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저 1호로 본 1979년 1월 31일 오전 3시 31분~1979년 2월 4일 오전 4시 27분(KST)의 목성
보이저 2호로 본 1979년 5월 28일 오전 5시 34분~1979년 5월 30일 오전 7시 34분(KST)의 목성
보이저 2호로 본 1979년 4월 26일~1979년 5월 24일(아마도 UTC)의 목성의 모습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로 본 2000년 11월 1일~2000년 11월 16일의 목성
유로파와 목성.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파이오니어 11호로 본 1974년 12월 15일의 목성
뉴허라이즌스호로 본 2007년 1월 9일~2007년 1월 10일의 목성.
파이오니어 10호로 본 1973년 12월 5일의 목성과 이오.
가니메데와 목성. 1979년 7월 8일 보이저 2호 촬영
목성과 칼리스토.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아말테아(사진 윗부분 목성 앞에 보이는 까만 점, 폭 250 km)와 목성. 1979년 7월 9일 보이저 2호 촬영
이오와 목성.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목성 뒤의 유로파. 2007년 3월 1일 뉴허라이즌스 호 촬영
화성에서 본 포보스(화성의 위성, 폭 25 km)와 목성(폭 14만 km).
북반구 폭풍. 2017년 7월 11일 주노 촬영.
눈처럼 생긴 폭풍. 2019년 2월 12일 주노 촬영
12,000km 상공에서 본 목성. 2018년 7월 16일 주노 촬영
좌측 상단에 태풍. 주노 촬영. 촬영 일자 불명. (perijove 14 기간)
구름의 그림자도 보임. 주노 촬영. 촬영 일자 불명.(perijove 14 기간)
8,901 km 상공에서 본 목성. 2017년 5월 19일 촬영
초승달 목성. 2018년 4월 1일 주노 촬영
목성 북반구. 2018년 4월 1일 주노 촬영
대적점. 2017년 7월 11일 주노 촬영
목성과 고리의 실루엣. 1979년 7월 10일 보이저 2호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