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역사의식이 조선사회에 미친영향은?
- 존화사상을 토대로 우리나라를 소중화로 인식하였다
- 단군보다 기자조선에 대한 연구에 치중하였다
- 박상의 동국사략과 이이의 기자실기가 편찬되었다
1 유교문화와 대립되는 고유문화가 중시
2 조선왕조의 정통성에 대한 명분을 강조
3 문화적 우월의식을 토대로 이민족의 침략에 저항하는 의식을 갖게되었다
답-3
박스내용이 중국중심사대사상아닌가요.. 보기3번이 왜 답이되는건지? --;
___-
문> 조선시대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거?
1취재를 통하여 과거를 거치지않고 하급관리가 될 수 있었더
2 5품이상 관리의 자제는 음서로 관직에 나갈 수 있는 길이 열려있었다.
답-2번인데요. 2번은 고려시대이고 조선은 2품이상 이었나요?
___
문> 조선후기 신분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거?
1 서민중에 일부는 부유한 상인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0
2 양반은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세습적 특권지위를 유지하였다x-->조선시대도 세급적특권지위유지하는거 아닌지?? 왜 틀린건지?
___
이기론이 사림 사상이라고 봐야하는가요?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이거 크게는 사림과 관계되는건지/
_____
조선시대 내용인데요
중앙군은 (1) 5위로 구성되었으며 궁궐과 도성을 수비하였다.
(1)-5위: 번상병이 주축이되어 무관관료의 지위를 받았다x 틀린말인데. 번상병이 주축된거는 맞는데..무관관료의 지위를 받았다는 말에서 잘못된건지?
여러가지 올렸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
첫댓글 1번은 사대사상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내용은 완전히 판이합니다. 정통중국인 송나라와 명나라는 인정하지만, 나머지는 오랑캐라는 거죠. 거기에다 청나라처럼 과거에 발해에서 우리민족의 지배를 받던 민족은 더더욱 아니라는 겁니다. 그런 관점에서 문화적 우월의식이란 말은 사대사상과 일맥상통하는 말입니다. 2번에서는 고려가 5품이고 조선은 2품이상이 맞고요. 3번은 조선전기와는 다르게 조선후기에는 양반들의 이 여러계층으로 나뉘게 됩니다. 돈많고 공직에 있는 양반, 돈많고 공직에 없는 양반, 돈은 없지만 공직에 있는 양반, 돈도 없고 공직도 없는 양반으로 계층의 분화가 일어납니다. 돈많은 상인은 양반신분을 샀지요.
4번은 번상병 즉, 현재로 치면 기간병(대한민국 육군장병)입니다. 하지만 관료의 지위는 간부급이죠.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무관관료를 받았던 군인은 정식군관들 입니다.
예..감사합니다. 마지막질문에서 5위에서 번상병이 주축이 됐다는 말은 맞는 말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