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사고 컨트롤타워 역할
수질사고 등 부조리 예방 시스템
내부소통 통한 자정기능 활성화
독립적 감사로 운영 시의성 확보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가자체자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감사과'를 신설한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각종 사건.사고의 컨트롤타워 기능과 부조리차단을 위한
선제적 예방시스템을 마련하고자 '안전감사과'를 상수도사업본부장 직속으로 새롭게 만든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이하 본부)는 '수돗물의 생산.공급.유지관리와 사용요금 부과.징수를 통해
시민들의 음용수를 책임지는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형 수질사고에 대한 주도적 관리가 부족해
능동적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직제 개편 추진 배경을 밝혔다.
안전감사과는
각종 수질 사건.사고 효율적 관리
내부소통을 통한 자체 자정 기능 활성화
독립적 감사 기능으로 운영 시의성 확보를 목표로 개설된다.
본부의 연간 수돗물 생산량은 12만7000t이며, 수돗물 사용요금 부과건수는 1200만건, 징수액은 6162억원에 달한다,
본부 소속 관리 인력은 2156명(본청 대비 20.7% 차지)으로,
거대 조직임에도 네부 자정 기능이 없어 사건.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본부는 진단했다.
올해 3월 마곡역에서는 시공사가 승인 없이 공사를 진행해 상수도관이 파손, 지하철역 일대가 침수되는 일이 벌어졌다.
목동힐스테이트에서는 5월 지하저수조 혼탁수 유입으로 급수 지장이 있었고,
6월엔 강북정수센터 응집제가 홍릉천에 유출됐다.
같은달 은평구 불광동에서는 밸브 오작동으로 인한 단수로 주변에 급수가 중단됐고
7월에는 관악구 문영예고에서 혼탁수 민원이 접수됐다.
또 지난달 14~26일에는 수돗물 유충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본부는 최근 발생한 혼탁수와 수돗물 유출 문제 등 급박한 현장 상황을 조율하고
방대한 조직을 효율적으로 이끌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보고 본부장 직속의 '안전감사과'를 구성키로 했다.
기존에 부본부장 밑에 있던 '안전초오갈과'는 폐지된다.
본부는 안전감사과를 신설해 거대한 조직 및 인력 규모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건.사고.부정 비위를 사전에 차단키로 했다.
수돗물 생산, 공급, 유지관리에 따른 약품.장비.자재.용역.공사 등
이해관계 업체가 많아 비위 개연성이 상존해 있어 상시 자정 기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2014년 서울특별시 사무위임 조례 개정으로 부본부장 직속 감사과가 사라진 후 사고 예방 기능이 약화되고
형식적 사후관리로 구조적이고 고질적인 문제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고 본부는 덧붙였다.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