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값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8.31 부동산종합대책 이후 급락세를 보이던 재건축 아파트는 하락 폭이 컸던 단지를 중심으로 저점 매수세가 형성되며 소폭 반등했지만 호재가 없는 시장에서 오름세를 계속 유지하기에는 힘이 겨워 보인다. 일반 아파트 역시 8.31대책 영향으로 극심한 거래 부진 속에 게걸음 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그 동안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던 서울 전셋값은 점차 안정세를 찾아 가는 분위기다. 특히 상승세를 주도했던 강남권은 최근 들어 입주 물량이 늘어 나며 시세 보다 낮은 매물도 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매매]
부동산뱅크와 한국부동산정보협회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값은 0.03% 올랐다.
아파트 유형별로는 지난 주 8.31대책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반전한 재건축 아파트는 이번 주에도 소폭 뛴 0.14%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권역별 재건축 아파트 값 변동률은 강남권과 강서권이 지난 주 상승세에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 각각 -0.04%, -0.01%를 기록했고, 강동권, 강북권, 도심권은 조금씩 가격이 뛰었다.
이 밖에 서울의 일반 아파트는 0.01%, 주상복합은 0.02%씩 상승했다. 아파트 평형별로는 소형평형이 0.05%, 중형평형이 0.01%, 대형평형이 0.05% 올랐다.
구별 변동률은 강동구(0.46%), 동작구(0.23%), 은평구(0.23%), 성동구(0.17%), 도봉구(0.16%)가 오름세를 기록했고, 금천구(-0.30%), 강남구(-0.12%), 서초구(-0.08%), 동대문구(-0.06%), 광진구(-0.06%)가 하락했다.
[금주 등락 상하위 5개구 변동률]
지난 주 소폭 상승한 강남구는 이번 주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재건축 아파트(-0.10%)가 지난 주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다시 돌아섰고, 일반아파트(-0.14%)도 지난 주 보다 낙 폭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개포동 주공4단지 13평형이 지난 주에 비해 1000만원 오른 4억9000만~5억 원에 매물이 나왔지만 매수자는 4억5000만~4억7000만원 정도를 매수 가격을 부르는 상황이다. 또한 개포동 시영 13평형이 지난 주에 비해 500만원 가량 소폭 상승했다. 이에 대해 현지 황금공인 관계자는 “최근 급매물이 조금씩 팔리면서 가격이 조정됐다”고 말했다. 개포동 일대 재건축 아파트는 소폭 올랐지만 삼성동 AID차관 15평형은 지난 주에 비해 3000만~4000만원 가량 떨어진 5억4000만~5억6500만원, 압구정동 한양1차 20평형은 2500만원 하락한 5억4500만~5억9500만원으로 시세가 조정됐다.
[금주 재건축 등락 상하위 5개구 변동률]]
이번 주 서울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가격이 오른 강동구는 재건축 아파트 값이 뛰었다. 8.31대책 이후 3억7000만~3억8000만원까지 하락했던 상일동 고덕주공3단지 16평형은 급매물이 1~2건 소화되며 가격이 4억1000만~4억2000만원으로 뛰었다. 또 고덕주공2단지 16평형도 지난 주에 비해 1000만원 가량 상승한 4억5000만~4억6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이에 대해 현지 동서울 부동산관계자는 “9월 말에서 10월 초 3억9000만원까지 하락했지만 최근 매수세가 붙으며 다시 시세를 회복했다”고 말했다.
송파구는 이번 주에도 재건축 아파트 값이 뛰었다. 대부분의 재건축 아파트가 보합세를 보였지만 잠실5동 주공5단지 가격이 이번 주에도 1000만원 가량 올랐고, 가락동 가락시영 아파트도 평형별로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잠실5동 현지 J공인 관계자는 “최근 일부 급매물이 거래돼 이 지역 아파트 값이 소폭 올랐지만 더 이상 매수세가 붙지 않아 앞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이다”고 밝혔다. 이 밖에 뉴타운 지역에 위치한 현대1차가 34평형이 1000만원 가량 오른 4억3000만~4억9000만원으로 시세가 조정됐다.
강북권에서는 은평구(0.23%), 동작구(0.23%), 성동구 등의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했고, 금천구(-0.30%), 동대문구(-0.06%) 아파트 값은 하락했다.
이번 주 소폭 오름세를 보인 은평구는 불광동 북한산 대창센시티 31평형이 지난 주에 비해 1000만원 가량 오른 3억3000만~3억4500만원, 불광동 미성 28평형이 500만~1000만원 뛴 2억~2억1700만원으로 시세가 조정됐다. 불광동 현지 열린공인 임성택 대표는 “뉴타운 이주 후 보상금을 받은 이주 수요가 유입되며 아파트 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동작구는 대부분의 지역이 거래가 부진한 가운데 보합세를 보였지만 신대방동 현대, 우성1차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 전세]
서울 전셋값은 지난 주에 비해 소폭 하락한 0.19%를 기록했다. 평형별로는 소형평형이 0.22%, 중형평형이 0.15%, 소형평형이 0.21%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권역별로는 강남권(0.36%)이 강남구의 강세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뒤를 이어 강북권(0.27%), 강동권(0.22%), 도심권(0.14%), 강서권(0.06%) 순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금주 전셋값 등락 상하위 5개구 변동률]]
구별로 은평구(0.62%), 도봉구(0.54%), 중랑구(0.45%), 강남구(0.44%), 관악구(0.44%) 등이 오름세를 보였고, 동대문구(-0.05%), 강서구(-0.01%), 광진구(-0.01%)는 하락했다.
이번 주 서울에서 가장 강세를 보인 은평구는 뉴타운 이주 수요로 뉴타운 인접지역의 전셋값이 뛰었다. 불광동 미성 28평형이 500만원 가량 오른 1억500만~1억2500만원, 녹번동 대림 32평형이 1500만원 오른 1억4000만~1억6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강남권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강남구는 도곡동, 대치동 일대 전셋값이 올랐다. 도곡동 개포우성4차 55평형이 지난 주에 비해 1000만~2000만원 가량 오른 4억9000만~5억4000만원, 대치동 쌍용2차 31평형이 1500만~2000만원 뛴 2억5000만~3억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현지 한양공인 관계자는 “역삼동 일대에 입주 물량이 늘어나며 이 지역 전셋값도 오름세가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중, 소형 평형이 강세를 보인 도봉구는 이번 주 창동, 방학동 일대가 전셋값 오름세를 주도했다. 창동 삼성 32평형이 1억3000만~1억5000만원으로 지난 주에 비해 1000만~2000만원 가량 뛰었고, 방학동 이수브라운스톤 33평형이 1000만원 가량 오른 1억4000만~1억6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