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여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 보리는 남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지요
그러므로 벼에는 수염이. 없으나
보리에는 수염이 있습니다
그리고 쌀밥은 부드럽고 감미로워서 먹기에 좋으나
보리밥은 거칠고 쌀밥처럼 달콤하지 않습죠
조물주의 섭리는 (지구가 조물주라고 생각함) 참으로 오묘해서
'물'과 '불'은 서로 상극이면서도 둘이 만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도록 섭리해 놓았지요
여성과 밭은 火性이며 남성과 논은 水性인데
남성인 보리는 화성인 밭에서 생육하고
여성인 벼(쌀)는수성인 논에서 생육합니다
이는 곧 남녀간에 서로 다른 이성이. 없이는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여성인 벼는 어릴때부터 성장한 묘판에 그대로 두면
벼 구실을 못함으로 반드시 남성의 집인 논으로 옮겨 심어야 하고
남성인 보리는 싹이 난 바로 그 자리에서 옮기지 않고 계속 살아갑니다
이들 생태가 말해주는 것은.
여성은 시집을 가서 살아야 정상적인 여자 구실을 할 수 있고
남자는 성장한 자기 집에서 살아가는 것이 정상임을 일께워 줍니다
여성들의 가장 큰 비애가 시집가는 일이라고도 할 수가 있으나
이것은 지구가 만들어둔 환경에 의한 자연적인 섭리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세상에는 간혹, 아들이 없거나 재물이 많은 집에서는 딸자식을 시집 보내 되
사위를 맞아들여 살게 하는 (데릴사위) 부모들을 볼 수 있는데
이랗게 되면 딸은 여자 구실을 못하게 되고 사위 또한 남자 구실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벼와 보리는 어릴때는 똑같이 고개를 숙이지 않으나
익을수록 벼(여자)는 고개를 숙이지만 보리는(남자) 익어도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그래서 보리의 성을 지닌 남성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아내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는
천성이 있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고 교양이 있어 속이 찬 여인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는 미덕을 갖게 되며 이런 여성을 품성 갖춘 현모양처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여성인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고 나이든 여성들은 남성들의
천성을 체험을 통해 이해하게 되므로 머리를 숙이며 이해하고 참아줍니다
여인의 그런 품성 덕분에 가정에 평화가 있고 변함없는 부부의 애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꼿꼿하게 고개를 숙이지 않고 서있는 벼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한
쭉정이듯이 숙일 줄 모르는 여인 또한 속이 차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家和의 바탕은 아내에게 달려 있습니다
남편을 굴복 시키려는 생각이나 맞서려는 생각 보다는 익은 벼가 머리를 숙이듯이 져주면서
미소와 애교라는 부드러운 무기를 사용한다면 아내에게 굴복하지 않을 남편은
아마도 세상에 드물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지구 환경이 전해주는 이치에 맞는 삶을 누리다가 천수를 다하면
벼와 보리가 똥이 되어 나와서 다시 거름으로 땅에 뿌려지는 것 까지 돌고 돌면서
그 DNA를 물려 받으며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밥을 먹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듯이 삶과 죽음도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메타포로 보면 될 것입니다
언제난 밥 한 그릇을 위해 살아간다는 임 선배의 평화가 깨트려 지지 않도록
빌겟습니다
올 여름은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질 것 같으니 더위 먹지 않도록 신경 쓰시고
휴가 잘 보내시길 빕니다 !!
ㅡ 남쪽 어느 무인도에서 무심코 배 ㅡ
첫댓글 그려, 무인도라니 할 말은 없고 세상 순리를 밟으며 잘 지내시게나!
무인도라서 할말이 없다니요??
무인도도 사람이 살아가려면 살 수 있는 땅이 아닌 섬일 뿐.......
무인도든 유인도든 멀리 있는 사람에게 한 줄 바람에 소식이나 전해주시오 ^^
@무심코 그래, 건강 조심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