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SUBJECTIVITY
There is the objective world - the world perceived "out there" existing in form, governed by time and space. Then there is the subjective experience an internal state of being. How do you know that you are? That you exist? Dr. Hawkins points the student inward to the impersonal quality of consciousness and the field of awareness itself, which generally goes unnoticed because the ego/mind is focused on the content of phenomena being processed through perception.
객관적인 세계가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에 의해 지배되는, 형상(form)으로 존재하는 "저기 바깥에(out there)" 인식의 세계입니다. 그 다음에, 존재의 내면 상태(internal state of being)인 주관적 경험이 있습니다. 당신이 있다(you are)는 것을 당신은 어떻게 압니까? 당신이 존재한다(you exist)는 것을 어떻게 압니까? 에고/마음은 인식(perception)을 통해 처리되고 있는 현상들의 내용(content of phenomena)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호킨스 박사는 일반적으로 간과되는 의식의 비개인적 특성(impersonal quality of consciousness)과 자각의 장 자체(field of awareness itself) 안으로 제자를 안내합니다.
The way out is simple: Direct one's focus inward to the absolute subjectivity of all experiencing. Examine the nature of the sense of subjectivity that accompanies every expression of life. Without labeling, note that at all times-in every instant, in every moment, in every circumstance-there is always present the ultimately irreducible, underlying substrate of subjectivity. It never changes. The essence of experiencing, in all its forms (thinking, feeling, seeing, knowing, and so on), is the presence of this subjective quality. Then look further to find out what this subjective experiencing is that is ever present. Without it, there would not be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at one exists.
가야하는 길은 단순하다. 모든 경험의 절대적 주관성(absolute subjectivity) 내부에 직접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삶의 모든 표현에 동반하는 주관성 감각의 본성(nature of the sense of subjectivity)을 살펴보라. 꼬리표를 붙이지 말고, 항상 모든 시간, 모든 순간, 모든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주관성의 기저 기층(underlying substrate of subjectivity)이 항상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하라. 그것은 변하지 않는다. 경험의 본질(essence of experiencing)은 모든 그것의 형상(사고, 느낌, 보기, 앎 등)에서 이 주관적 특성의 있음(presence of this subjective quality)이다. 그 다음에, 이 주관적인 경험이라는 것은 항상 존재(ever present)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좀더 자세히 알아보라. 주관성이 없다면, 우리가 존재한다는 앎(knowing)의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Ask, “How am I aware or even know that I exist?" That question is the best that can be acted upon, for it leads directly and nonverbally to the ever-present Reality. Identify with that quality, capacity, or condition of ever-present subjectivity, which is experienced as an underlying awareness. It is consciousness itself. Identify with that consciousness instead of with the "what it is conscious about. That is the direct route to the Self. It is actually the only practice that leads directly through the doorway. There is nothing to know, to learn, or to remember. It is merely necessary to focus, fixate, meditate, contemplate, and look at and to realize that the source and substrate of existence is the radical subjectivity of the Presence of God as the Light of Consciousness.
"나는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는 심지어 아는가?"라고 자신에게 물어보라. 그것은 우리가 던질 수 있는 최선의 질문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직접적이고 비언어적으로 상존하는 실상(ever-present Reality)으로 인도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기저 자각(underlying awareness)으로서 경험되는, 상존하는 주관성의 특성, 능력, 또는 조건과 동일시하라. 그것은 의식 그 자체(consciousness itself)다. "어떤 것에 대해 의식하는 것" 대신에 그 의식과 동일시하라. 그것이 참나(Self)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다. 그것이 사실상 깨달음 출입구로 직접 인도하는 유일한 훈련이다. 알고, 배우거나, 기억할 것이 없다. 존재의 근원과 기층이 의식의 빛(Light of Consciousness)으로서의 신의 현존(Presence of God)의 근본적 주관성임을 깨닫고, 집중하고, 고정하고, 명상하고, 관상하고, 바라보는 것만이 필요할 뿐이다.
To accept the inner core of one's existence as a self-existent reality requires letting go of any definitions of oneself as a "who," and instead see oneself as a "what."
존재의 내적 핵심을 자기-존재 실상(self-existent reality)으로 받아들이려면, 자신을 "누구(who)"로 정의하는 것을 놓아버리고, 대신에 자신을 "무엇(what)"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Simply put, realization or enlightenment is the condition where the sense of self moves from the limited linear material to the nonlinear infinite and formless. The "me" moves from the visible to the invisible. This occurs as a shift of awareness and identification from perception of form as objective and real to the realization of the purely subjective as the Ultimate Reality.
간단히 말해서, 각성이나 깨달음이란 작은 나 감각(sense of self)은 한계가 있는 선형적 소재에서 비선형적인 무한하고 형상없는 것으로 이동하는 상태다. "나(me)"는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객관적이고 진짜라는 형상의 인식(perception of form)으로부터 궁극적 실상(Ultimate Reality)으로서 순수하게 주관적인 것의 각성으로 자각과 동일시의 전환(shift of awareness and identification)이 일어난다.
The realization eventually occurs that the "I" is not the content or the data, but an impersonal field several steps removed from the content of the programs. One then realizes that one is the audience, rather than the participant or subject.
결국 각성(realization)은 "나"는 내용이나 데이터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내용에서 몇 단계 떨어진 비개인적 장(impersonal field)에서 생긴다. 그 다음에 우리는 참여자(participant) 또는 대상(subject)이라기 보다는 관중(audience)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To "know about" means that although the information itself is familiar, its reality and truth remain to be confirmed experientially. In the final stage of achieving certainty, to really know means to "be." and thus both subject and knower are unified. To know "about" is mental; to know experientially is accepted as confirmatory.
'무엇에 대해서 안다'는 것은 정보 자체는 친숙하지만, 그 실상과 진리는 경험적으로 확인되어야 하는 것으로 남는다는 뜻이다. 확실성에 도달하는 마지막 단계에서, 진정으로 안다는 것은 "존재한다(be)"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대상(subject)과 아는 자(knower)는 합쳐진다. "무엇에 대해서(about)"을 아는 것은 정신적인 것일 뿐이고, 경험적으로 안다는 것은 확증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The field of conscious awareness is not timetracked. It is silent, autonomous, effortless, peaceful, all-encompassing, and unprogrammed; it is free, unbound, spontancous, tranquil, and not subject to birth or death. Discovery of this field is simple, easy, and relaxed. The realization is a consequence of “allowing" rather than "trying." It is surrendered to rather than acquired. As the desire for, and the ego's obsession with, control are relinquished, the field presents itself for recognition.
의식적 자각의 장(field of conscious awareness)은 시간 배열이 아니다. 그것은 침묵하고, 자율적이며, 힘들이지 않고, 평화롭고, 모든 것을 포괄하며, 프로그램되지 않는다. 그것은 자유롭고, 구속되지 않고, 자발적이고, 평온하고, 출생이나 죽음의 대상이 아니다. 이 장을 발견하면 소박하고 쉽고 느긋해진다. 각성(realization)은 "시도(trying)'가 아니라 '허용(allowing)"의 귀결이다. 그것은 획득이라기 보다는 내맡김이다. 에고의 강박관념과 함께 통제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면, 그 장은 알려지기(recognition)위해 스스로를 드러낸다.
Q: What is beyond mind?
A: Subjective awareness devoid of content, such as thoughts, feelings, or images-silent, still, unmoving, All-Present, All- Inclusive.
Q: 마음 너머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A: 생각, 느낌 또는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없는 주관적 자각(subjective awareness)이 있습니다. 그것은 침묵하고, 고요하고, 움직임이 없고, 모든 것이 존재(All-Present)하고, 모든 것을 포함(All-Inclusive)합니다.
Curiosity can be shifted from the form and content of thoughts in order to become aware of the silent nascent field of consciousness/awareness itself. Silence is of the Self; thoughts are of the self.
호기심은 의식/자각 자체의 침묵하는 원시장(silent nascent field)을 알아가기 위해서 생각의 형상과 내용(form and content)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침묵은 참나(Self)의 것이고, 생각은 작은 나(self)의 것이다.
The ego/mind is attracted to novelty and therefore searches frantically for interesting form and sensation. This can be refused and replaced by interest in the silent, formless substrate that is always present and merely has to be noticed. It is comparable to the silent background without which sound could not be discerned.
에고/마음은 새로운 것(novelty)에 매료되고, 그 때문에 흥미로운 형상와 감각을 정신없이 찾는다. 이것은 거부될 수 있고 항상 존재하고 단지 주목해야만 하는, 고요하고 형상이 없는 의식의 기층에 대한 관심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소리없이는 분별할 수 없는 침묵 배경(silent background)에 비유할 수 있다.
Peace can be the consequence of surrender to the inevitabilities of life. The religious spiritual skeptic can look within and observe that the inner fundamental and irreducible quality of life is the capacity of awareness, consciousness, and the substrate of subjectivity. Without consciousness, the individual would not "know”- or even "know" if he or she “knows" -so consciousness is a priori awareness of existence, irrespective of the content of that existence. Thus, consciousness itself can be accepted as an obvious reality, without the elaboration of being Divine (as recommended by the Buddha). To "be" is one thing; to know that one "is” obviously requires a more transcendent quality.
평화는 피할 수 없는 삶을 내맡긴 귀결일 수 있다. 종교적 영적 회의론자라도 내면을 들여다보고, 내면의 기본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삶의 특성이 자각 능력, 의식 능력, 주관성의 기층임을 관찰할 수 있다. 의식이 없으면, 개인은 "알 수(know)"가 없고, 또는 심지어 우리가 '안다'는 것도 알 수 없다. 그래서 의식은 그 존재의 내용(content of that existence)과 상관없이 존재의 선험적 자각(priori awareness of existence)인 것이다. 따라서 (부처가 권장한 대로) 신성한 존재(being Divine)의 상정없이 의식 자체(consciousness itself)는 명백한 실상(obvious reality)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존재한다(be)'는 것은 하나의 사건이며, 우리가 명백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더 초월적인 특성(transcendent quality)을 필요로 한다.
What gives the sense of "I" its subjective quality of reality is the radiance of the true Self, which is the source of the Reality that emanates as the Presence. To clarify the pursuit, it is helpful to search for the innate quality that accords the subjective experiential sense of identity itself. It may be more fruitful to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quality of subjectivity, which is not a "who" but an innate quality of sentient life (a "what").
"나(I)" 감각에 그 실상의 주관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것은 참나(Self)의 광휘인데, 그것은 현존(Presence)으로서 내뿜는 실상의 근원(source of the Reality)이다. 그 추구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정체성 감각 자체(sense of identity itself)를 부여하는 타고난 특성(innate quality)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관성 특성(quality of subjectivity)의 근원을 찾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는데, 그것은 '누구'가 아니라 지각있는 삶의 타고난 특성('무엇')이다.
Is reality subjective or objective? At some point, the introspective mind ponders the truth of its qualities, that is: How do I know? How do I know that I know? How do I know that which I presume to be truth is actually true? In addition: Whence arose life, and what is its source? This subjective state is nonlinear, primordial, and a priori. Out of this impersonal field arises the very personal sense of "I-ness” as a primary quality of content. This basic subjective sense of “I” is capable of reflexive self-knowing, whereas, in contrast, the mind merely thinks.
실상(reality)은 주관적인가 또는 객관적인가? 어느 시점에서, 자기성찰적인 마음(introspective mind)은 실상의 특성에 관한 진리에 대해 심사숙고한다. 즉, 내가 어떻게 아는가? 내가 안다는 것을 나는 어떻게 아는가? 내가 진리라고 가정하는 것이 실제로 참인지 어떻게 아는가? 덧붙여, 생명은 어디서 생겨났으며, 생명의 근원은 무엇인가? 이 주관적인 상태는 비선형적이고 원시적이며 선험적이다. 이 비개인적 장(impersonal field)에서 내용의 주요 특성로서 "나-임(I-ness)"이라는 매우 개인적인 감각이 발생한다. 이 기본적이고 주관적 감각인 "나"는 반사적 자기-알기(reflexive self-knowing)를 할 수 있고, 반면에 마음은 단지 생각만 한다.
The undoing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go/ self is the primary focus of spiritual evolution and is the enigma that has baffled even the most erudite minds of history. The crux of the problem is misidentification with qualities of the ego/mind's processing function, which is already identified with the linearity of the localization of phenomena. This is a natural consequence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reality of the experience of life as a body. The primary problem is misidentification of the actual source of subjectivity and the presumption that it is local rather than nonlocal.
에고/자기의 동일시 취소는 영적 진화(spiritual evolution)의 주요 초점이며, 역사상 마음에 가장 박식한 사람들조차 당황하게 만든 수수께끼다. 문제의 핵심은 현상 국소화(localization of phenomena)의 선형성과 이미 동일시된, 에고/마음의 처리기능 특성과의 잘못된 동일시(misidentification)다. 이것은 몸으로서 삶의 경험의 물리적 실상과 관련된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주요 문제는 주관성과 가정의 실제 원천의 잘못된 동일시이고, 그것은 비국소적이기보다는 국소적이다.
In the process of spiritual discovery, one looks to discover what it is that is aware of and has the authority to sense the existence of "I-ness" or the quality of “I-ness," rather than a specific or circumscribed "me" as the "I.”
영적 발견의 과정에서, 우리는 알려진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게 되며, 그리고 특정되거나 한정된 '나(I)'로서 '나를(me)'이 아닌, ‘나-임(I-ness)’의 존재 또는 ‘나-임(I-ness)’의 특성을 감각할 권한을 갖는다는 것 역시 발견한다.
All mental approaches to a definition of truth are eventually confronted by the necessity of making a paradigm jump from the abstract to the experiential, and from the supposedly objective to the radically subjective. Thus, the statement “Only the objective is real” is a purely subjective premise. Therefore, the mechanistic reductionist actually lives in an intrapsychic, subjective reality, the same as everyone else.
The resolution of the dilemma of a description and knowingness of absolute truth requires the leap into the field of research of consciousness itself-which makes it clear that the only actual, verifiable reality of knowingness is by the virtue of "being" (that is, all intellectualizations are "about" something). This requires that the observer be extraneous in order to be the witness of the thing to be examined. For example, a human observer can "know about" a cat, but only a cat really knows what it is to be a cat by virtue of the quality of being a cat.
진리의 정의에 대한 모든 정신적 접근은 결국 추상에서 경험으로, 그리고 추정상 객관적인 것에서 근본적으로 주관적인 것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오직 객관적인 것만이 참이다"라는 진술은 순전히 주관적인 전제이다. 그러므로 기계론적 환원주의자는 실제로 다른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정신내적(intrapsychic)이고 주관적 실상(subjective reality)에 살고 있는 것이다.
절대적 진리에 대한 묘사와 앎(knowingness)의 딜레마를 해결하려면, 의식 자체에 대한 연구분야로 도약이 필요하다. 그것은 실제적이고 검증가능한 앎의 실상이 오직 '존재함(being)'덕분이라는 것을 분명히 한다. (즉, '모든 주지화(intellectualizations)는 어떤 것에 '대하여(about)'인 것이다). 이것은 다음의 명제가 필요하다. 관찰자는 검증된 것의 증인이 되기 위해서 관련없는 사람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인간 관찰자는 고양이에 "대해서 알(know about)" 수 있다. 하지만 오직 고양이만이 고양이로 존재함(being a cat)이라는 특성 덕분에 고양이로 존재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