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고분벽화는 지금까지 단 2개의 무덤에서 발견됬습니다. 둘다 경북 영주시 순흥읍에 위치해 있고요.(여기는 한때 고구려지역이었다가 신라에 복속된 고로....고구려 문화의 영향이 적지 않게 있는 셈이죠.)
다만 알아볼 수 있게 나온 벽화는 천장의 연화문과 돌문 바깥의 여인상인데...


추정되기로는 저고리 위에 반비를 입었다는것, 치마는 주름치마일것 같다는것 정도입니다.

초기 구상한 외형입니다.
●주름치마를 재현해보자
●반비 밑단에는 주름을 넣자.
●소매는 길게 하되 단을 넣자.

그래서 원단을 샀는데 이런 원단이 화려하지만 비단이라는게 겨울 직물입니다. 즉 여름에 입으면 무지 덥습니다.

다리미로 주름을 만듭니다.

홑겹으로 만들었습니다. 2겹으로 하면 더울테니까요.

저고리는 면으로 만들었습니다. 비단이면 여름에는 더우니까요.



끈은 검은색으로..


두꺼운 치마와 비교해보면 비교적 덜 더운 저고리입니다.
당시 모델과는 5월에 촬영했는데 덥다고 1시간도 오래 못입으셔서 촬영이 즉석에서 취소...
올해는 새로운 모델을 구해서 입혀봐야겠습니다.

바디에 걸어본 것.


작년에 제가 신라여성의복 관련해서 발표한 PPT중 일부
첫댓글 신라여성의복 관련해 이런 연구를 하셨다니, 대단하십니다. 연보상화 무늬 배자 사진이 새롭습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혹시 신라여성의복 관련한 ppt 내용을 좀 더 올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신라의복관련해서 제 PPT발표자료의 상당 부분은
최근 나온 『신라사 대계』의 참고를 많이 받았습니다. 그렇기에 보다 풍부한 자료는 대계의 자료가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시간날때 제 PPT자료도 조금씩 올리겠습니다.^^
http://www.gb.go.kr/open_content/section/index.jsp?LARGE_CODE=70&MEDIUM_CODE=50&SMALL_CODE=60&SMALL_CODE2=40&SMALL_CODE3=&target=main&URL=/open_content/section/cultural/sinra_list.jsp
@삼한일통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