전지・가전) 3개월 이상 연속 증가
* 8개 품목의 연속 증가 기간 : 바이오헬스(17개월), 컴퓨터(16개월), 반도체・가전(7개월), 이차전지(5개월), 디스플레이(4개월), 선박・무선통신기기・차부품(3개월)
-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은 각각 2, 4, 26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
ㅇ (감소 품목) 지난달 증가했던 일반기계, 섬유는 이번 달은 나란히 한 자리 감소했으며, 석유제품(△46.0%)은 저유가로 부진 지속
【 1월 품목별 수출 증감률(%) 】 |
반도체 | 일반기계 | 자동차 | 철 강 | 석유화학 | 선 박 | 디스플레이 | 차부품 |
+21.7 | △4.8 | +40.2 | +6.0 | +8.6 | +23.4 | +32.2 | +3.9 |
무통기기 | 컴퓨터 | 섬 유 | 석유제품 | 이차전지 | 바이오헬스 | 가 전 | 총 계 |
+58.0 | +5.7 | △7.9 | △46.0 | +9.9 | +66.5 | +19.1 | +11.4 |
□ (지역) 9대 지역 중 5개 지역으로의 수출이 증가
ㅇ (증가 지역) 중국・미국・EU・인도・중남미 5개 지역으로 수출이 증가
- 미국・EU 수출은 5개월 연속, 중국・인도・중남미 수출은 3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감
ㅇ (감소 지역) 지난 달 플러스였던 對아세안, 對일본 수출은 이번 달 감소했으며, CIS와 중동은 각각 3개월, 10개월 연속으로 감소함
【 1월 지역별 수출 증감률(%) 】 |
중 국 | 미 국 | EU* | 아세안 | 일 본 |
+22.0 | +46.1 | +23.9 | △15.2 | △8.5 |
중남미 | 중 동 | 인 도 | CIS | 총 계 |
+7.9 | △13.2 | +3.4 | △19.9 | +11.4 |
※ 브렉시트 전환기간이 종료되면서(’20.12.31일), EU 회원국은 28개국에서 영국 제외 27개국으로 변경
※ 상기 증감률 +23.9%는 영국 제외 27개국 간의 증감률(영국 포함한 28개국 간 비교시 +2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