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potassium, K)은 나트륨(Na)과 같이 체액의 주요 전해질이다.
칼륨은 나트륨과 함께 작용하여 체내의 수분 양과 산 · 알칼리 균형을 조절한다.
나트륨은 세포 밖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나 칼륨의 95%는 세포 안에 존재한다.
칼륨과 나트륨의 균형은 정상 혈압의 유지, 근육의 수축과 이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칼륨의 균형은 나트륨에서와 같이 신장에서 배설이나 보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유지된다.
칼륨은 세포내액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서 칼륨 농도는 약 140mmol/L이다.
한편 세포외액의 칼륨 농도는 3.5∼5.0mmol/L로서 소량이 존재한다.
칼륨의 대부분은 근육세포 내에 존재하는데
이는 근육세포가 체내 총 세포용적의 75%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칼륨의 주요 생리적 기능에는
세포내외의 전위(electric potential)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세포 내 이온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칼륨은 에너지 대사, 세포막의 운반 작용, 세포막 내외의 전압차 유지,
나트륨과 상호 작용을 통한 신경계의 자극 전도, 골격근의 수축과 이완,
혈압의 유지, 산 · 염기의 평형 유지 등의 생리적 기능을 담당한다.
칼륨은 뇌에 산소를 보내는 역할을 하여 뇌의 기능을 좋게 해준다.
몸속 노폐물의 처리를 돕고, 혈압을 떨어뜨리게 한다.
또한 칼륨은 혈관벽의 긴장을 풀어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심장의 박동을 정상으로 유지해 주고 근육과 신경의 흥분성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일을 돕는다.
결핍 증상으로 무력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불안, 불면증 등이 나타나며,
극도의 저칼륨혈증이 생기면 심장의 부정맥(不整脈, arrhythmia)으로 인하여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칼륨 결핍증은 설사제의 남용, 이뇨제의 과용으로 인해 소화관 또는 신장을 통한
칼륨 손실이 과다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혈액 내 칼륨의 농도가 낮으면 식욕 감퇴, 근육 경련, 발작 등이 일어나고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며 생명이 위협 받게 된다.
또한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하는 이뇨제(利尿劑)가 체내의 칼륨을 고갈시킨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뇨제를 복용하면서 칼륨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뇌졸중(腦卒中)의 위험이 높아진다.
다이어트를 할 때 초저열량 식사를 하는 사람이나 격렬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칼륨 결핍의 위험이 있다.
칼륨은 나트륨과는 달리 혈압을 낮추는 기능이 있다.
즉 체내에서 상호 의존적으로 칼륨의 투여는
소변 중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칼륨 섭취는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일상의 식사에서 부족한 칼륨을 보충할 목적으로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영양 보급이다.
포타슘은 여러 채소, 과일, 육류에 많이 들어있으며,
특히 키위, 오랜지 주스, 감자, 바나나, 분유, 콩 등에 많이 들어있다.
의학자들은 충분한 양의 포타슘 섭취가
고혈압, 뇌졸증, 골다공증, 신장 결석 등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포타슘 보조 영양물질을 과다 섭취하는 경우는
여러 위장 장애 증상을 보일 수 있고,
신부전증과 같은 신장 질환을 앓는 사람에게는
혈액 중의 포타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이 나타날 수 있는데,
심장 박동이 비정상인 부정맥을 거쳐 심장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칼륨을 과량 섭취하면 배탈이 나며, 신장 기능이 약하면 칼륨이 혈액에 쌓여 심장 기능을 저해한다.
따라서 신장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칼륨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
장관 또는 혈관 영양을 통한 칼륨 과다 공급은 급성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칼륨의 급성 중독이 발생하면 심장마비로 인해 사망할 수 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1일 칼륨 충분섭취량은 남녀 모두 4.7g이다.
칼륨은 거의 모든 식품에 들어 있으나, 특히 채소류와 과일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우유, 콩, 육류, 토마토 주스, 오렌지 주스 등도 칼륨의 주요 급원이다.
일반적으로 칼륨은 식품의 가공 과정에서 감소되므로 가공 식품보다 천연 식품에 함량이 더 높다
뎃글 경험담;
자주쥐나는분들은..
아침에 포텐슘한알먹음..쥐나는건 방지 할 수 있어요
저희 남편이 혈압약중에..엄청난 포텐슘이 소변으로 빠져나가..
맨날 밤마다 쥐나서 고생해... 포텐슘 아침에 한알씩 먹고 난 뒤...
전혀...그런 문제는없어졌어요
칼륨인 포타슘
칼륨의 기능, 칼륨이 많은 음식을 알아보자.
포타슘은 칼슘과 인 다음으로 체내에 많이 있는 무기질로 칼륨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포타슘은 세포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포타슘은 섭취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식품으로 섭취한 포타슘은 약 90%이상 소장에서 흡수되며 주로 소변을 통해 배출하는데
이뇨제, 알코올, 커피, 설탕 등을 많이 섭취해도 포타슘의 배설이 증가한다.
포타슘(칼륨)의 기능
나트륨과 균형을 이루어 정상 혈압 유지
몸속 노폐물 처리, 에너지 대사 및 뇌기능 활성화
1. 수분과 전해질 평형 유지
2. 산과 염기의 평형 유지
3. 근육의 수축과 이완
4. 당질 대사 및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포타슘(칼륨)의 결핍과 과잉
포타슘이 결핍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장기간 단식이나 이뇨제를 상습 복용시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결핍시에는 식욕 감퇴, 근육 경련, 어지러움, 무감각, 변비등이 생길 수 있다.
포타슘 과잉 섭취시에는 위장 장애가 일어날 수도 있으며 근육과민, 혼수,
불규칙한 심장운동, 호흡곤란, 사지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
한국인처럼 높은 나트륨 섭취시에는 포타슘의 충분한 섭취가 필요하다.
포타슘(칼륨) 많은 음식
가공하지 않은 곡류, 토마토, 오이, 호박, 가지, 사과, 바나나, 우유, 육류 등이다.
칼륨 많은음식

칼륨 급원 식품과 함유량(㎎/100g)
고춧잎 생 것 805, 땅콩 볶은 것 795, 곶감 736, 강낭콩 732, 적상추 674, 마늘 생 것 664,
참외 663, 아몬드 조미한 것 612, 열무김치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