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산은 국립묘지의 주산으로, 국립묘지에 묻힌 영령들의 영혼을 봉안하고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호국지장사의 옛 이름이 화장암 화장사였던 데서 유래하였다. 자연지리적으로는 관악산 지맥의 한 봉우리인 공작봉이라 하였고, 한강을 대안으로 하여 우뚝 솟아 있다. 공작봉은 국립묘지를 감싸고 있는 산봉우리 정상에서 뻗은 좌청룡·우백호의 산세가 마치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것과 같은 공작포란형의 상서로운 모습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작봉의 우백호에 해당하는 반포천으로 끝나는 봉우리는 ‘갯말산’이라 한다. 이는 이수교와 한강대교가 놓여지기 전 동재기나루의 사공들이 많이 살던 갯말이라는 마을 뒷산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작봉의 좌청룡의 끝은 비개고개로 뻗어 봉우리 정상에 나무가 없는 대머리산의 작은 봉우리를 이루었다. 화장산의 북쪽으로 뻗은 줄기는 중앙대학교의 뒷산을 이루며 ‘서달산’·’재강굴산’으로 불린다. 서달산은 달마사의 서쪽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재강굴산은 붉은 산이라는 뜻으로 돌이 많이 나며 중앙대학교를 창립한 임영신의 묘가 있다. 여기서 동쪽으로 뻗은 줄기상에 동양중학교 왼쪽의 고개산은 ‘할떡거리’라 불리우는데, 옛날 주민들이 이 산을 오르려면 숨이 가퍼 헐떡거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시 서달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본동에서 상도동으로 넘어가는 상도터널 위를 지나는데, 본동사무소 뒷산을 ‘안산’이라 한다. 이는 본동마을의 맞은 편 산이라는 뜻이고, 이 산 뒤에 있어 근처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를 ‘매봉재’라 부른다. 이어 사육신공원이 자리한 봉우리가 있다. 현재 화장산 일대는 공작봉의 좌청룡은 거의 산능선까지 주택지로 변하였고, 우백호 지역은 산세를 간직하고 있으나 그 밑으로 지하철 4호선이 지나고 있으며, 사육신공원으로 향하는 여맥은 상도터널이 뚫려 있다.

 ▲겟말산⇒화장산 174.6m)⇒서달산(179m)⇒재강굴산 종주 1시간 20분 동작역4번출구⇒(계단길)⇒겟말산(98.7m)⇒체력단련장(이수교.갯마을)⇒류시화시⇒중간봉(동작초등)⇒이정표(극동아파트.태평백화점)⇒허영자시⇒현충원 개방문(사당동쪽)⇒화장산.공작봉(174.5m)⇒총신대.갈림길 이정표⇒중간봉⇒현충원 개방문(상도동.숭실대후문)⇒서달산(179m=재강굴산래미안아파트)⇒덕수봉.체력단련장⇒현충원개방문(흑석동 청호아파트쪽)⇒담장길 막힘(정은사)⇒솔잣길⇒현충로.한강현대아파트111동 건너편
 ▲ 지하철 4호선 동작역
 ▲ 국립묘지 동작구 동작동 화장산 동쪽 기슭을 따라 위치한 국립묘지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순국한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민족의 성역이다. 국립묘지는 관악산 기슭에 자리잡은 동작의 능선이 병풍 치듯 감싸고 있으며, 앞쪽으로는 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포근한 땅에 마련되어 있다. ▲ 효사정 화장산 동쪽 지맥의 끝인 동작구 흑석동 141-2번지 한강변 남쪽 언덕에는 조선 초기에 있던 효사정이 1993년에 복원되어 자리하고 있다. 정자는 조선 세종 때 한성부윤과 우의정을 지낸 노한(盧 )의 별장이었다고 한다. ▲ 사육신묘 화장산 북쪽 기슭 끝자락인 동작구 노량진동 185-2번지에 사육신 묘역이 있다. 이는 조선 세조 2년(1456)에 단종복위운동을 하다가 순절한 성삼문·박팽년·유응부·이개·하위지·유성원 등 6신의 묘로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는 박팽년·유응부·이개·성삼문의 묘만 있었고, 하위지와 유성원의 묘는 없었는데, 1977∼1978년에 서울시에서 사육신묘역 정화공사를 하면서 하위지와 유성원의 가묘를 추봉함으로써 사육신의 묘를 모두 갖추게 되었다.김문기(金文起)를 사육신에 넣어 사육신묘역에는 7신의 묘가 모셔져 있다. ▲ 용양봉저정 화장산 북쪽 지맥의 끝자락인 한강대교 남쪽 언덕에 있는 용양봉저정은 조선시대 후기의 정자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용양봉저정이란 용(龍)이 뛰놀고 봉(鳳)이 높이 난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