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월일 |
한국사 |
세계사 |
비고 |
|
1875 |
운요호 사건 |
영국, 수에즈 운하의 주권 매수 |
|
|
1876 |
강화도 조약 체결 |
미케네 유적 발굴 |
|
|
1879 |
지석영, 종두법 실시 |
독일, 오스트리아 동맹 결성 |
|
|
1882 |
임오군란 |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삼국 동맹 성립 |
|
|
1884 |
갑신정변 |
청·프랑스 전쟁 |
|
|
1885 |
거문도 사건 |
청·일 톈진 조약 |
|
|
1886 |
노비 세습제 폐지 |
|
|
|
1894 |
동학 교도와 농민군, 백산 봉기 |
청·일 전쟁 |
|
|
1895 |
을미개혁 |
시모노세키 조약 |
|
|
1896 |
독립 협회 설립 |
제1회 올림픽 대회 |
|
|
1897 |
대한 제국의 성립 |
독일군, 자오저우 만 점령 |
|
|
1898 |
독립 협회 해산 |
파쇼다 사건 |
|
|
1905 |
을사조약 |
러·일 포츠머스 강화 조약 체결 |
|
|
1907 |
헤이그 특사 파견 |
삼국 협상 성립 |
|
|
1909 |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사살 |
피어리, 북극 탐험 |
|
구절판모둠 선정 [민족국가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5 대 중요 사실
|
우선순위 |
중요 사실 |
선정 이유 | |
|
1 |
1884년 12월 4일 |
갑신정변 |
일본의 영향을 받은 급진 개화파의 움직임으로 이는 3일 천하로 끝나게 되었지만 청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주적으로 개화를 해야한다는 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비록 실패하였지만 급진개화파 인사들의 자주적인 기존의 사대주의적 입장에서 벗어난 자주적 면모를 보였기 때문에 선정하였다.
|
|
2 |
1894년 7월~ 1896년 2월 |
갑오개혁 |
근대적인 조선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된 개혁이다. 이 개혁으로써 조선은 신분제가 완전히 폐지되고 평등사회로 나아가는 밑바탕을 꾸릴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진행되었고 그당시 민중들의 고통을 받던 조세제도 개혁이 없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조선은 이 개혁으로 이전 사회를 탈피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선정하게 되었다. |
|
3 |
1905년 11월 17일 |
을사늑약 |
을사늑약은 일본에 강압에 의해 맺어진 조약이다. 그 내용은 일본이 우리의 외교권을 갖는다는 것으로 사실상 일본에 조선의 주권이 박탈됨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조약이 체결될 당시 무력이 행사되었다는 점에서 무효이다. 이 사건은 일본에 의해 억지로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대단히 중요한 사건으로 지금까지 그 유효성을 두고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에 선정해 보았다. |
|
4 |
1919년 2월 8일
|
2.8 독립선언 |
일본의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독립문이 선언되었다. 민족 자결주의와 국외의 여러 한인들의 독립운동의 조짐이 조심스레 보이던 시점에 일본 동경의 유학생들의 이러한 과감한 행보는 국내에서의 무단통치에 억압받던 민중을 깨우치게 했던 사건이 되었다. 이 독립 선언으로 하여금 국내의 3.1운동이 촉발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선정하였다. |
|
5 |
1919년 3월 1일 |
3.1 운동 |
3.1 운동은 국권 침탈 후에 일제에 항거하여 조직적으로 일어난 민족운동으로 삼일운동 후에 한국의 독립운동은 보다 더욱 체계적으로 이뤄저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게 된다. 또한,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다른 식민 국가들의 독립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영향을 미쳤다는 것에서 선정하게 되었다.
|
※ 다음 발표
가. 발표자 : 박연숙
나. 범 위 : 민족운동의 발전
다. 제 목 : 신민회는 어떻게 국외에 독립운동기지를 설치할 수 있었을까?
라. 주요 내용(100字이상) :
1907년 조직된 비밀단체인 신민회는 일제의 감시 속에서 그들의 존재를 철저히 숨긴
채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신민회는 국내에서의 독립운동뿐만 아니
라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에도 주력하였는데요. 그것은 국외에 독립운동기지를 설치하는
것이었습니다. 신민회는 일제의 눈을 피해 독립운동을 해야만 했을 것인데 어떻게 국외
에 독립운동기지를 설치할 수 있었을까요? 발표는 이 질문에 관한 내용과 이를 통해 도
출할 수 있는 삶의 원리를 중심으로 할 것입니다.
첫댓글 일제강점기 무자비한 지배하에서 독립운동의 구체적인 실천은 분명히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2.8 독립선언은 국내 독립운동의 도화선의 역할을 했습니다. 2.8 독립선언은 3.1운동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여러 국내 독립운동의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든 생각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하기 시작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릇 지식인에는 두 부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자신의 학식과 능력을 출세(出世)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식인이고, 둘째는 자신의 학식과 능력을 정도(正道)를 위해 사용하는, 즉 실천하는 지식인입니다. 2.8 독립 선언을 주도한 유학생들은 적국의 심장에서, 일제치하 상황 속 정도라고 할 수 있는 독립 선언을 했기 때문에 두 번째 경우의 지식인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이 실천하는 지식인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용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 대학생들이 지학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용기를 가지고 자신의 소신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일본 유학생들은 1919년 2월 8일에일본 유학생들은 1919년 2월 8일에 도쿄의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서 독립을 요구하는 선언서와 결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아니라 식민지배의 주체인 일본에서 그러한 결심을 했다는 것은 그들의 대단한 도전정신을 나타냅니다. 2·8독립선언은 젊은 지식층이 현실을 두려워하지 않고 맞서,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스스로 실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언식이 끝나고 가도로 나선 학생들은 급거 출동한 일경과 육탄전을 벌인 끝에 강제 해산되고, 주동자 30여 명은 감옥에 갇힌 몸이 됐습니다.
비록 그때 그들이 독립의 꿈을 이루는 데 실패하였지만, 자신의 젊음을 포기해가면서 독립을 위해 자기 한 몸을 희생했습니다. 어쩌면 그들은 독립을 위해 싸울 수 있었던 자신의 젊음이 아름답고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2·8독립선언 발표를 듣고 나니, 나만을 위한 이기적인 삶이 아니라 나와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한 가치 있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식을 아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지식을 올바른 곳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소위 친일파라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상당한 고등교육을 받은 이들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가진 지식을 이용하여 스스로의 안위만을 위하여 매국행위를 했던 것입니다. 2.8 독립선언의 주체인 이광수는 미국유학이라는 좋은 환경에서도 조국독립이라는 염원을 품고서 스스로 고난의 길을 택합니다. 이렇듯 지식인들은 자신이 가진 지식을 올바른 곳에 사용할 줄 아는 분별력과 또 그 길이 힘들다 할지라도 옳다면 꿋꿋이 걸어나갈 수 있는 용기를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2.8 독립선언은 3.1운동의 직접적인 시발(始發)점이 되었습니다. 2.8 독립선언과 3.1운동은 연관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독립운동이 갖는 의의는 ‘일본이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지배하고 있다.’라는 세계의 생각을 바꾼 것입니다. 이러한 큰 의의를 갖는 2.8 독립선언이 가능했던 이유는 젊은이들이 도전정신과 응전정신, 그리고 그럴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제식민지배하에 있던 누구나 독립을 열망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신념’을 표출하게 된 것은 동경에 있던 유학생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일본의 무력에 굴하거나 두려워하지 않고, 제 한 몸을 기꺼이 바치는 도전정신과 응전정신을 보여주었고, 600명이라는 많은 인원을 모아 당당히 독립을 외친 능력까지 보였습니다. 자신의 ‘신념’을 현실화 하려면 그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신념을 위해 그에 걸맞은 능력을 키워나가야 합니다.
어제 끝난 총학생회 선거를 돌이켜 보면서 행동하는 지성이 필요한 곳은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가 있는 전북대학교라고 생각했습니다. 선거를 치루기 위해서는 엄청난 돈을 쏟아 부어야하는 현실이 씁쓸했습니다.
2·8 독립선언은 유학생 600명이 중심이 되어서 민족 자결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독립 선언한 것입니다. 일본 동경의 유학생들의 이러한 과감한 행보는 국내에서의 무단통치에 억압받던 민중을 깨우치게 하여 국내의 거족적 운동 3·1운동이 촉발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선언과정을 살펴보면 조소앙 등 당대의 여러 지식인이 참여하여 열정이 넘치는 젊은 유학생들에게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청년들의 열정과 사회 지식인들의 멘토의 역할이 오늘날에도 강조되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유학생들은 다양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의 현실을 인지할 수 있었고 후에 2.8 독립 선언이라는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도 배우는 과정에서 여러 방면에서 지식을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지식을 밑바탕으로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는 적극적인 행동을 취해야 할 것입니다.
2.8 독립선언은 삼일운동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인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린 역사적 사건입니다. 2.8 독립선언을 주도한 지식인들의 자세는 우리가 배워 마땅합니다. 그들은 그들이 처한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적절히 이용했습니다. 그 시대는 일제 침략이 속도를 높여가던 때로, 우리의 혼과 정신을 고취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또한, 그들은 동양의 평화를 위협했던 일본의 중심인 도쿄에서 그들의 뜻을 천명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독립선언은 조선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명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부족한 힘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항상 상황을 제대로 판단하고, 이를 120% 활용할 줄 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2·8독립선언을 통해 국제관계와 국제소식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광수가 국제사회의 소식을 접하게 되면서 2·8독립선언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라의 신지식을 배운 유학생들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도 국제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학생들은 그 당시 상황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일본에서 독립선언을 하였습니다. 생각을 실천하고 현실화한 것입니다. 우리는 실제에 필요한 것을 파악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