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위키백과 사전
역사한자의 기원을 유추할 수 있는 근거는
3,000년 전 사용된 금문과 3,300년 전 사용된 갑골문, 그리고 6,800년 전 사용된 도문인데,
일반적으로 갑골문을 한자의 기원이 되는 글자로 보는 견해가 많다.
한비자나 여씨 춘추와 같은 책에 의하면,
한자는 창힐이라는 사람이 만들었다고 한다.
창힐은 상고 시기의 사람으로 황제라는 설도 있고, 황제(黃帝)의 사관이라는 설도 있다.
그가 사물의 모양이나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 한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한자는 한 사람이 만들 수 있는 것도 아니며
한 시기에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존하는 자료로서 가장 오래된 문자는
1903년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은대(殷代)의 갑골문자(甲骨文字)가 있다.
BC 14세기∼BC 12세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문자는
당시의 중대사(重大事)를 거북의 등이나 짐승 뼈에 새겨 놓은 실용적인 것이었다.
...........
한자의 제자 원리한자의 형성 과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눠 육서(六書)라고 한다.
후한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를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의 여섯으로 나눠 설명한 데서 시작했다.
상형(象形)은 한자의 가장 처음 형태로,
자연이나 사물의 생김새를 흉내내서 만든 글자이다.
뫼 산(山)이나 내 천(川), 새 조(鳥)의 단순한 글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지사(指事)는 추상적인 대상을 점과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상(上)과 끝 말(末) 등이 이에 해당한다.
회의(會意)는 두 개 이상의 한자를 모아서 새로운 뜻을 만든 글자이다.
예를 들면
사람인(人)과 말씀언(言)을 합하여 사람의 말은 중요하다는 의미의 믿을 신(信)자를 만들었다.
형성(形聲)은 형태(形)와 소리(聲)를 적절히 합하여 새로운 뜻을 갖는 글자를 만든 것이다. 예를 들어 간(肝)은 신체 등을 뜻하는
고기 육(肉, 변에서는 月(육달월)처럼 쓰인다) 자와 같은 발음을 갖는 방패 간(干)을 합한 것이다.
전체 한자의 70%는 형성의 원리로 만들어진 한자이다. 즉, 형성자이다.
전주(轉注)는 한자의 널리 쓰이는 뜻이 시대가 바뀌어 더 확장된 뜻을 갖는 글자이다.
가차(假借)는 뜻은 생각하지 않고 음만 빌려 쓴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넉 사(四)는 콧구멍을 상형한 것이며
이후 4라는 뜻으로 가차되자 본래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입 구(口)를 더한 숨쉴 희(呬)를 만들었다.
넉 사와 숨실 희는 현대 한국어에서는 그 음이 서로 다르지만 상고시대의 음은 같았다.
넉 사의 예처럼 본래의 뜻과 상관없이 가차된 문자는 본래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새 문자를 만드나,
마칠 료(了)와 같이 가차되어도 본래의 의미를 고려한 새 문자가 만들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마칠 료는 양쪽의 팔이 없는 아이를 상형한 것이다.
그리고 근대에는 언어마다 한자음이 다르므로,
한국어를 기준으로 가차자와 가차된 문자의 음이 다를 수 있다.
중국어에서는 곡식 곡(穀)을 골짜기 곡(谷)에 가차하였고,
일본어에서는
분별할 변(辨), 말씀 변(辯), 힘쓸 판(辦), 오이씨 판(瓣)을 고깔 변(弁)에 가차하였다.
..............
첫댓글 한자의 기원, 한자의 분류등 한자를 공부하는데 기초가 되는 상식을
잘 올려 주셨군요. 좋은 공부자료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