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동차 시장이 `로템`의 독점체제에서 경쟁체제로 바뀜에 따라 서울지하철공사가 전동차 구입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됐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지하철공사는 지난 80년 제작돼 투입된 지하철 2호선 전동차의 내구연한이 2005년으로 다가옴에 따라 신형 전동차 54량과 개조 전동차 15량을 구입하기 위해 28일 경쟁입찰을 실시할 예정이다.
조달청에서 게시한 입찰 공고 추정가격은 493억7,500만원으로, 당초 서울지하철공사가 전동차 구입을 위해 책정해 놓은 예산인 635억5,000만원에 비해 141억7,500만원이 낮아졌다.
이는 국내 전동차 시장이 99년 7월 현대, 대우, 한진 간의 빅딜로 로템의 전신인 한국철도차량이 생겨나면서부터 독점체제를 유지해오다가 최근 ㈜디자인리미트라는 철도차량 전문제작업체가 가세하면서 전동차 시장이 경쟁체제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디자인리미트는 철도차량을 공급했던 해태중공업을 98년 인수해 생산라인을 확보했으며 최근 일본 히다치와 전동차 제작 기술제휴를 맺고 국내와 해외 전동차시장에 뛰어들었다.
서울지하철공사는 지하철 2호선 전동차 구입을 위해 1량에 12억원의 예산을 책정했으나 조달청이 제시한 입찰 공고 추정가격으로 계산하면 1량에 평균 8억3,000만원으로 1량에 3억6,500만원을 절감하게 되는 셈이다. 반면 지난해 9월 민자유치사업으로 입찰이 진행돼 로템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서울시 지하철 9호선의 전동차 낙찰 가격은 1량에 14억원으로 이번지하철 2호선 전동차 예상 구입가에 비하면 6억원 가까이 비싼 가격이다.
(1) 경쟁의 장점이 많은데도, 차량 3사가 왜 수년 전에 통합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생각해 봅시다. 국내 조달가격에서 덤핑을 강요 당하고, 국제시장에서는 출혈경쟁이 다반사인데, 대구에서 화재사고 나고 나서, 불연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굴리는 차량도 돈을 더 들여 개조중입니다.
첫댓글 업체측에서는 좀 고생하겠지만...~ 시 입장에서는 많이 좋아진듯...~ 글세 우리들은 어떤게 좋은지...~ 아무래도 싸게 구입한 차일수록 전동차 운임 오르는 기간이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근데.. 싼게 비지떡이란 말을 기억해둡시다.! (싼거 사면 부품이 싸구려겠고 추가호 사고율이 높겠죠;;)
뭐... 리미트가 '히타치'라는 배후세력을 등에 업은 채로 로템에 도전장을 낸다면 이야기가 또 달라지겠지만요... ㅋㅋㅋ 어떻게 될지는 일단 두고 봅시다.
(1) 경쟁의 장점이 많은데도, 차량 3사가 왜 수년 전에 통합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생각해 봅시다. 국내 조달가격에서 덤핑을 강요 당하고, 국제시장에서는 출혈경쟁이 다반사인데, 대구에서 화재사고 나고 나서, 불연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굴리는 차량도 돈을 더 들여 개조중입니다.
(2) 그 때 국내 차량이 외국에 수출되는 가격이 보도된 적이 있는데, 대강 기억나는 것이 터키와 인도에 수출하는 전동차 가격은 16~18억인가였습니다. 그래도 인도의 경우는 빈곤층이 그렇게 많은데도 그런 고급 차량을 지금도 계속해서 Upgrade 하고 있습니다.
(3) 사고 당시 언론에서 대구차량의 공급가를 보도하면서 싸구려기 때문에 대형 화재가 났다고 떠들었는데, 지금도 툭하면 사고로 서는가 하면, 차내 소음이 시끄러워서 통화가 안 된다는 등의 불평들이 많은데..
원래 언론들이 그렇죠... 가장 기본적인 것도 틀리면서 뭘 더 바라겠습니까? -_-;;
(4) Design Ltd.가 국내 경쟁입찰에는 곧 참가할 수 있을지 몰라도 국제입찰에는 아무리 일본업체와 제휴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제법 걸리겠지요. 다만 최근 어느 프랑스 회사의 전철을 밟지는 않기를 바랍니다. 여하간 싸움은 재미있는 거니까 지켜보시지요.
그런데 빅딜로 인해 로템이 탄생했는데 다시 또 경쟁업체가 생겨서... 빅딜은.... ㅡㅡ;;
디자인 리미트라면 무궁화 객차를 제작하는 걸 직접 봤는데.. 글쎄요.. -_-;; 물론 전동차를 경산공장에서 만들기야 하겠습니까만 쬐끔 전동차 타기가 무서워지는 것은 왜 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