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 7:24-30)
우리에게는 기적이 필요합니다. 병이 들었거나 사업이 어렵거나 취직과 결혼과 바라는 일마다 기적이 필요합니다. 기적은 내 힘으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기적을 베풀어 주시기를 바라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 기적을 바라는 한 여인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 여인에게는 어린 딸이 있는데 더러운 귀신이 들려 자녀를 힘들게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게네사렛’ 지역에서 병자를 고치시던 주님께서 이곳을 떠나 ‘두로’ 지방으로 가셨습니다.
예수님은 이방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인 ‘두로’에 와서 조용히 있기를 원했습니다. 오늘은 자신을 사람들에게 숨기고 사역을 쉬고 싶었습니다. 예수님을 찾는 이방인이 없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여인이 예수님께 나아와 엎드려서 어린 딸에게서 귀신을 쫓아내 주시기를 간구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 자녀들을 망가뜨리는 귀신들의 역사가 있습니다. 나쁜 습관에 사로잡혀 있거나, 우울증, 자살 충동, 망상에 사로잡힌 자녀들이 있습니다.
하나님 없이 자기 힘으로 살려는 자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나님 없이 사업하고, 결혼하고, 공부하는 자녀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녀들을 안타까워하는 어머니가 되어 자녀의 영적 회복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시는 본문의 말씀을 통해 "예수님은 어떤 자에게 기적을 베푸시는가?"라는 질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첫째로,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믿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25절에 “이에 더러운 귀신 들린 어린 딸을 둔 한 여자가 예수의 소문을 듣고 곧 와서 그 발 아래에 엎드리니” 이렇게 말씀합니다.
이 어머니는 어린 딸이 더러운 귀신에 사로잡힌 모습을 보면서 귀신을 쫓아낼 수 있는 길을 찾았습니다. 어머니는 무당을 찾지 않고 자기가 믿었던 신을 찾지도 않았습니다. 예수님에 대한 소문을 들었을 때 이분이야말로 내 딸을 치유할 수 있는 분이라 믿었습니다. 소문은 예수님을 만난 자의 간증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예수님의 소문을 들어도 믿지 않았으나 이 어머니는 믿었습니다.
유대 지역에서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시비 걸고 비난하였는데 이방인들이 사는 지역에 사는 ‘수로보니게’ 족속의 여인은 예수님이 귀신을 쫓아낼 수 있는 분이라 믿고 도와달라고 합니다.
이 여인은 그녀가 믿던 우상을 버리고 예수님이 자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원자로 믿었습니다.
예수님의 거절하는 말을 들었을 때도 예수님 외에는 해결자가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예수님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본문과 병행구절 마태복음 15:28에서 예수님께서는 “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말씀하시며 여인을 칭찬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어머니의 믿음의 말대로 딸에게 이루어주셨습니다.
예수님은 마태복음 9:22에서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주님을 향한 믿음을 보시고 기적을 행하십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만난 분의 간증을 들었을 때 어떻게 하나요? 예수님에 대한 소문을 듣기만 해도 그분을 신뢰하고 의지하나요?
여인은 소문을 듣자마자 곧 와서 예수님 발아래에 엎드렸습니다. 참된 믿음은 곧바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기도의 응답을 믿는 자는 곧 기도하는 자가 됩니다. 자녀의 문제를 하나님께서 도와주실 것을 믿는 어머니들은 하나님을 찾습니다. 우리에게 문제가 있을 때 문제의 해결자이신 예수님을 찾으십시오.
그리하여 기적을 경험하십시오. 하나님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기적의 상을 주십니다.
둘째로, 예수님은 간절히 구하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26절에 “그 여자는 헬라인이요 수로보니게 족속이라 자기 딸에게서 귀신 쫓아내 주시기를 간구하거늘” 이렇게 말씀합니다. 여기서 “간구하거늘”은 미완료 과거 시제로 본문을 직역하면 ‘그리고 그녀는 그에게 간구하고 있었다’입니다. 미완료 과거 시제는 과거의 완료되지 않은 계속적 동작을 가리키기에 이 동사는 그녀가 한 번만 요구하고 만 것이 아니라 거듭해서 자기 딸에게서 귀신을 쫓아 주시기를 간구하고 있었던 것을 보여줍니다. 이 어머니는 간절하면서도 끈질기게 예수께 자기의 딸 치유를 위하여 간구하였던 것입니다. 이 어머니의 이러한 간절함과 끈질김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에서 나온 것입니다. 어린 딸의 고통을 긍휼히 여기는 어머니 사랑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어머니는 딸을 위해 예수님께 나아와 그 발아래에 엎드리며 딸을 고쳐 달라고 애타게 요청합니다.
이방인으로 예수님께 나아갈 자격이 없었지만, 예수님께 나아와 간절히 구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처음에는 이 여인의 요청을 거절하십니다. “자녀로 먼저 배불리 먹게 할지니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니라”(27절)고 말씀하십니다.
유대인들은 자기 마음대로 사는 이방인들을 경멸하여 ‘개들’이라 불렀습니다. 지금 예수님은 이방인을 경멸하기 위하여 이 표현을 사용한 것이 아닙니다.
29절에서 예수님은 그 여자의 간구를 들어주시고, 마15:28에서는 그 여자를 칭찬하셨기 때문입니다. 본문에서 예수님께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먼저 많은 은혜를 베풀어 주시고자 하심을 드러내려고 하신 것입니다.
동시에 경멸조의 말씀을 던짐으로써 그 여인의 믿음을 시험하시기 위함입니다. 여인은 겸손히 그 말씀을 받아들입니다.
28절 "주여, 옳습니다. 그러나 개들도 아이들이 먹던 부스러기를 먹습니다"
이 어머니의 대답은 얼마나 간절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예수님께 나아왔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방인으로서 외면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 몸만 아니라 마음도 엎드려 간구하는 어머니는 기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처럼 예수님은 진정으로 간절한 마음으로 구하는 자에게 응답하십니다.
어머니는 자식을 위해 생명을 바치는 분입니다.
자식을 위해서는 부끄러운 것도 없고, 바쁜 것도 없고, 모든 걸 기꺼이 합니다. 우리 교회에 자녀와 가정을 위해 간절하게 기도하는 어머니들로 인해 기적이 일어나기를 축복합니다.
셋째로, 예수님은 천국의 부스러기도 사모하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28-29절에 “여자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상 아래 개들도 아이들이 먹던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말을 하였으니 돌아가라 귀신이 네 딸에게서 나갔느니라 하시매”
예수님은 여인의 말 속에서 천국의 부스러기 같은 은혜도 귀하게 여기는 믿음을 보셨습니다.
여인은 예수님께서 주시는 천국의 작은 선물도 딸에게 넘치는 축복이 된다고 믿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말을 하였으니 돌아가라. 귀신이 네 딸에게서 나갔느니라"라고 말씀하실 때(29절) 이것은 천국의 작은 은혜에도 감사하는 그녀의 믿음을 칭찬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이 떨어지자마자 곧장 자기의 집으로 돌아갔고, 딸이 치유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마태복음 17:20에 “...만일 너희에게 믿음이 겨자씨 한 알 만큼만 있어도 이 산을 명하여 여기서 저기로 옮겨지라 하면 옮겨질 것이요 또 너희가 못할 것이 없으리라”고 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작은 믿음이 기적의 통로임을 말씀합니다. 어머니의 믿음의 말이 자녀에게 축복을 가져옵니다.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가 기적이 일어나게 합니다.
부스러기 은혜를 사모하는 어머니로 인해 가정에 축복이 임합니다. 오병이어로 오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배불리 먹고도 남았다고 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작은 사랑의 실천, 작은 친절의 한 마디, 작은 섬김의 수고를 통해서도 놀라운 기적을 이루게 하십니다.
예수님은 어떤 말을 듣거나 마음 상하는 일이 있어도 예수님을 변함 없이 굳게 신뢰하는 자에게 기적을 베풀어 주십니다. 재앙을 만난 욥처럼, 사자 굴에 던져진 다니엘처럼, 누명으로 감옥에 갇힌 요셉처럼 어떤 역경에서도 인내하며 하나님을 믿고 의지할 때 기적이 일어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본문에서 예수님은 어떤 자에게 기적을 베푸셨나요? 첫째, 예수의 소문을 듣고 믿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둘째, 예수님은 간절히 구하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셋째, 예수님은 천국의 부스러기도 사모하는 자에게 기적을 베푸십니다. 딸의 문제를 가지고 예수님께 부스러기 은혜라도 구하는 어머니에게 예수님은 은혜와 기적을 베푸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여전히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시는 분이십니다. 우리가 간절히 구하고, 예수님의 능력을 믿을 때, 그분은 우리 삶에 기적을 베푸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님 앞에 믿음으로 나아가 간절히 구하여 놀라운 기적을 경험하는 삶이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설교=김상원목사)