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코로나 걸리면 중증 환자 비율·사망률 2배 이상 ↑
- 고혈당·낮은 면역력·합병증이 취약하게 만드는 원인
- 혈당 수치 엄격히 관리하고 감염 예방 철저히 해야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갖고 있으면 코로나19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평소에 건강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 당뇨병 환자, 코로나19 확진 시 중증 비율과 사망률 더 높아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보다 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다. 중증 환자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나라의 환자 통계 결과를 메타 분석을 한 자료에 의하면, 당뇨병을 갖고 있는 코로나19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원한 경우가 일반 병실에 입원한 경우에 비해 2.21로 2배 이상 높았다.
당뇨병 환자의 중증도가 높은 이유로는 고혈당, 면역 기능 저하, 혈관 합병증이 지목되고 있다.
사망률도 더 높게 나타났다. 중국 질병관리본부의 자료에 의하면, 4만4672명의 코로나19 환자 중 당뇨병의 유병률은 5.3%이었다. 당뇨병이 있는 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은 7.8%로, 전체 사망률인 2.3%보다 높았고, 기저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인 0.9%보다 높았다.
국내에서도 2020년 5월까지 30세 이상의 코로나19 환자 5307명 중 당뇨병을 갖고 있는 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은 12.2% 로 당뇨병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인 2.6%보다 매우 높았다.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 낮은 면역력, 합병증 이외에도 고령인 경우가 많고,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의 다른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질병에 취약한 만큼 더욱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교수의 논문은 국제 학술지(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
▲ 혈당 조절 필수, 당뇨병 없어도 감염되면 모니터링 필요
당뇨병 환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최적의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몸속에서는 스트레스 상태가 유발돼 코르티솔, 카테콜아민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뿐 아니라, 인터루킨-6 등의 염증 관련 싸이토카인이 증가한다.
이는 혈당 상승과 극심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코로나19의 중증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반대로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 발병을 유발할 수도 있어 치료 중에 당뇨병 발생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실제로 한 단일 센터 연구 결과, 고혈당증을 앓고 있는 코로나19 환자의 28%는 입원 전에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됐다.
▲ 당뇨병 환자, 의사와 면밀한 상담 통해 당뇨병약 조절해야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탈수 및 장기부전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메트포르민, SGLT2 억제제, 설폰요소제와 같은 당뇨병약으로 치료받는 환자는 감염 상태에 따라 약을 변경하거나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장 또는 간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면 약물을 변경하게 된다. 정 교수는 "중증 코로나19 환자는 극심한 고혈당에 신기능이나 간기능 이상, 탈수 위험을 고려해 인슐린이나 적절한 당뇨병 약제로 혈당을 조절해야 감염으로부터 잘 회복할 수 있다. 인슐린 사용 시에는 저혈당 위험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방역수칙 잘 지키는 것이 첫 번째, 이와 함께 엄격한 혈당 관리 필수
코로나19는 비말에 의한 감염이 일어나므로, 최대한 비말 감염 경로를 피하고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당뇨병 환자는 △외출이나 혼잡한 지역 방문을 자제하고,
△손을 잘 씻고,
△기침 에티켓을 유지하고,
△씻지 않은 손으로 얼굴을 만지지 말고,
△의료 기관을 방문하기 전에 마스크를 쓰고,
△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항상 테이블과 같이 자주 만지는 표면을 닦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